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수행법

(7)
[수행법]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관(觀, upalakṣaṇā)의 수행)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 《구사론》 제22권에는 신념처 수행에 해당하는, 호흡 관찰 수행인 지식념(持息念)이 기술되어 있다. 지식념이라는 명칭은 《구사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지식념은 숨[息]을 지녀[持]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알아차리는[念] 것, 즉, 들이쉬는 숨(들숨, 入息)과 내쉬는 숨(날숨, 出息)을 알아차리는 것을 뜻한다. 《구사론》 제22권에 나오는 지식념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관(觀, upalakṣaṇā)의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숨은 단순히 바람(풍)이 아니라 4대종(지수화풍)과 함께하는 것이라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숨은 단순히 바람(풍)이 아니라 4대종으로 만들어진 소조색(所造色)이라고 알..
[수행법]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지(止, sthāna)의 수행)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 《구사론》 제22권에는 신념처 수행에 해당하는, 호흡 관찰 수행인 지식념(持息念)이 기술되어 있다. 지식념이라는 명칭은 《구사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지식념은 숨[息]을 지녀[持]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알아차리는[念] 것, 즉, 들이쉬는 숨(들숨, 入息)과 내쉬는 숨(날숨, 出息)을 알아차리는 것을 뜻한다. 《구사론》 제22권에 나오는 지식념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지(止, sthāna)의 수행 마음을 코끝, 혹은 미간, 혹은 발가락, 혹은 자신이 좋아하는 곳에 둔 상태에서, 즉, 오로지 거기에 집중한 상태에서, 마음을 편안히, 고요히 쉬게 한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숨이 몸을 차갑게 하는지, 따뚯하게 하는지, 손해가 되는 것인지, ..
[수행법]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수(數, ganaṇā)의 수행)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 《구사론》 제22권에는 신념처 수행에 해당하는, 호흡 관찰 수행인 지식념(持息念)이 기술되어 있다. 지식념이라는 명칭은 《구사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지식념은 숨[息]을 지녀[持]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알아차리는[念] 것, 즉, 들이쉬는 숨(들숨, 入息)과 내쉬는 숨(날숨, 出息)을 알아차리는 것을 뜻한다. 《구사론》 제22권에 나오는 지식념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수(隨, anugama)의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들이쉴 때 들숨을 따라가며 어디까지 들어왔는지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들숨이 목구멍까지 들어왔으면 '목구멍까지 들어왔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들숨이 심장까지 들어왔으면 '심장까지 들어왔다'고 ..
[수행법]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수(數, ganaṇā)의 수행)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 《구사론》 제22권에는 신념처 수행에 해당하는, 호흡 관찰 수행인 지식념(持息念)이 기술되어 있다. 지식념이라는 명칭은 《구사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지식념은 숨[息]을 지녀[持]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알아차리는[念] 것, 즉, 들이쉬는 숨(들숨, 入息)과 내쉬는 숨(날숨, 出息)을 알아차리는 것을 뜻한다. 《구사론》 제22권에 나오는 지식념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수(數, ganaṇā)의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수를 세면서 알아차린다. 참고로, 수를 세는 이유는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하면서도 알아차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행에서 마음이 흩어지지 않게 하는데, 즉, 잡념[散亂]에 빠지지 않게 하는데 매우 큰 도움..
[수행법]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 * 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 그리고 그 주석서에 따르면 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몸의 행동에 대한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나아갈 때 즉 가면서 앞으로 몸을 옮겨갈 때 '나아간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물러날 때 즉 가다가 되돌아올 때 '물러난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앞을 볼 때 '앞을 본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돌아 볼 때 '돌아 본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구부릴 때 즉 관절을 구부릴 때 '구부린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펼 때 즉 관절을 펼 때 '편..
[수행법]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 * 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몸의 상태란 행주좌와, 즉, 걷고 있는 상태, 서있는 상태, 앉아 있는 상태, 누워있는 상태를 말한다. 네 가지 자세라고도 한다. 이 네 가지를 전통적인 용어로 4위의(四威儀)라고 한다.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 그리고 그 주석서에 따르면 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몸의 상태에 대한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걸어가면서 '걸어간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서있으면서 '서있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앉아 있으면서 '앉아 있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누워있으면서 '누워있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
[수행법]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 * 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 그리고 그 주석서에 따르면 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준비 숲, 나무 아래, 또는 빈 집으로 간다. 현대인의 입장에서는, 그냥 자신의 방에 간다. 가부좌를 하고 앉는다. 현대인의 입장에서는, 결가부좌가 되지 않으면, 반가부좌, 그것도 힘들면 양반 자세를 한다. 몸을 곧게 세운다. 준비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수행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다. 몸을 곧게 세운다는 것은 허리를 펴는 것을 말한다. 허리가 펴져 있는 상태가 아니면 수행의 효과도 반감되고 또한 일정 (짧은) 시간이 지나면 수행을 지속하고 싶어도 허리, 등, 또는 목이 아파서 계속할 수가 없다. 이런 것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