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불교 사전

(416)
[백과사전] 전전(展轉) 전전(展轉) 전전(展轉, 산스크리트어: paraṃparā, anupūrva, 티베트어: gcig nas gcig tu, brgyud pa, 영어: one following the other, proceeding from one to another, one after another, by turns, in turn, in order, in sequence, successive, successively gradual, gradually)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되돌아감' 또는 '되풀이함'이다. 불교 용어로는 순차연속(順次連續) 즉 순서대로 연속함 · 차례대로 이어짐 · 순서대로 · 번갈아 · 차례대로를 뜻한다. 따라서, 일반 사전적인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 전전(轉轉)이라고도 한다. 3가지 이상의 법이 차..
[백과사전] 결(結)-108결(百八結) 결(結)-108결(百八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108결(百八結) 108결(百八結)은 108번뇌(百八煩惱)를 말한다. 108결업(百八結業)이라고도 한다. 108결 즉 108번뇌의 구성 방식에 대해서는 3가지 견해가 있다. 108결: 98 + 10 대승불교의 중관학파의 논서 《대지도론》 제8권과 대승불교 일반의 논서 《대승의장》 제6권에 따르면, 108번뇌(百八煩惱)는 98결(九十八結)과 10전(十纏)을 합한 것이다. 98결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6수면 즉 6근본번뇌를 3계 5부로 분별하여 얻은 98수면 즉 98근본번뇌를 말한다. 즉, 설일체유부의 교학을 따를 ..
[백과사전] 결(結)-98결(九十八結) 결(結)-98결(九十八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98결(九十八結) 98결(九十八結)은 98수면(九十八隨眠)을 말한다. 98근본번뇌(九十八根本煩惱) · 98사(九十八使) 또는 98혹(九十八惑)이라고도 한다. 98결 즉 98수면 또는 98근본번뇌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번뇌론에서 6수면 즉 6근본번뇌를 3계 5부로 분별하였을 때 얻어진 모든 근본번뇌들을 말하는데,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총 개수가 98가지이다. 즉, 98결은 설일체유부의 교학을 따를 때, 3계의 모든 근본번뇌를 말한다. 한편,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번뇌론에 따르면 총 128가지 근본번뇌가 있는데..
[백과사전] 결(結)-10결(十結) 결(結)-10결(十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10결(十結) 5하분결과 5상분결의 합 초기불교 경전인 팔리어 대장경의 《앙굿타라 니까야》 제10권 제13경에 따르면,[7][93] 10결(十結, 영어: ten fetters)은 5하분결(五下分結)과 5상분결(五上分結)을 합하여 통칭하는 말이며, 《앙굿타라 니까야》 제10권 제13경에 기술된 순서대로 나열하면 아래 목록과 같다. 5하분결(五下分結) 팔리어: orambhāgiyāni saṃyojanāni 영어: lower fetters 유신견결(有身見結) 팔리어: sakkāya-diṭṭhi 영어: belief in a self, i..
[백과사전] 결(結)-9결(九結) 결(結)-9결(九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9결(九結) 초기불교 경전인 《잡아함경》 제18권,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품류족론》 제1권,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인 《변중변론》 상권,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등에 따르면, 9결(九結)은 다음의 9가지 번뇌를 말한다. 아래 목록에서 각각의 결(結)에 대한 설명은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른 것이다. 애결(愛結): 탐(貪), 3계의 탐 에결(恚結): 진(瞋), 유정에게 손해를 끼치는 것 만결(慢結): 만(慢), 만(慢) · 과만(過慢) · 만과만(慢..
[백과사전] 결(結)-5결(五結) 결(結)-5결(五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5결(五結) 발지론의 5결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과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49권에 따르면, 5결(五結)은 탐결(貪結) · 진결(瞋結) · 만결(慢結) · 질결(嫉結) · 간결(慳結)을 말한다. 5하분결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56권과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49권,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 5결(五結)은 유신견결(有身見結) · 계금취견결(戒禁取見結) · 의결(疑結) · 욕탐결(欲貪結) · 진에결(瞋恚結)의 5하분결(五下..
[백과사전] 결(結)-4결(四結) 결(結)-4결(四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4결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20권에 따르면, 4결(四結)은 욕결(欲結) · 진결(瞋結) · 치결(癡結) · 이양결(利養結)을 말한다.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논서들인 《성실론(成實論)》 제10권, 《비바사론(鞞婆沙論)》 제2권, 《대승의장(大乘義章)》 제5권 등에 따르면, 4결(四結)은 탐질신결(貪嫉身結) · 진에신결(瞋恚身結) · 계취신결(戒取身結) · 탐착시실취신결(貪著是實取身結)을 말한다. 순서대로, 10수면 즉 10근본번뇌 가운데 탐(貪) · 진(瞋) · 계금취(戒禁取) · 견취(見取)의 4가지에 해당한다. 탐착시실..
[백과사전] 결(結)-3결(三結) 결(結)-3결(三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3결(三結) 초과3결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16권과 《잡아함경》 제34권,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 3결(三結)은 신사결(身邪結) · 계도결(戒盜結) · 의결(疑結)을 말한다. 신사결(身邪結)은 견결(見結) · 신견결(身見結) 또는 유신견결(有身見結)이라고도 한다. 계도결(戒盜結)은 계금취결(戒禁取結) · 계금취견결(禁取見結) 또는 계취결(戒取結)이라고도 한다. 이 3결을 초과3결(初果三結) 또는 3박결(三縛結)이라고도 한다.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20권의 ..
[백과사전] 결(結)-2결(二結) 결(結)-2결(二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결(結)은 번뇌가 유정을 괴로운 과보[苦果]가 생겨나는 상태에 묶어버리는[結] 작용을 한다는 뜻을 강조하는 명칭이다. 결(結)은 흔히 속박(束縛) · 결박(繫縛) · 계박(繫縛)의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2결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33권에 따르면, 2결(二結)은 간(慳)과 질(嫉), 즉 인색과 질투를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 2결(二結)은 견결(見結)과 취결(取結)을 말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결(結) #2결(二結) #간(慳) #질(嫉) #인색과 질투 #견결(見結) ..
[백과사전] 결(結) 결(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결(結)은 번뇌가 유정을 괴로운 과보[苦果]가 생겨나는 상태에 묶어버리는[結] 작용을 한다는 뜻을 강조하는 명칭이다. 결(結)은 흔히 속박(束縛) · 결박(繫縛) · 계박(繫縛)의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2결(二結) · 3결(三結) · 4결(四結) · 5결(五結) · 9결(九結) · 10결(十結) · 98결(九十八結) · 108결(百八結) 등으로 구분한다. 이들 여러 결(結)들 가운데 특정한 것들은 성문4과(聲聞四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특정한 번뇌들이 단멸되거나 조복되면 해당되는 과(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