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813)
[백과사전] 무명(無明) 무명(無明) 범어 아비드야의 번역어로서 명지(明知)가 없는 것, 즉 진실한 도리를 깨치지 못하고 사물에 통달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12연기(十二緣起)의 최초에 두는 것처럼 우리의 미고(迷苦)라는 존재의 근본이라 하였으며, 불평 불만의 형체로 나타나서 갈애(渴愛)와 표리의 관계를 이룬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명(無明) #명지(明知)가 없는 것 #진실한 도리를 깨치지 못하고 사물에 통달하지 않은 상태 #12연기(十二緣起) #미고(迷苦)라는 존재의 근본 #갈애(渴愛)
[백과사전] 업(業) 업(業) 범어 카르마의 역어로 행위나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을 뜻한다. 이 업에는 일종의 잠재적인 힘이 따른다고 생각하여 여기에 시간적인 인과관계를 적용, 선악의 업에는 반드시 거기에 상응(相應)된 고락의 인과(이숙이라고도 한다)를 받는다는 것이 인과응보이며, 또한 이 업의 총체로서의 자기가 과거에서 미래로 전변(轉變)하는 것이 윤회 사상이다. 업의 분류에서 대표적인 것은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이란 3업이 있으나 이 밖에도 매우 상세한 분류고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업(業) #행위나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을 뜻한다. #선악의 업에는 반드시 거기에 상응(相應)된 고락의 인과 #일종의 잠재적인 힘이 따른다고 생각하여 여기에 시간적인 인과관계를 적용 #신업(身業) #..
[백과사전] 5욕(五慾) 5욕(五慾) 다섯 가지 감각기관(五根, 즉 눈·귀·코·혀·몸)의 대상(五境, 즉 色·聲·香·味·觸)에 집착하여 일으키는 다섯 가지 정욕(情慾)을 말한다. 색욕(色慾) 내지 촉욕(觸慾)을 말하지만 또한 5경(五境)도 그 자체는 욕(慾)이 아니나 사람에게 욕망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5욕 또는 5욕락(五慾樂)이라 한다. 이런 경우에 욕은 범어로 카마그나를 번역한 것이 된다. 그리고 별도로 재욕·색욕·음식욕·명예욕·수면욕의 다섯 가지 욕망을 뜻하는 경우도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5욕(五慾) #다섯 가지 감각기관 #눈·귀·코·혀·몸 #집착하여 일으키는 다섯 가지 정욕(情慾) #5욕락(五慾樂) #재욕·색욕·음식욕·명예욕·수면욕 #다섯 가지 욕망
[백과사전] 중생(衆生) 중생(衆生) 범어 사트바의 반역어로 유정(有情)이라고도 한다. 모든 삶을 누리는 생류(生類)를 가리키며, 초목이나 흙·돌 같은 비정(非情)에 대하여 인간을 비롯한 의식감정을 지닌 생물을 말하고, 특히 미망(迷妄)의 세계에 있는 것의 뜻으로 쓰인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중생(衆生) #유정(有情) #모든 삶을 누리는 생류(生類) #초목이나 흙·돌 같은 비정(非情) #미망(迷妄)의 세계에 있는 것의 뜻 #인간을 비롯한 의식감정을 지닌 생물
[백과사전] 진제(眞諦) 진제(眞諦) 승의제(勝義諦), 또는 제1의제(第一義諦)라고도 하며 이에 대한 속제(俗諦) 또는 세속제(世俗諦)와의 양자를 합쳐 진속이제(眞俗二諦)라고 한다. 제(諦)란 진리를 뜻하나 속제가 세상의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진 도리임에 대하여 진제는 불교를 깨우친 사람들에게 알려진 4제 등의 진리를 말한다. 또한 대승불교에서는 속제가 우리의 언어나 사상의 세계에 속하는 것이며, 진제는 이를 초월한 공(空)의 진리로서, 더구나 속제에 의해서 진제를 얻을 수 있다고 역설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진제(眞諦) #승의제(勝義諦) #진속이제(眞俗二諦) #제(諦)란 진리를 뜻하나 속제가 세상의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진 도리임 #진제는 불교를 깨우친 사람들에게 알려진 4제 등의 진리를 말한다.
[백과사전] 진여(眞如) 진여(眞如) '있는 그대로의 것'을 뜻하는 범어 타타타의 역어.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은 무상(無常)·무아(無我)이다. 즉 모든 사물은 연기(緣起)의 존재일 뿐이다. 원시 불교에서 진여는 이 연기의 이법(理法)이 영원한 진리를 나타내는 말이었으나, 대승불교에 이르러서는 현상세계 그 자체, 또는 모든 현상적인 차별상(差別相)을 초월한, 절대의 세계나 우주 진리의 인격화된 법신(法身)의 본질을 뜻하게 되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진여(眞如) #있는 그대로의 것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은 무상(無常)·무아(無我) #절대의 세계나 우주 진리의 인격화된 법신(法身)의 본질을 뜻 #차별상(差別相)
[백과사전] 색(色) 색(色) 범어로 루파의 역어. 넓은 뜻으로서는 물질적 존재, 즉 변화하고 파괴되고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여 다른 것과 상용(相容)되지 않는 것의 총칭이며, 좁은 뜻으로는 눈의 대상이 되는 물질의 속성, 즉 빨강이니 파랑이니 하는 '색깔'과 장단방원(長短方円) 등의 형체를 가리킨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색(色) #넓은 뜻으로서는 물질적 존재 #변화하고 파괴되고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여 다른 것과 상용(相容)되지 않는 것의 총칭 #장단방원(長短方円)
[백과사전] 인연(因緣) 인연(因緣) 결과를 낳기 위한 내적인 직접 원인을 인(因)이라 하고, 이를 돕는 외적이며 간접적인 원인을 연(緣)이라 하나, 일반적으로는 양자를 합쳐 원인의 뜻으로 쓴다. 불타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인연으로써 생겨나고 인연으로써 소멸하는 연기의 이법을 깨우쳤다고 하며 에서는 인간이 미망(迷妄)과 고통의 존재임을 12인연으로써 설명하고 있다. 또한 부파불교에서는 12인연을 우리의 윤회 과정에 해당시켜 해석하고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인연(因緣) #결과를 낳기 위한 내적인 직접 원인을 인(因) #외적이며 간접적인 원인을 연(緣) #아함경(阿含經) #12인연
[백과사전] 인과(因果) 인과(因果) 원인과 결과. 불교에서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상호의존 관계에 있다고 하므로 인(因)과 과(果)라고 해도 결코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시간적·이시적(異時的)인 인과관계에서는 어떤 결과가 곧 인(因)이 되고 다른 과(果)를 생겨나게 하는 것이며, 공간적·동시적(同時的) 인과관계에서 인은 동시에 과이기 때문에 모든 것은 무한한 시간과 공간에 걸쳐서 이어져 있다. 이 원리를 우리 자신에게 해당시킨다면 자기라는 것은 결코 불변(不變)이라고 할 수 없으며 또한 우연히 변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올바른 노력으로써 진보, 발전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악의 행위에 따라 고락(苦樂)의 결과가 온다고 하는 인과응보의 도리를 무시해서는 윤리적 행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인과(因果) #원인..
[백과사전] 법계(法界) 법계(法界) 범어 다르마다투의 역어. 부파불교에서는 의식의 대상이 되는 모든 사물을 가리키나 일반적으로 대승불교에서는 법을 모든 존재·현상으로 해석하여 모든 존재를 포함한 세계, 온갖 현상의 집합으로서의 우주를 뜻하며, 또한 모든 현상의 본질적인 양상, 즉 진여(眞如)까지도 뜻한다. 대승불교 가운데에서도 특히 화엄종에서는 법계를 연기의 세계라 하고 밀교(密敎)에서는 법계를 영원의 이법(理法)과 동일시하고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법계(法界) #법을 모든 존재·현상으로 해석하여 모든 존재를 포함한 세계 #진여(眞如)까지도 뜻한다. #법계를 연기의 세계라 하고 밀교(密敎)에서는 법계를 영원의 이법(理法)과 동일시하고 있다. #화엄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