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44)
[백과사전] 선의 4분류-상응선(相應善) 선의 4분류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선(勝義善) · 상응선(相應善) · 상응선(相應善) · 등기선(等起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선(四種善) 또는 4선(四善)이라 한다. 상응선(相應善) 상응선(相應善)이란 본질상 무기(無記)이지만 자성선과 상응함으로써 비로소 선(善)이 되는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즉,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五位七十五法)과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五位百法)의 법체계에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그리고 자성선의 마음작용들을 제외한 마음작용(심소법)들은 참(慚) · 괴(愧) · 무탐(無貪) · ..
[백과사전] 선의 4분류-자성선(自性善) 선의 4분류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선(勝義善) · 자성선(自性善) · 상응선(相應善) · 등기선(等起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선(四種善) 또는 4선(四善)이라 한다. 자성선(自性善) 자성선(自性善)은 본질상 선(善)인 것을 말하는데, 참(慚)과 괴(愧) 그리고 선근(善根)이 자성선에 해당한다. 선근(善根)은 온갖 선을 내는 근본이란 뜻으로,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무치(無癡)의 3가지 선을 말한다. 이들을 3선근(三善根)이라고도 하므로, 선근은 3선근과 같은 말이다. 따라서, 자성선은 참(慚) · 괴(愧) ·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백과사전] 선의 4분류-승의선(勝義善) 선의 4분류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선(勝義善) · 자성선(自性善) · 상응선(相應善) · 등기선(等起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선(四種善) 또는 4선(四善)이라 한다. 승의선(勝義善) 승의선(勝義善)의 문자 그대로의 뜻 또는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궁극적 의미에서의 선(善), 가장 뛰어난 선(善), 최고의 선(善), 가장 훌륭하며 진실한 선(善), 또는, 우주 만유의 평등하고 무차별한 절대적 진리의 선(善)'으로, 불교에서는 무위(無爲)의 선(善), 즉 진해탈(眞解脫: 진실의 해탈), 즉 열반(涅槃)을 말한다. 열반은 최고로 안온(安隱)하며 모든 괴..
[백과사전] 3성(三性) 3성(三性) 불교에서 3성(三性)은 선(善)과 불선(不善)의 기준에 따라, 즉 도덕 · 윤리 · 업(카르마)의 관점에서 일체법을 분류했을 때의 세 갈래인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 유익함) ·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 해로움) · 무기(無記, 산스크리트어: avyākrta, 유익하지도 해롭지도 않음)를 가리킨다. 부파불교에서는 결과를 기준으로 보아서 편안하고 즐거운 과보[樂報]를 받을만한 법(法, 특히 마음작용) 즉 자리(自利)의 법을 선(善)이라고 한다. 대승불교에서는 현재 · 미래에 걸쳐 자기와 남을 순익(順益)하는 법(法, 특히 마음작용) 즉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법을 말한다. 순익(順益)에서 순(順)은 '편안하게 하다, 안락하게 하다, 도리(道理)에 따르게 하다'의 뜻..
[백과사전] 화신(化身) 화신(化身) 화신(化身, 영어: incarnation)은 종교 · 신화 · 전설 등에서 초월적인 존재가 인간 · 천신 등의 몸으로 탄생하거나 출현하는 것을 말한다. "화신(化身)"의 문자 그대로 "몸으로 되다, 몸으로 변하다, 몸을 가지다"이며 사전적으로는 어떤 추상적인 특질 또는 성격이 구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된 것을 뜻한다. 화신에 대한 교의는 여러 종교들에서 찾을 수 있다. 기독교의 성육신(成肉身), 불교의 화신(化身), 힌두교의 아바타라(아바타) 등의 교의가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한편 윤회를 믿는 불교 · 자이나교 · 피타고라스주의 · 헤르메스주의 · 힌두교 등의 종교나 철학에서 윤회의 주체(흔히 영혼 · 영 · 영가라고 한다)가 세상으로 재탄생하는 것을 흔히 "이 세상에 화신하다(incarna..
[백과사전] 법신(法身) 법신(法身) 법신(法身)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카야(धर्म काय, Dharmakāya)의 번역어로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진리의 몸(truth body) 또는 실재의 몸(reality body)이다. 불신관(佛身觀)의 대표적인 견해인 삼신설(三身說)에 따르면 부처는 법신(法身) · 보신(報身) · 응신(應身) 또는 화신(化身)의 3가지 몸을 가지고 있는데, 법신은 진리(법) 그 자체에 해당한다. 초기불교 시대에는 부처라 하면 35세에 도를 깨닫고 80세에 입적(入寂)한 생신(生身)의 고타마 붓다 한 사람을 의미하였다. 그리고 고타마 붓다는 범인(凡人)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32상(相)에다 80종호(種好)의 특수한 모습을 갖춘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성하게 되자 대승의 여러 경전(經典)에는..
[백과사전] 삼신(三身) 삼신(三身) 삼신(三身 · Trikaya)은 깨달은 존재로서의 붓다에 대한 불교의 교의인 불신관(佛身觀)의 대표적인 견해로, 붓다는 법신(法身) · 보신(報身) · 응신(應身) 또는 화신(化身)의 3가지 몸을 가지고 있다는 사상 또는 교의이다. 고타마 붓다가 80세로 입멸하고 나서도 제자들의 마음 속에서는 아직도 살아 있었으므로 제자들은 붓다의 입멸은 다만 붓다가 자기들 눈앞에서 모습을 감춘 데 불과할 뿐 붓다의 생명은 영원한 것이며 붓다는 영원한 실재라고 생각하였다. 나아가 붓다는 불멸의 진리 그 자체, 즉 법신(法身)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80세에 입멸한 생신(生身)의 붓다는 임시 이 세상의 인간의 모습으로 몸을 화하여서("화신 · 化身"), 세인구제(世人救濟)를 위해서 응현(應現)한 응신(應..
[백과사전] 선(禪) 선(禪) 선(禪)은 동양에서 고요히 앉아서 참선(좌선)하는 것을 말하며, 인도에서 오래전부터 요가 등에서 행하던 수행법으로 석가모니가 이후 불교의 실천 수행법으로 발전시켰다. 이후 도가나 도교의 양생법 그리고 무술유파 등 많은곳에서 고대 명상의 맥락에서 정신수양 또는 심신수양의 수련방법으로 이를 채택해오고 있다. 현대에는 스포츠 등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 한편 현대에는 '마음을 한 곳에 모아 고요히 생각하는 일'을 의미하는 '정신집중' 또는 '명상'을 일반적으로 가리킬 때도 '선'(禪)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도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선(禪) #참선(좌선) #정신수양 #심신수양 #정신집중 #명상 #마음을 한 곳에 모아 고요히 생각하는 일
[백과사전] 믿음 또는 신(信) 믿음 또는 신(信) 믿음 또는 신(信, 산스크리트어: śraddhā 스라다, 사라태 捨攞馱, 팔리어: saddhā, 영어: faith)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초기불교의 수행법인 7과 37도품 중 제4과를 이루는 신근(信根) · 진근(進根) · 염근(念根) · 정근(定根) · 혜근(慧根)의 5근(五根) 또는 5선근(五善根)가운데 신근에 해당한다.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22근(二十二根) 가운데 하나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선심소(善心所: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산스크리트어 śra..
[백과사전] 사사무애 사사무애 화엄교학에서는 수미산을 겨자씨에 넣을 수 있는 신통력을 사사무애라고 하며, 그러한 신통력을 가진 이들이 사는 법계를 사사무애법계라고 한다. 이 경지가 불교의 최고 경지라고 한다. 유마경에서는 수미산을 겨자씨에 넣을 수 있는 신통력을 불가사의해탈이라고 한다. 열반경에서는 석가모니가 대열반에 머무른 이는 수미산을 겨자씨에 넣을 수 있다고 설법한다. 유마경에는 불가사의해탈을 다양한 경우로 설명하는데, 화엄교학에서 신라 의상대사의 스승인 지엄스님은 십현문 중에서 미세상용안립문(微細相容安立門)이 수미산을 겨자씨에 넣는 것이며, 십현문 중에서 한가지만 가능하면 나머지 아홉도 자유자재하게 된다고 한다. 즉, 유마경의 불가사의해탈 중에서 단 한가지 신통력만 가능하면, 나머지도 다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국불교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