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대백과사전/불교 사전

[백과사전] 결(結)-3결(三結)

728x90

결(結)-3결(三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3결(三結)

초과3결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16권과 《잡아함경》 제34권,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

  • 3결(三結)은 신사결(身邪結) · 계도결(戒盜結) · 의결(疑結)을 말한다.
  • 신사결(身邪結)은 견결(見結) · 신견결(身見結) 또는 유신견결(有身見結)이라고도 한다.
  • 계도결(戒盜結)은 계금취결(戒禁取結) · 계금취견결(禁取見結) 또는 계취결(戒取結)이라고도 한다.
  • 이 3결을 초과3결(初果三結) 또는 3박결(三縛結)이라고도 한다.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20권의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과 대승불교의 중관학파의 논서 《대지도론》 제57권에 인용된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비롯한 불교 일반의 교학에 따르면, 이 3결을 끊으면 성문4과의 제1과인 예류과(預流果) 즉 수다원(須陀洹)을 증득하여 성인의 지위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이 3결을 초과3결(初果三結)이라고도 이름한다.

3종결

초기불교 경전인 《잡아함경》 제21권과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담감로미론(阿毘曇甘露味論)》 상권 등에 따르면,

  • 3결(三結)은 애(愛) · 에(恚) · 무명(無明)의 3가지 번뇌를 말한다. 즉, 탐박(貪縛) · 진박(瞋縛) · 치박(癡縛)의 3박(三縛), 즉, 탐 · 진 · 치의 불선근 즉 3독(三毒)을 말한다. 이 3결 · 3박 또는 3독을 3종결(三種結) 또는 3전(三纏)이라고도 한다.
  •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20권의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과 대승불교의 중관학파의 논서 《대지도론》 제57권에 인용된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비롯한 불교 일반의 교학에 따르면, 초과3결(初果三結)을 모두 끊은 상태에서 3종결이 얇아진 상태가 되면 성문4과의 제2과인 일래과(一來果) 즉 사다함(斯陀含)을 증득하게 된다. 이 지위는 욕계의 수혹이 상당히 조복된 상태이다.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장현종론》 제27권에 따르면, 실제로는 3종결 즉 3박은 9결의 나머지를 포섭하는데 고타마 붓다가 3박 즉 세 가지 박(縛)만을 설하게 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이미 진리를 관찰한 자[已見諦者], 즉 이미 견도위에 든 수행자, 즉 초과3결을 끊음으로써 예류과(預流果) 즉 수다원(須陀洹)을 증득하여 성인의 지위에 든 수행자에게 성도(聖道)에서 더 나아가기 위해 닦아야 할 바를 확실히 나타내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광찬반야경의 3결

대승불교 경전인 《광찬반야경(光讚般若經)》 제2권에 따르면,

  • 3결(三結)은 탐신(貪身) · 호의(狐疑) · 훼계(毀戒)를 말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결(結) #3결(三結) #초과3결 #3종결 #광찬반야경의 3결 #증일아함경 #광찬반야경(光讚般若經) #아비담감로미론(阿毘曇甘露味論) #잡아함경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 불교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과사전] 결(結)-5결(五結)  (0) 2022.11.23
[백과사전] 결(結)-4결(四結)  (0) 2022.11.23
[백과사전] 결(結)-2결(二結)  (0) 2022.11.23
[백과사전] 결(結)  (0) 2022.11.23
[백과사전] 견(見)  (0) 2022.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