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813)
[백과사전] 9결(九結) 9결(九結) 《잡아함경》 제19권,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아비달마품퓨족론》 제1권, 《변중변론》 상권,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등에 따르면 9결(九結)은 다음의 9가지 번뇌를 말한다. 아래 목록에서 각각의 결(結)에 대한 설명은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른 것이다. 애결(愛結): 탐(貪), 3계의 탐 에결(恚結): 진(瞋), 유정에게 손해를 끼치는 것 만결(慢結): 만(慢), 만(慢) · 과만(過慢) · 만과만(慢過慢) · 아만(我慢) · 증상만(增上慢) · 비만(卑慢) · 사만(邪慢)의 7만(七慢) 무명결(無明結): 치(癡), 3계에서 지혜가 없는 것[無智] 견결(見結):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의 3견(三見) 취결(取結): 견취(見取)..
[백과사전] 결택(決擇) 결택(決擇) 결택(決擇, 산스크리트어: nairvedhika)의 한자(漢字) 그대로의 뜻은 '판단[決]하여 선택[擇]한다'로, 결택은 의심[疑]을 결단(決斷: 판단하여 끊음)하여 이치를 완전하게 선택[擇]하게 된 것, 즉 이치를 완전히 알게[擇] 된 것, 즉 이치를 체득[擇]하게 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무루지(無漏智)로 모든 의심[疑]을 결단(決斷)하여 4성제의 진리를 완전히 알게 된 것, 즉 4성제의 진리를 체득하게 된 것을 말한다. (참고: 택법, 택멸, 택멸무위) #불교 #백과사전 #사전 #결택(決擇) #판단[決]하여 선택[擇]한다 #결택은 의심[疑] #결단(決斷: 판단하여 끊음) #이치를 완전하게 선택[擇]하게 된 것
[백과사전] 결탁(決度) 결탁(決度) 결탁(決度, 산스크리트어: saṃtīraṇa)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판단하고[決] 헤아린다[度]'인데, 불교에서는 '확인 판단'의 뜻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어,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과는 차이가 있다. 《구사론》에 따르면 결탁(決度: 확인 판단)은 심려(審慮: 심사숙고)와 함께, 정견(正見: 바른 견해)이건 악견(惡見: 잘못된 견해)이건 모든 견(見: 견해)의 마음작용의 본질[性] 또는 공능(功能)을 이룬다. 보다 정확히는, "심려한 후 결탁하는 것을 견(見: 견해)이라 이름한다[審慮為先決度名見]"고 《구사론》에서는 말하고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결탁(決度) #판단하고[決] 헤아린다[度] #확인 판단 #결탁(決度: 확인 판단) #심려(審慮: 심사숙고) #정견(正見: 바른 ..
[백과사전] 결정경(決定境) 결정경(決定境) 결정경(決定境)은 결정을 내려야 할 대상 또는 결정된 대상을 말하며, 유식학에서는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결정경을 만날 때만 승해(勝解, adhimoksa, 별경심소에 속함)의 마음작용이 그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상응하여 함께 일어난다고 본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결정경(決定境) #결정을 내려야 할 대상 #결정된 대상 #승해(勝解. adhimoksa. 별경심소에 속함)
[백과사전] 궤(匱) 궤(匱) 궤(匱)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에는 모자람 또는 결핍이 있으며, 이러한 뜻에서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궤(匱) #모자람 #결핍 #번뇌의 동의어
[백과사전] 결정(決定) 결정(決定) 결정(決定)은 승해(勝解, 확실한 이해)의 마음작용의 다른 말이다.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결정이란 인지(印持)를 의미한다. 인지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새기고 유지함'으로, 도장 찍듯이 마음에 확실히 이해를 새긴 후 그 이해를 상실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을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결정(決定) #승해(勝解. 확실한 이해) #대승광오온론 #결정이란 인지(印持)를 의미한다. #새기고 유지함 #도장 찍듯이 마음에 확실히 이해를 새긴 후 그 이해를 상실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을 뜻한다.
[백과사전] 견용(堅猛) 견용(堅猛) 견용(堅猛)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견고하고 용맹하다'로, 무퇴(無退)의 다른 말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견용(堅猛) #견고하고 용맹하다 #무퇴(無退)의 다른 말
[백과사전] 개사(開士) 개사(開士) 개사(開士)는 보디사트바(bodhisattva, 보살)의 의역으로, 부처가 될 수 있는 바른 길[正道]를 열어 인도하는 교사를 뜻하며, 중생들의 무지를 열어줄 부처와 보살을 가리킨다. 고승(高僧)의 칭호로도 쓰인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개사(開士) #부처가 될 수 있는 바른 길[正道]를 열어 인도하는 교사를 뜻 #중생들의 무지를 열어줄 부처와 보살을 가리킨다. #고승(高僧)의 칭호로도 쓰인다. #고승(高僧) #보디사트바(bodhisattva. 보살)
[백과사전] 개(蓋) 개(蓋) 개(蓋, 산스크리트어: āvarana, nīvaraṇa)는 부장(覆障: 덮어 가로막음)을 뜻하며, 마음을 덮어 선심(善心) 또는 청정심(清淨心)을 내는 것을 가로막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탐욕개(貪欲蓋: 탐욕) · 진에개(瞋恚蓋: 성냄) · 혼면개(惛眠蓋: 게으름) · 도회개(掉悔蓋: 들뜸과 후회) · 의개(疑蓋: 의심)의 5개(五蓋)를 가리킨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개(蓋) #부장(覆障: 덮어 가로막음) #마음을 덮어 선심(善心) #청정심(清淨心)을 내는 것을 가로막는 것 #탐욕개(貪欲蓋: 탐욕) · 진에개(瞋恚蓋: 성냄) · 혼면개(惛眠蓋: 게으름) · 도회개(掉悔蓋: 들뜸과 후회) · 의개(疑蓋: 의심)
[백과사전] 간결(慳結) 간결(慳結) 간결(慳結)은 9결(九結) 가운데 하나로 심비린(心鄙吝) 즉 추한 아낌의 마음작용이다. 또는 이양(利養)에 대해 심인석(心吝惜) 즉 아까와하고 애석해 하는 마음 즉 인색의 마음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간결(慳結) #9결(九結) 가운데 하나 #심비린(心鄙吝) #추한 아낌의 마음작용 #이양(利養) #인색의 마음작용 #심인석(心吝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