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1236)
화엄경 華嚴經 화엄경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다. 초기 대승불교의 중요한 경전으로서 7처8회34품(七處八會三四品)으로 되어 있는데 7처8회라 함은 설법의 장소와 회좌(會座)의 수효이다. 한역으로는 현재 60권본(本)과 80권본 등 2종의 완본(完本)과 이 양자의 마지막 장인 제8회 입법계품(第八會入法界品)에 해당하는 40권본의 3종이 있으며 80권본과 비슷한 티베트역도 있으나 산스크리트어 원본으로서는 보살의 수행계위(修行階位)를 서술한 제6회 10지품(第六會十地品:독립경전으로서의 )과 선재동자(善財童子)가 53인의 선지식(善知識)을 구한 구도 이야기인 제8회 입법계품의 2종이 존재할 ..
[백과사전] 법화경 法華經 법화경 원명을 삿다르마푼다리카 수트라(Saddharmapundarika­sutra)라고 하며 '백련화(白蓮華)와 같은 올바른 가르침'이라는 뜻으로서 예로부터 제경(諸經)의 왕으로 생각되었고,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산스크리트어 원본은 영국인 호지슨이 네팔에서 발견한 것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단편(斷片)이 존재하며, 이들의 불역(佛譯)·영역(英譯)이 있는 한편 한역·티베트어역·위구르어역·서하어역(西夏語譯)·몽고어역·만주어역 등이 있어서, 이 경이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여러 민족에게 애호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 성립 시기는 기원 전후에 신앙심이 강한 진보적인 일단의 사람들에 의해 서북 인도에서 소부(小部)의 것이 만들어졌고 후일에 증광(增廣)되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백과사전] 반야경 般若經 반야경 般若經 원명을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Prajn­aparamita­sutra)라 하며, 정확히는 이라고 한다. '반야바라밀다'라고 하는 것은 이상의 피안 (彼岸)에 이르는 최고무상(最高無上)의 지혜라는 말로서 그 지혜는 일체의 존재에 그 자체의 본질을 상정(想定)하여 실체시(實體視)하려는 고정적 인식을 부정하고 모든 것을 상대적인 관계성(空)위에서 보려는 인식으로 이 사상은 모든 대승불교사상의 기초가 되었다. 은 이 반야를 주체로 한 경전을 총칭한 것으로서 당의 현장(玄奬)은 이것을 한역하여 600권의 일대총서(一大叢書)를 내놓았으나 오늘날 가장 널리 독송(讀誦)되고 있는 과 호국경전(護國經典)의 하나로 되어 있는 은 그 속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표적인 으로서는 가장 긴 십만송반야(十萬..
[백과사전] 밀린다왕문경 Milinda王問經 밀린다왕문경 원명은 밀린다판하(Mili­nda­panha)의 한역으로 이라고 하는데, 경이라고 하지만 불설(佛說)이 아니며, 파리어 삼장에서는 장외(藏外)에 들어 있다. 기원전 2세기 후반에 서북 인도를 지배한 그리스인 바크트리아 국왕 밀린다(메난드로스)가 불교승 나가세나(那先比丘)에게 불교 교리에 대해서 질문하면 승이 이에 해답(解答)을 하는 대화형식으로 된 성전으로서, 성립 시기는 기원전 1세기 후반에서 기원 1세기 전반 사이로 되어 있다. 내용은 대별해서 3편 내지 4편으로 되어 있으며 제1편은 밀린다와 나가세나의 전생(前生) 이야기를 서술한 서론과 두 사람이 3일간에 걸친 대화 끝에 밀린다가 제자가 되는 이야기(서론과 대화의 부분을 2편으로 본다면 4편이 된다), 제2편은 밀린..
[백과사전] 법구경 法句經 법구경 원명을 다르마파다(Dharmapada)라 하여 파리어로 쓰인 남방상좌부(南方上座部)의 경장5부(經藏五部) 중 소부(小部)에 속하며 방대한 불교성전 중에서 최고(最古)의 형태를 남기고 있으며, 더욱이 가장 널리 불교도에게 애송된 매우 윤리적·종교적 향기가 높은 문헌이다. 모두 423편의 시로 되어 있으며 주제에 따라 26품(二六品)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것의 편집 시기는 기원전 4∼3세기로 되어 있으나 개개의 시는 그 이전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불타의 참뜻을 전하는 주옥과 같은 시집으로서 중시되고 있다. 이 파리어의 에 해당하는 한역판 은 약 750계를 포함하며 이것은 26품 500계로 된 원본을 기본으로 하여 후일 13품 250계를 추가한 것이다. 또한 이 한역 의 게(偈) 중 약 3분의 ..
[백과사전] 아함경 阿含經 아함경 '아함'이란 산스크리트어의 아가마(gama)의 음역(音譯)으로 법장(法藏) 또는 전교(傳敎)라고 번역(飜譯)된다. '전승(傳承)된 가르침'이란 뜻으로서 불타의 가르침을 전하는 성전(聖典)을 가리킨다. 실제로는 불타와 그 제자들의 언행록이며, 원시불교 연구의 근본자료이다. 그런데 후일 대승불교가 일어나자 아함(阿含)은 소승(小乘)이라고 천칭(賤稱)되어 중국 등의 전통적인 불교에서는 그리 중시되지 않았으나 근래에 이르러 원전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파리어의 4부와 한역 4아함(四阿含)의 비교 연구에 의하여 원시불교의 진의(眞意)를 구명하려는 경향이 생겨 뛰어난 성과를 가져왔다. 한역된 4아함은, ① 장경(長經) 30을 포함한 장아함(長阿含), ② 길지도 짧지도 않은 경 222를 포함한 중아함(..
[백과사전] 한역대장경 漢譯大藏經 한역대장경 후한(後漢)에서 원대(元代)에 이르는 약 1천년 동안에 걸쳐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으로부터, 때로는 서역(西域)의 여러 지방에서 번역된 경전이나 논서(論書)를 중심으로, 혹은 중국 불교인의 손으로 이루어진 주석서나 연구서 및 위경류(僞經類)를 포함해서 편집한 것으로서 대소승의 경률론(經律論)이 모두 포함되어 있고 분량도 가장 많으며 불교 연구에 있어서 불가결의 자료일 뿐만 아니라 인도불교와는 다른 독자적인 발전을 한 중국불교 연구의 근본자료이기도 하다. 그것들은 남북조(南北朝)·수(隋)·당(唐)의 각 시대를 통해 모두 수집되어 여러 차례에 걸쳐 경전목록(經典目錄)이 작성되었으나 경률론의 삼장이 일괄적으로 개판(開版)된 것은 971년 송(宋)의 태조에 의해 이루어진 송판(宋版)의 제1..
[백과사전] 티베트어 성전 Tibet語聖典 티베트어 성전 7세기에 티베트에 전해진 불교는 민족종교인 '본교'와 융합되어 라마교라고 하는 독특한 종교를 성립시켰다. 그때까지 문자나 문법서가 없었던 티베트에서는 산스크리트어에 의거하여 티베트 문자와 문법서를 창작하고, 이에 의하여 7세기경부터 번역을 시작하여 9세기에는 대부분을 출판하였으며, 그 후의 것을 합하여 13세기에 처음으로 (나르탄古版)을 개판(開版)하였고, 그 후에도 나르탄 신판·데르게판·초네판·프나카판·북경판·라사판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출판이 거듭되었다. 인도에서는 불교가 쇠망하였기 때문에 인도 후기 불교의 경론(經論)은 티베트역으로 남아 있는 것이 많으며, 불교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티베트역은 충실한 직역이기 때문에 티베트역으로부터 산스크리트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