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36)
[백과사전] 대승광오온론 대승광오온론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산스크리트어: Pañcaskandhaprakaraṇavaibhāṣya)은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지은 유식학 논서로, 세친(世親: 316?~369?)의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에 대한 주석서이다. 현대의 유식학 학자들은 인도불교의 유식학의 역사를 총 3기로 나누는데, 제1기는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 제3기는 안혜와 호법 등의 10대 논사들의 유식학을 의미한다. 약칭하여 《광오온론》(廣五蘊論) 또는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이라고도 한다. 《대승광오온론》은 총 1권으로 되어 있으며 중인도(中印度)인으로 당(唐)나라에서 활동한 역경승이었던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 ..
[백과사전]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은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금강삼매경》의 해석서이다. 신문왕 6년(686년)에 이룩된 것으로 3권 1책의 목판본이다. 《금강삼매경론》은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와 더불어 원효의 다수의 저서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며 또한 가장 중요시 되는 저서이다. 《대승기신론소》는 중국 고승들도 《해동소(海東疏)》라 하며 즐겨 인용하였고, 《금강삼매경론》은 인도의 마명(馬鳴) · 용수(龍樹)와 같은 고승이 아니고는 얻기 힘든 논(論)이라는 명칭을 받은 저작으로 원효의 세계관을 알려주는 대저(大著)이다. 권1에서는 《금강삼매경》의 대의(大意)를 논하고, 마음의 근원은 홀로 정(淨)하여 아공(我空) · 법공(法空) · 구공(俱空)의 3공(三空)의 바다는 담연(湛然)한 ..
[백과사전] 간화결의론 간화결의론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이 저술한 책으로 불교 교리를 해설한 책이다. 선종과 교종의 양종이 한 가지로 쟁론(爭論)이 없는 경지에 들어감을 강조하고, 선문(禪門)에 10가지 병(病)이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화두(話頭)를 수행할 때 일어나는 의심을 해결해 주는 책이다. #불교 #백과사전 #불교 논서 #논서 #간화결의론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지눌 #선문(禪門)에 10가지 병(病)이 있음을 지적 #화두(話頭)를 수행할 때 일어나는 의심을 해결해 주는 책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Archives of Buddhist Culture)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Archives of Buddhist Culture) 자료를 찾아 보다가 불교학술원이라는 곳을 찾게 되었네요. 좋은 자료와 문서들이 많이 보관되어 있으며 검색도 편하게 되어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사이트에 방문 하셔서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 바로가기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불교기록문화유산 #통합대장경 #한국불교전서 #신집성문헌 #고려교장 #변상도 #근대불교잡지 #근대불교문헌 #근대불교사진 #조선사찰본서목 #조선시대불서인명DB #불교
[2022년 10월 25일] 불교 뉴스 모아보기 [2022년 10월 25일] 불교 뉴스 모아보기 https://dailyfeed.kr/6dc35d1/166666472519 '성철스님 고향' 산청서 불교문화제전…방생대법회·순례길 체험 22일 단성면 성철공원 일원, 지리산 전몰희생자 원혼위령제도 '성철스님 고향' 산청서... dailyfeed.kr https://dailyfeed.kr/6dc35d1/166666474628 BBS불교방송 새 이사장에 덕문스님 덕문스님 [BBS불교방송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dailyfeed.kr https://dailyfeed.kr/6dc35d1/166666476114 '올해의 불교음악인상'에 최영철 작곡가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조계종 총무원은 '올해의 불교음악인상' ..
[백과사전] 제14대 달라이 라마 제14대 달라이 라마 텐진갸초(티베트어: བསྟན་འཛིན་རྒྱ་མཚོ་, 1935년 7월 6일~ )는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제14대 달라이 라마이다. 현 달라이 라마인 텐진갸초는 티베트 최고의 정신적 지도자이며, 살아있는 관세음보살의 현신으로 여겨지며 티베트인들의 절대적인 존경과 사랑을 받고 있다. 달라이 라마는 1935년 7월 6일 티베트 왕국의 아무르 지방에서 태어났으며, 1937년에 전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1939년에 새로운 달라이 라마로 옹립되었다. 즉위식은 라싸의 포탈라궁에서 1940년 2월 22일에 거행되었으며, 성인의 자격을 인정받은 1950년 11월 17일에 15세의 나이로 달라이 라마의 모든 권한과 권위를 물려받았다. 달라이 라마와 그를 중심으로 한 티베트 겔룩파는 티베..
[백과사전] 제13대 달라이 라마 제13대 달라이 라마 툽땐갸초(티베트어: ཐུབ་བསྟན་རྒྱ་མཚོ་, 1876년 5월 5일 ~ 1933년 12월 17일)는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제13대 달라이 라마이다. 정식 법명은 아왕로쌍툽땐직쩨촉레남게이다. 라싸 동남쪽 닥뽀(達布) 지방 한 농가에서 태어났고, 1878년 6월 13일 포탈라궁 사자좌에 앉았다. 당시 티베트는 청나라, 영국, 러시아의 대립 가운데 휘말렸다. 핀란드 대통령인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은 몽골을 여행하는 도중 달라이 라마를 만났는데, 이때 달라이 라마는 영국에 대해 회의적이나 러시아와의 관계 수립에는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1904년에 영국은 군대를 파견하여 라싸에 주둔시켰고, 라싸 조약에 조인하지만 청나라가 티베트의 주권을 주장하며 대립했다. 달라..
[백과사전] 제12대 달라이 라마 제12대 달라이 라마 친레갸초(티베트어: འཕྲིན་ལས་རྒྱ་མཚོ, 1857년 ~ 1875년)는 제12대 달라이 라마이다. 그의 짧은 치세 동안, 티베트 외부 세계는 격랑에 휩쓸리고 있었다. 그동안 티베트를 보호해왔던 청나라의 국력이 급격히 쇠약해지며 티베트에 대한 대영제국의 간섭이 심해졌고, 이미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버린 인도와 더불어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버릴 것이라는 불안감이 티베트의 주민들 사이에 널리 퍼져나갔다. 1858년에 제11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임을 인정받았고, 1860년에 왕위에 올랐다. 당시 티베트의 우호국이었던 시킴과 부탄 지역의 군대와 영국의 군대가 충돌하자, 티베트 정부는 이에 항의하며 티베트로 향하는 모든 유럽 여행자들의 출입을 막았다. 게다가 이 전쟁은 영국이 티베트를 ..
[백과사전] 제11대 달라이 라마 제11대 달라이 라마 케줍갸초(티베트어: མཁས་གྲུབ་རྒྱ་མཚོ་, 1838년 ~ 1856년)는 제11대 달라이 라마이다. 케줍갸초는 제7대 달라이 라마가 태어났던 마을과 같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1840년에 제10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로 인정받았고, 7대 판첸 라마가 그에게 예비 탁발식을 해주었으며 그에게 '케줍갸초'라는 이름을 주었다. 1842년에 포탈라궁의 황금 옥좌에 앉아 그의 통치를 시작하였으며, 7년 후 탁발을 하고 완전한 승려로 출가하게 되었다. 그는 1842년 5월에 왕좌에 앉아 섭정으로부터 권력 승계과정을 밟고 있었으나, 승계과정이 다 끝나기 전에 급사하여, 권력기반이 제대로 굳혀지기도 전에 사망한 세 번째 달라이 라마가 되었다. 아래의 문장은 당시의 상황을 가장 잘 묘사한 문장..
[백과사전] 제10대 달라이 라마 제10대 달라이 라마 취침갸초(티베트어: ཚུལ་ཁྲིམ་རྒྱ་མཚོ་, 1816년 ~ 1837년)는 제10대 달라이 라마이다. 티베트 동부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1820년에 제9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로 인정받았고, 1822년 포탈라 궁에서 10대 달라이 라마로 즉위하였다. 취침갸초는 전대 달라이 라마가 서거하고 8년이나 지난 후에 새로운 달라이 라마로 즉위하였는데, 이는 당시 티베트를 둘러싼 복잡한 정치적 상황 때문이었다. 1822년, 그는 포탈라 궁에 있는 황금 옥좌에 올랐고, 판첸 라마에게 '취침갸초'라는 이름을 정식으로 받았다. 후에 판첸 라마는 취침갸초에게 겔룩파의 맹세를 시키기도 하였다. 1826년에 그는 드레풍 사원에 들어갔고, 티베트의 학문에 통달하였다. 그는 그의 일생동안 티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