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소재의 작품

(14)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수인) 수인 수인(燧人)은 고대 중국 신화에서 불을 발견한 자이다. 성은 風(풍). 휘는 允婼(윤착). 삼황오제의 하나이다. 그를 묘사한 그림을 보면 3개의 눈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전설에 의하면 수인씨가 수만년 전에 상구(허난성)에 수명국(燧明國)이란 나라를 세웠는데, 상구시는 상나라의 첫번째 도읍지였다고 한다. #불교 #백과사전 #불교 문학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西遊記 #수인 #고대 중국 신화에서 불을 발견한 자 #삼황오제의 하나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수부티) 수부티 수부티(산스크리트어: सुभूति) 또는 수보리(須菩提)는 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 한 명이다. 공(空)에 대해 깊이 이해하였다 하여 해공제일(解空第一)이라 불린다. 수보리는 공(空)에 대한 이해가 깊어 해공제일로 불리며, 이와 관계가 깊은 반야경계 경전에 부처의 대화상대로 흔히 등장한다. 유명한 경전으로는 금강경, 반야심경 등이 있다. 서유기에서 손오공의 스승으로 등장한다. #불교 #백과사전 #불교 문학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西遊記 #수부티 #수보리 #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 한 명 #해공제일 #손오공의 스승 #공(空)에 대해 깊이 이해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이랑진군) 이랑진군 이랑진군(二郞眞君) 또는 이랑신(二郎神)은 도교에서 추앙하는 신으로, 치수(治水)를 담당하는 무신(武神)이다. 관구이랑(灌口二郞) 또는 청원묘도진군(淸源妙道眞君)이라고도 한다. 진나라, 수나라, 진나라 당시의 치수와 관련된 민화 및 설화의 등장 인물로, 불교에서는 바이스라바나의 둘째 아들로 묘사하고 있다. 이외에도 《서유기(西遊記)》, 《봉신연의(封神演義)》 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주요 소설에서의 이랑진군 서유기 옥황상제(玉皇上帝)의 조카로 등장하며, 관강(灌江) 어귀에서 살고 있다가 손오공(孫悟空)이 불만을 가지고 천계에서 날뛰자, 옥황상제로부터 손오공을 붙잡아오라는 명을 받고는 매와 개를 거느리고 화과산(花果山)에 있는 손오공과 싸우게 되었다. 하지만 좀처럼 승부가 나지 않자 비장의 수단으로..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나타) 나타 나타(哪吒)는 중국 도교에서 추앙하는 신으로, 원래는 불교의 호법신 중 하나였다. 도교에서의 정식 명칭은 중단원수(中壇元帥)이다. 중국 도교 민화 및 설화의 등장 인물로, 《서유기(西遊記)》, 《봉신연의(封神演義)》 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주요 소설에서의 나타 서유기 손오공(孫悟空)이 필마온(弼馬溫)이라는 직책에 불만을 가지고 천계에서 날뛰자, 옥황상제(玉皇上帝)로부터 아버지 탁탑천왕(托塔天王)과 함께 손오공을 붙잡아오라는 명을 받는다. 손오공과 싸울 때 삼두육비(三頭六臂)로 변하여 여섯 가지 무기를 들고 맞서지만, 손오공 또한 자신의 몸을 삼두육비로 만들고 여의봉 또한 세 개로 만들어 30합이 넘도록 싸웠다. 싸움이 길어지자 손오공은 몸에서 머리털을 하나 뽑아 자신의 분신으로 만들고는 나타의 뒤에..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탁탑천왕) 탁탑천왕 탁탑천왕(托塔天王) 또는 이정(李靖)은 힌두교의 부의 신 쿠베라를 원형으로 하는 도교의 신으로, 당나라의 명장인 이정이 사후 신격화되어 생겨났다고 한다. 중국 불교나 힌두교의 민화 및 설화의 등장 인물로, 《서유기(西遊記)》, 《봉신연의(封神演義)》 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봉신연의에서의 이정 어렸을 때 곤륜산(崑崙山)의 도액진인(度厄眞人)에게서 도술을 배웠으며, 이후 경지에 오르지 못하고 하산해 상나라의 관리가 되어 진당관총병(陳塘關總兵)이 되었다. 금타(金吒), 목타(木吒), 나타(哪吒)의 아버지이며, 나타가 7살 때 동해 용왕(龍王)의 부하인 이량(李良)과 용왕의 셋째 아들인 오병(敖丙)을 죽인 뒤 자신들에게 피해가 오지 않게끔 스스로 목숨을 끊은 뒤 나타가 이정의 아내인 은씨에게 자신의 행..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태상노군) 태상노군 태상노군(太上老君)은 노자(老子)를 신격화한 것이다. 장자와 함께 도가의 시조이다. 이 계보가 그대로 신선설을 주장한 신선가(神仙家)를 거쳐서 도교에 도입되어 도교의 교조로 숭앙받고 있다. 그러나 그의 실재는 의문이다. 한대(漢代)에 와서는 성(姓)이 이(李)라고 말하기도 하고 주(周) 왕조의 역사를 기록하던 고관(高官)으로서 유교의 개조인 공자도 노자에게 예(禮)를 물었다고도 전하며, 끝에는 함곡관(函谷關)에서 관리의 청탁으로 《도덕경》을 남기고 서방으로 사라져 행방이 묘연해졌다고도 한다. 또 어머니의 태내(胎內)에서 81년이나 있다가 어머니의 좌액(左腋)에서 태어났는데 그때 벌써 머리털이 백발이었기 때문에 '노자(老子)'라 말하고 태어날 때에 오얏나무(李樹)를 가리켰기 때문에 이(李)라는 성..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우마왕) 우마왕 우마왕(牛魔王)은 중국의 소설 서유기에서 등장하는 요괴 중 하나이다. 대력왕(大力王) 또는 호평천대성(號平天大聖)으로도 부르며, 이는 7대 성의 으뜸이었다. 일찍이 원나라 원곡2랑 신취사쇄마경은 우마왕의 역할에 관한 것이며, 서유기에서는 손오공의 결배형제였다. #불교 #백과사전 #불교 문학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西遊記 #우마왕 #중국의 소설 서유기에서 등장하는 요괴 중 하나 #대력왕(大力王) #호평천대성(號平天大聖) #손오공의 결배형제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용왕) 용왕 용왕(龍王, 문화어: 룡왕, 산스크리트어: नागराज 나가라자)은 힌두교와 불교의 민간전승에 전해지는 상상의 존재이다. 중국 사방의 바다를 지키는 용왕을 사해용왕(四海龍王)이라 하는데, 동해용왕은 청룡(靑龍)인 창녕덕왕(滄寧德王) 오광(敖光), 남해용왕은 적룡(赤龍)인 적안홍성제왕(赤安洪聖濟王) 오윤(敖潤), 서해용왕은 백룡(白龍)인 소청윤왕(素淸潤王) 오흠(敖欽), 북해용왕은 흑룡(黑龍)인 완순택왕(浣旬澤王) 오순(敖順)이라 불렀다. #불교 #백과사전 #불교 문학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西遊記 #용왕 #힌두교와 불교의 민간전승에 전해지는 상상의 존재 #사해용왕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옥황상제) 옥황상제 옥황상제(玉皇上帝, 영어: Jade Emperor), 옥황(玉皇), 상제(上帝, 중세 한국어: 상뎨), 옥제(玉帝), 옥황대제(玉皇大帝), 천황(天皇)은 도교의 가장 높은 신간(神間) 족이며, 무에서는 옥황천존(玉皇天尊)이라 하여 전통적인 하늘의 신간(神間) 족으로 섬긴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삼원(三垣)의 하나인 자미궁(紫微宮)은 옥황상제가 사는 궁궐이라 여겼다. 유래 중국에 옥황상제가 등장한 것은 원시천존이 최고신이던 6세기 무렵으로, 송(宋)나라 진종(眞宗, 968~1022)이 다스리던 시대로 알려져 있다. 당시 진종은 옥황상제의 열렬한 신자였다. 그러기 때문에 신하는 물론 백성들까지 옥황상제를 최고신으로 숭배하여 섬기기를 강요하였다. 이로써 오늘날에도 중국에서 전파된 도교의 도사는 원시천..
[불교 소재 작품] 서유기 등장인물(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 고승이자 번역가이며,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으로 불린다. 10세 때 형을 따라 낙양의 정토사에서 불경을 공부했고, 13세 때 승적에 이름을 올려 현장이라는 법명을 얻었다. 그를 부르는 또 다른 명칭은 삼장법사인데, 삼장(三藏)이란 명칭은 경장(經藏) · 율장(律藏) · 논장(論藏)에 능해서 생긴 별칭이다. 현장은 당시의 한문 불교 경전의 내용과 계율에 대한 의문점을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원전에 의거하여 연구하려고 627년 또는 629년에 인도의 푸슈야브후티로 떠났으며 645년에 귀국하였다. 그는 귀국 후 사망할 때까지 만 19년에 걸쳐 자신이 가지고 돌아온 불교 경전의 한문 번역에 종사하였다. 그 번역은 원문에 충실하며 당시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