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813)
[백과사전] 명색(名色) 명색(名色) '명색'은 팔리어로 nāma-rūpa. '정신과 형체'. 즉, 형체에 대한 정신적인 작용을 말한다. 한자로는 '형체에 이름짓다'는 뜻. 물질에 뜻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 '물체에 주의를 기울이다', '물체에 관심을 가지다' 정도로 해석된다. 숫타니파타 4장 투쟁과 논쟁의 경에서 원시적인 연기와 사성제를 설명하는데 이 때 괴로움(부정적 감정)의 가장 근본원인이 바로 명색(名色) 이다. 즉, 어떤 물질에 우리가 의미(또는 이름)를 부여하면 그 때부터 그것에 대한 '감정'이 생긴다는 것. 행복에 의미를 부여하면 행복해지고, 불행에 의미를 부여하면 불행해진다. 우리가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괴로울 때, 스스로가 '불행'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불..
[백과사전] 낙사(落謝) 낙사(落謝) 낙사(落謝, 산스크리트어: abhyatīta, 티베트어: zhigs par gyur pa, 영어: falling into the past)는 현재의 법(法)이 그 작용을 그치고 과거로 사라지는 것이다. 일체(一切)의 유위법은 매 찰나마다 과거로 낙사한다. 이것을 찰나멸(剎那滅)이라고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낙사(落謝) #현재의 법(法)이 그 작용을 그치고 과거로 사라지는 것 #일체(一切)의 유위법은 매 찰나마다 과거로 낙사한다 #찰나멸(剎那滅)
[백과사전] 낙근(樂根) 낙근(樂根) 낙근(樂根)은 순락수촉(順樂受觸: 낙수에 계합하는 촉, 즉 낙수를 일으키는 촉)에 의해 대상이 접촉될 때 일어나는 신락수(身樂受: 몸의 즐거운 느낌) · 심락수(心樂受: 마음의 즐거운 느낌) · 평등수(平等受: 평등한 느낌)와, 또한 이들 수(受)에 속하는 다른 수(受: 느낌)들을 통칭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낙근(樂根) #순락수촉(順樂受觸: 낙수에 계합하는 촉. 즉 낙수를 일으키는 촉) #신락수(身樂受: 몸의 즐거운 느낌) #심락수(心樂受: 마음의 즐거운 느낌) #평등수(平等受: 평등한 느낌) #이들 수(受)에 속하는 다른 수(受: 느낌)들을 통칭
[백과사전] 나라(那羅) 나라(那羅) 나라(那羅, 팔리어: nara, 영어: man)는 사람을 뜻한다. 불열(不悅)이라고도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나라(那羅) #사람을 뜻한다. #불열(不悅)이라고도 한다.
[백과사전] 깨어 있음은 염(念) 깨어 있음은 염(念) 깨어 있음은 염(念, 산스크리트어: smṛti, 팔리어: sati, 영어: mindfulness, awareness)의 다른 말이다. 깨어 있음은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성성(惺惺) 또는 성성착(惺惺著)이라고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깨어 있음은 염(念) #성성(惺惺) #성성착(惺惺著)
[백과사전] 기어(綺語) 기어(綺語) 기어(綺語, 산스크리트어: sajbhinna-pralāpa)는 도리에 어긋나는 교묘히 꾸민 말 또는 진실이 없는 교묘히 꾸민 말을 말한다. 잡예어(雜穢語) 또는 무의어(無義語)라고도 한다. 기어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10악(十惡) 가운데 하나이며, 그 중에서 구사(口四)의 하나이다. 10선(十善) 가운데 불기어(不綺語)의 반대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기어(綺語) #도리에 어긋나는 교묘히 꾸민 말 #진실이 없는 교묘히 꾸민 말 #잡예어(雜穢語) #무의어(無義語)
[백과사전] 금강삼매(金剛三昧) 금강삼매(金剛三昧) 금강삼매(金剛三昧, 산스크리트어: vajra)는 금강유삼매(金剛喻三昧)라고도 하며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10번째 삼매이다. 제9번째 삼매는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이고 제11번째 삼매는 입법인삼매(入法印三昧)이다. 《대지도론》 제47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云何名金剛三昧?住是三昧能破諸三昧,是名金剛三昧。 무엇을 금강(金剛)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모든 삼매를 깨뜨릴 수 있나니, 이것을 금강삼매라 하느니라. — 《대지도론》 제47권. #불교 #백과사전 #사전 #금강삼매(金剛三昧) #금강유삼매(金剛喻三昧)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10번째 삼매이다. #제9번째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 #제11번째 삼매는 입법인삼매(入法印三昧) #대지도론
[백과사전] 근본번뇌(根本煩惱) 근본번뇌(根本煩惱) 근본번뇌(根本煩惱)는 탐(貪) · 진(瞋) · 치(癡) · 만(慢) · 의(疑) · 악견(惡見)의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을 말한다. 이들 중 치(癡)는 무명(無明)이라고도 하며, 악견(惡見)은 부정견(不正見) 또는 그냥 견(見)이라고도 한다. 이들 6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 즉 6가지 번뇌(煩惱)들은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된다는 뜻에서 근본번뇌라고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근본번뇌(根本煩惱) #탐(貪) · 진(瞋) · 치(癡) · 만(慢) · 의(疑) · 악견(惡見) #6가지 번뇌성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된다는 뜻
[백과사전] 근(近) 근(近) 근(近)은 가까이 있는 것 또는 가까이 있는 법이라는 뜻으로, 5온 각각이 가지는 과거(過去) · 미래(未來) · 현재(現在) · 내(內) · 외(外) · 추(麤) · 세(細) · 열(劣) · 승(勝) · 원(遠) · 근(近)의 총 11가지의 품류차별 또는 품류, 즉 11품류 가운데 '근'을 말한다. 현재의 색 · 수 · 상 · 행 또는 식을 뜻한다. 또는 색의 경우, 볼 수 있는 곳에 존재하는 색[在可見處] 즉 가히 볼 수 있는 색을 뜻하고, 수 · 상 · 행 · 식의 경우, 소의(즉 6근)가 그것에 미치는 힘이 강한 수 · 상 · 행 · 식을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근(近) #가까이 있는 것 #가까이 있는 법 #과거(過去) · 미래(未來) · 현재(現在) · 내(內) · 외(外)..
[백과사전] 근(根) 근(根) 근(根, 산스크리트어: indriya)은 뛰어난 힘, 역량 또는 작용력[自在], 즉 증상력(增上力, 산스크리트어: adhipatya)을 뜻한다. 근(根)은 번뇌의 다른 이름로, 번뇌가 불선(不善)의 소의(所依) 즉 발동근거가 된다는 것을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근(根) #뛰어난 힘 #역량 또는 작용력[自在] #증상력(增上力. 산스크리트어: adhipatya) #불선(不善)의 소의(所依) #발동근거가 된다는 것을 뜻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