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813)
[백과사전]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선업 · 악업의 과보'의 지위 또는 계위이다. 아뢰야식 · 이숙식 · 아타나식이라는 3가지 명칭 가운데 아뢰야식이라는 명칭의 의미 즉 아애(我愛)와 집장(執藏)의 의미는 존재하지 않고 이숙식 · 아타나식이라는 2가지 명칭의 의미만이 존재하는 지위로, 이 2가지 가운데 '선업 · 악업의 과보'로서의 이숙식이라는 명칭의 의미가 두드러진 지위이다. 선악업과(善惡業果)는 '선업 · 악업의 과보' 즉 과거 특히 전생의 선업과 악업의 총결과로서의 이숙과를 말하며, 이것은 곧 이숙식 즉 이숙의 성질을 가진 식으로서의 제8식을 말한다. 전생 또는 과거의 선업과 악업은 생사윤회를 인기(引起)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이숙식으로서의 의미가 존재한다는 ..
[백과사전]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아애(我愛)와 집장(執藏)이 현행하는 지위 또는 계위이다. 아뢰야식 · 이숙식 · 아타나식이라는 3가지 명칭이 지닌 의미가 모두 존재하는 지위이지만, 아애 · 집장의 아뢰야식이라는 명칭의 의미가 두드러진 지위이다. 아애(我愛)는 제7말나식이 제8아뢰야식의 견분(見分) 즉 인식작용을 소연(所緣: 인식대상)으로 하여, 제8아뢰야식을 실아(實我) 즉 실재하는 상일주재(常一主宰)하는 자아 또는 자내아(自內我) 즉 자신 내부에 존재하는 영원한 자아로 오인하여 일으키는 아치(我癡) · 아견(我見) · 아만(我慢) · 아애(我愛)의 4번뇌 가운데 네 번째의 아애를 말한다. 근본무명에 해당하는 아치가 먼저 일어나고 이를 바탕하여 ..
[백과사전] 뢰야3위(賴耶三位) 뢰야3위(賴耶三位) 불교에서는 유정이 3계에서 윤회하는 원인이 번뇌에 있다고 본다. 유식유가행파에서도 마찬가지의 입장을 가지는데, 다만 번뇌를 크게 번뇌장 · 소지장의 2장(二障)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모든 번뇌들의 근본에 근본무명이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 근본무명이란 바로 제7말나식이 제8아뢰야식의 견분(見分) 즉 인식작용을 자내아(自內我) 즉 자신 내부에 존재하는 영원한 자아로 오인함에 따라 생겨나는 아치(我癡)를 말한다. 그리고 아치를 바탕으로 하여 아견 · 아만 · 아애의 3가지 번뇌가 순서대로 생겨나며, 제7말나식은 이 4번뇌와 항상 상응하는데 이러한 상태가 인아견(人我見) 즉 아집(我執)과 법아견(法我見) 즉 법집(法執)을 일으키고 이들이 바탕이 되어 번뇌장 · 소지장의 다른 모든 번뇌 즉..
보살 수행계위(菩薩修行階位) 보살 수행계위(菩薩修行階位) 보살 수행계위(菩薩修行階位)는 보살 즉 보살승(菩薩乘)의 수행자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가 처음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후 수행의 공덕을 쌓아서 불과(佛果) 즉 부처의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거쳐가는 단계 또는 계위(階位)를 말한다. 보살의 수행계위 · 보살수행의 계위 또는 보살계위(菩薩階位)라고도 한다. 보살 수행계위 또는 수행계위 일반을 각각의 또는 궁극적인 계(界) 또는 계위에 들어가는 분위(分位)라는 뜻에서 입계분(入界分)이라고도 한다 (참고: 5주지번뇌#보살영락본업경). 여기서의 계(界)는 어떤 부류 · 범주 · 영역 · 구역 · 세계 · 경지 · 상태를 말한다. 보살 수행계위에 대해서 모든 대승불교의 경전과 논서의 의견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계위 체계가 있다..
[백과사전] 투리야(Turiya) 투리야(Turiya) 불교는 고대 인도 사상에 기초해 태어난 종교라서 이론도 비슷한데, 서로 대비시켜 모면, 인간인 욕계(欲界), 천사인 색계(色界), 신인 무색계(無色界)는 중생의 세계이고 투리야(Turiya)의 세계에 태어난 이를 부처라고 한다. 또 고대 인도 사상 중 힌두교의 교의에서 투리야는 유상삼매(有想三昧), 일시성 무상삼매(無想三昧), 완전한 무상삼매(無想三昧)에서 경험하는데 유상삼매에서는 매우 노력해야 잠깐 투리야에 들고 일시성 무상삼매는 매우 노력하지 않아도 얼마간[一時] 동안 투리야에 드는 경지이고 완벽한 무상삼매에서는 자나 깨나 어디에서나 투리야 상태가 지속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투리야(Turiya) #인간인 욕계(欲界) #천사인 색계(色界) #신인 무색계(無色界)는 중생의..
[백과사전] 묘각(妙覺) 묘각(妙覺) 묘각(妙覺)은 온갖 번뇌(煩惱)를 끊어버린 부처의 지위로 불교의 구경각(究竟覺)을 가리킨다. 묘각(妙覺)은 대승불교의 보살 수행계위 중 마지막의 불과(佛果)를 가리키는데, 《화엄경》에 나오는 41위(四十一位)나 《영락경》에 나오는 52위(五十二位)의 마지막 지위에 해당한다. 특히, 《영락경》에 나오는 10신(十信) ·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회향(十迴向) · 10지(十地) · 등각(等覺) · 묘각(妙覺)의 52위는 《화엄경》의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불지(佛地)의 41위에 기반하여 성립된 보살 수행계위로, 대승불교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보살 수행계위이다. 이들 수행계위에 대한 교의에 따르면, 등각보살 즉 등각의 지위에 있는 수행자가 마지막으로 남은 한 ..
[백과사전] 구경각(究竟覺) 구경각(究竟覺)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한다.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보리(菩提) 또는 각(覺), 또는 번역하여 깨달음 묘각(妙覺) 또는 번역하여 묘한 깨달음 묘각지(妙覺地) · 묘각해지(妙覺海地) · 묘과(妙果) 적멸심(寂滅心) · 적멸심묘각지(寂滅心妙覺地) 보리(菩提) · 대보리(大菩提) 또는 번역하여 큰 깨달음 반야(般若) · 마하반야(摩訶般若) 여러 불교 종파와 경전에서는 구경각을 깨우치게 되는 선정(禪定)도 거론하는데 예컨대 《화엄..
[백과사전] 불교의 우주론 불교의 우주론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즉 세계 또는 세간(世間)은 크게 유정세간(有情世間) · 기세간(器世間)의 2종세간(二種世間)으로 나뉘거나, 보다 세분하여 중생세간(衆生世間) · 국토세간(國土世間) · 5온세간(五蘊世間)의 3종세간(三種世間)으로 나뉜다. 2종세간 가운데 유정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중생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스스로 지은 바 업에 따라 그곳에 태어나 거주하는 유정들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2종세간 가운데 기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국토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유정들의 처소 즉 유정들이 태어나서 거주하는 거주처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3종세간 가운데 5온세간은 세계 또는 우주를 5온이 공하다는 무아의 이치를..
[백과사전] 삼계(三界) 삼계(三界) 삼계(三界, 산스크리트어: trayo-dhātava 또는 trayo dhātavaḥ, 팔리어: tayodhātavo 또는 tisso dhātuyo, 영어: trailokya 또는 triloka)는 인도 계통의 종교들인 힌두교, 불교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불교에서 삼계는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이 거주하는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하는 낱말이다. 삼계는 십법계(十法界 · Ten spiritual realms) ·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Great chiliocosm) 등과 함께 불교의 세계관 또는 우주론(Buddhist cosmology)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불교의 교의에 따르면,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극복되지 못한 무명(無明)의 미..
[백과사전] 극락(極樂) 극락(極樂) 극락(極樂, 산스크리트어: सुखावती sukhāvatī)은 서방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 Western Paradise), 극락정토(極樂淨土), 극락국토(極樂國土)을 지칭하는 말이다. 개요 불교에서 서쪽으로 10만 억 불국토(佛國土)를 가면 있다고 하는 이상향으로 참된 마음으로 아미타불을 믿고 염불하면 죽어서 극락에 태어난다고 한다. 극락에는 아미타불이 살고 있으며 어떤 번뇌와 괴로움도 없이 평안하고 청정한 세상이다. 의미 즐거움의 극치, 문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다르지만 오늘날 일반적으로 극락이라고 하면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정토)를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화되어 있으며, 아미타불의 구제를 믿는 가르침이 정토교(淨土敎 · Pure Land Buddhism)이다. 대승불교의 특징을 이루고 있는 교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