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36)
[백과사전] 말법사상 말법사상 末法思想 석존 멸후(滅後) 불교가 행하여지는 입장에 대해 정상말(正像末)의 3시(三時) 시대구분이 이루어지는데, 정법시대(正法時代)는 교(敎)·행(行)·증(證)의 셋이 갖추어진 시대, 상법시대(像法時代)는 증(證)을 얻는 자는 없어지지만 교와 행은 존재하며, 말법시대(末法時代)는 교뿐으로 행이나 증이 결여된 시대라고 한다. 따라서 말법사상은 교법(敎法)만이 남고 불설(佛說) 그대로 수행하는 자나 깨닫는 자가 존재하지 않는 시기이며, 말법(末法)으로 들어가는 시기는 정법(正法)·상법을 각기 500년 또는 1000년으로 할 것인가, 또는 전자를 500년, 후자를 1000년으로 할 것인가 하는 4종의 이설(異說)이 있으나, 요컨대 상법이 끝난 이후 1만년간이 말법시대(末法時代)라는 것은 일치된 의견이..
[백과사전] 화엄교학의 사상 화엄교학의 사상 華嚴敎學-思想 이 처음 중국에 전역(傳譯)된 것은 동진(東晋)의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 395∼429)에 의해서이며 그후 이 경전의 연구자가 많이 배출되었으나, 화엄의 교학은 이들 경전 연구자들보다는 수(隋)에서 초당(初唐)에 걸쳐 활약한 선관(禪觀)의 실수자(實修者)인 두순(杜順)에서 비롯되어, 지엄(智儼)을 거쳐 현수대사법장(贅首大師法藏)에 의해 대성되었고, · 등의 저작에 의해 1종(一宗)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화엄교학의 특색은 중중무진(重重無盡)의 법계연기(法界緣起)로 되어 있다. 화엄에서는 법계를 사법계(事法界)·이법계(理法界)·이사무애법계·사사무애법계의 4종으로 나누고, 사법계는 현실의 미혹의 세계, 이법계는 진실에 대한 깨달음의 세계, 이사무애법계는 이상으로서의 깨달음의 세계가..
[백과사전] 5교10종 5교10종 五敎十宗 화엄종(華嚴宗)에서 불교를 5교10종으로 분류하고 비판한 교판(敎判)이다. 5교(五敎)는 두순(杜順)이 관법상(觀法上)으로 소승교·대승시교(大乘始敎)·대승종교(大乘終敎)·돈교(頓敎)·원교(圓敎)로 나눈 것을 법장(法藏)이 교의화(敎義化)한 것으로 10종(十宗)은 그것이 표현된 교리상으로 10종류로 나눈 것이다. 5교는 소승자(小乘者)를 위한 가르침인 의 소승교,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역설한 이나 연기(緣起)에 의해 본체와 현상의 구별을 역설한 등의 시교(始敎), 모든 것은 본래 변하지 않는 진여(眞如)이지만 이것이 염(染)이 되거나 정(淨)이 된다고 역설하는 등의 종교(終敎), 곧장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것을 역설하는 · 등의 원교(圓敎)이며, 특히 그 중에서 제경(諸經)을 초월해서 무..
[백과사전] 5시8교 5시8교 五時八敎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가 역설한 천태종(天台宗)의 교판(敎判)이다. 교판이란 교상판석(敎相判釋)이라는 뜻으로서, 경전을 가치적으로 비판하고 체계화함으로써 일종(一宗)을 확립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지의는 석존 일대의 설법 순서를 5시(五時)로 나누었는데, 부처가 성도(成道) 당초에 스스로 깨달은 내용을 역설한 화엄시(華嚴時), 정도를 낮추어 아함경(阿含經)을 역설한 녹원시(鹿苑時), 소승을 버리고 대승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 역설한 방등시(方等時), 대·소승을 별개의 것으로 보는 편집(偏執)을 제거한 반야시(般若時), 올바른 진실의 가르침을 역설한 법화열반시(法華涅槃時)가 그것이다. 한편, 가르치고 인도하는 형식방법상으로는 곧장 부처의 깨달음을 역설하는 돈교(頓敎), 얕은 곳에서 깊..
[백과사전] 천태교학의 사상 천태교학의 사상 天台敎學-思想 을 근본성전으로 하여 천태대사 지의에 의해 대성된, 중국 불교 중에서 대표적인 교학이다. 그 계보는 멀리 인도의 용수(龍樹)에서 비롯된다고 하며, 북제(北齊)의 혜문(慧門), 남악혜사(南岳慧思)를 거쳐 수(隋)의 지의에 이르러 확립된 것이다. 지의의 손으로 이루어진 ··의 3대부(三大部)가 교의강요서(敎義綱要書)로 중요시되고 있다. 천태교학의 특색은 실상론(實相論)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에 역설된 의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제법(諸法)이란 현실 세계에 여러 현상으로 존재하는 일체의 것을 가리키며, 실상이란 진실의 모습·존재의의·진실재(眞實在)를 가리킨다. 즉 모든 현실의 존재에는 그 근저(根底)에 진실성이 있고 바로 현실 속에 이상이 있다고 하는 현실의 절대적 긍정의 입..
[백과사전] 부동명왕 부동명왕 不動明王 원명을 아시알라(Acala)라 하며, 힌두교 시바신(Siva神)의 이명(異名)이 그대로 불교에 채택된 것이다. 불교에서는 부동여래사자(不動如來使者)라고도 하여 이 명왕(明王)에게 사자로서의 성격을 주고, 후에는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사자로서 번뇌(煩惱)의 악마를 응징하고 밀교의 행자(行者)를 수호하는 왕으로 간주되었다. 오른손에 검을 쥐고 왼손에는 삭(索)을 쥐었으며, 부릅뜬 눈과 뾰족한 어금니에 윗입술을 깨문 무서운 형상을 한 분노신(忿怒身)으로서 맹염(猛炎)이 있는 것은 악마를 박멸하는 위력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그의 몸 모양이 동자형(童子形)을 하고 있는 것은 여래의 동복(童僕)이 되어 밀교행자의 봉사자가 되려는 서원(誓願)에 의거한 것이다. 조상(造像)에 있어서는 히말라야 산록..
[백과사전] 제석천 제석천 帝釋天 원명을 인드라(Indra)라고 하며, 범천(梵天) 등과 함께 인도 고대 신화의 대표적 신(神)인 천계(天界)의 태양신(太陽神) 또는 뇌정신(雷霆神)으로 간주된다. 쌍두마차를 타고 금강의 공이(杵)를 든 용맹신(勇猛神)으로 '베다'의 찬가(讚歌) 대상이 되었다. 불교에 채택된 후에는 3계(三界) 중 욕계(欲界)의 제2 도리천의 주(主)가 되어 수미산정(須彌山頂)의 희견성(喜見城)에 자리잡고, 아수라(阿修羅)와 투쟁했다고 한다. 석존의 수행시대를 통해서 사천왕(四天王)을 비롯하여 32장수를 거느리고 범천과 함께 불법 수호에 몸을 바친 호법 신이다.
[백과사전] 범천 범천 梵天 인도어 본명은 브라마(Brahma)이며, 인도 바라문교에서 '만유의 근원'으로 되어 있는 브라만(梵:Brahman)을 신격화한 것이다. 불교에 채택되어, 3계(三界) 중에서의 색계(色界:음욕·식욕의 2욕을 떠난 자가 사는 세계) 중 초선천(初禪天)의 주(主)로 지목되었다. 제석천(帝釋天)과 함께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護法神)이 되었고, 밀교에 있어서는 12천(十二天)의 하나로서 천상계(天上界)의 통령이 되어, 사바세계(娑婆世界)를 지배하는 신, 즉 사바주범천(娑婆主梵天)으로서 불타에게 설법을 권하거나 불법을 찬탄호지(讚嘆護持)하는 신으로 되어 있다.
[백과사전] 즉신성불 즉신성불 卽身成佛 현신성불(現身成佛)·현생성불(現生成佛)이라고 하며, 현실의 육신(肉身) 그대로의 상태로 부처가 됨을 뜻하는 것이다. 밀교에서는 부모에게서 받은 이 육신을 변하지 않게 하여 그 육신상에 불덕(佛德)이 이루어져 대일여래의 법신(法身)이 현증(現證)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부처나 중생, 그리고 이들이 사는 환경도 우주를 구성하는 심적·물적 근본요소인 지수화풍공식(地水火風空識)의 6대(六大)로써 만들어지며, 그들이 서로 방해하지 않고, 또한 부처나 중생도 신(身)·구(口)·의(意)의 신기한 작용인 3밀(三密)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부처나 중생은 모두 평등하며, 자신이 범부(凡夫)라는 그릇된 생각을 고쳐 손에 인계(印契)를 맺고, 입으로는 진언을 외며, 마음으로는 불상을 염(念)한다는 ..
[백과사전] 대일여래 대일여래 大日如來 원명을 마하바이로차나(Mahavairocana:摩訶毘盧舍那)라고 하며, 대광명편조(大光明遍照)·편일체처(遍一切處)·편조(遍照) 등으로 번역된다. 밀교의 교주이며 우주의 진실상을 불격화(佛格化)한 금본불로서, 일체의 제불제보살(諸佛諸菩薩)이 모두 여기서 출생하는 최고의 이지체(理智體)로 되어 있다. 이 지덕의 면을 나타낸 것이 금강계대일여래(金剛界大日如來), 이덕(理德)의 면을 나타낸 것을 태장계 대일여래(胎藏界大日如來)라고 한다. 그리고 양부(兩部)의 대일(大日)을 합쳐 일체로 한 곳에 대일여래의 전불격(全佛格)이 원만해진다는 것이다. 밀교는 이 대일여래가 설파한 것, 따라서 석존을 교주로 하는 종래의 대승불교와는 다르다는 입장에서 스스로를 바즈라야나(Vajrayana), 즉 금강승(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