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36)
[백과사전] 불성(佛性) 불성(佛性) 불성(佛性, 산스크리트어: Buddha-dhātu)은 '부처[佛]의 본성[性]', '깨달음[佛 · 보리] 그 자체의 성질[性]', 또는 '부처[佛]가 될 수 있는 가능성[性]'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다. 불성은 여래장(如來藏, 산스크리트어: Tathāgatagarbha)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불성은 산스크리트어 붓다 다투(Buddha-dhātu)를 번역한 것인데, 붓다(Buddha)를 음에 따라 번역한 불(佛)과 다투(dhātu)를 뜻에 따라 번역한 성(性)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낱말이다. 붓다 다투(Buddha-dhātu)는 각성(覺性: 깨달음의 성품)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각성(覺性)은 붓다(Buddh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각(覺)과 다투(dhātu)를 뜻에 따라 번역한 성(性)이 합쳐..
[백과사전] 삼법인(三法印) 삼법인(三法印,tilakkhaṇa) 삼법인(三法印,tilakkhaṇa)은 불교의 교의를 요약하여 제시한 기치 또는 슬로건으로, 불교의 기본적 입장을 특징적으로 보여 주는 근본불교 시대에 발생한 교의이다. 여기서 빠알리어의 ti는 3을, lakkhaṇa는 특징을 뜻하는 말로써, 이라고 직역되며, 일반적으로 이라고 부른다. 법인(法印)이란, 법의 도장이라는 뜻으로, "이것이 찍혀있으면 진짜이고, 이것이 찍혀있지 않으면 가짜이다."라고 말해질 정도로 불교의 진.위를 판별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처음에 삼법인은 일체개고(一切皆苦 · Dukkha) · 제행무상(諸行無常 · Anicca) · 제법무아(諸法無我 · Anatta)의 세 가지를 가리켰다. 이 최초의 삼법인의 각각은 간단히 고(苦) · 무상(無常) · 무아..
[백과사전] 3성 분별-5견(五見) 3성 분별-5견(五見)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을 선 · 불선 · 무기의 3성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유부무기(有覆無記) 변집견(邊執見): 유부무기(有覆無記) 사견(邪見): 불선(不善) 견취(見取): 불선(不善) 계금취(戒禁取): 불선(不善) #불교 #백과사전 #사전 #3성 분별 #5견(五見)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 #5악견(五惡見) #선 · 불선 · 무기
[백과사전] 3성 분별-8식(八識) 3성 분별-8식(八識) 8식(八識), 즉 아뢰야식, 말나식, 의식, 그리고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의 5식을 선 · 불선 · 무기의 3성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 아뢰야식: 무부무기(無覆無記) 무부(無覆)는 아뢰야식 자체에는 번뇌가 없기 때문에 불성의 지혜를 부장(覆障: 가리고 막음)하는 성질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무기(無記)는 아뢰야식은 선도 불선도 아닌 무기(無記)이기 때문에 선업과 악업을 보존할 자격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말나식: 유부무기(有覆無記) 유부(有覆)는 말나식이 항상 소지장(所知障)의 번뇌를 야기하여 불성의 지혜를 부장(覆障: 가리고 막음)하는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을 일으킨다는 것을 뜻한다. 무기(無記)는 비록 말나식이 유부(有覆)의 뜻을 가지..
[백과사전] 3성 분별-18계(十八界) 3성 분별-18계(十八界) 일체법을 나누는 분류 체계 중 18계(十八界)를 선(善) · 불선(不善) · 무기(無記)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먼저, 18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십팔계十八界 6소의六所依 · 6근六根 5색근五色根 · 5근五根 안계眼界 · 이계耳界 · 비계鼻界 · 설계舌界 · 신계身界 의근意根 의계意界 6경계六境界 · 6경六境 5경五境 색계色界 · 성계聲界 · 향계香界 · 미계味界 · 촉계觸界 제6경第六境 · 법경法境 법계法界 6능의六能依 · 6식六識 6식계六識界 전5식前五識 · 5식五識 안식계眼識界 · 이식계耳識界 · 비식계鼻識界 · 설식계舌識界 · 신식계身識界 제6식第六識 · 후3식後三識 의식계意識界 마음(心) 또는 심왕(心王)은 안식계 · 이식계 · 비식계 · 설식계 · 신식계 ..
[백과사전] 무기의 2분류-유부무기·무부무기 무기의 2분류 무기(無記, 산스크리트어: avyākrta)는 선으로도 불선으로도 기표할 수 없는 법(法, 특히 몸과 마음)을 말한다. 무기(無記)는 승의무기(勝義無記)와 자성무기(自性無記)의 2가지로 분류하는 분류법이 있으며, 또한 유부무기(有覆無記)와 무부무기(無覆無記)의 2가지로 분류하는 분류법이 있다. 후자의 분류법이 더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며 전자를 포괄하는 더 자세하고 발달된 분류법이다. 전자의 분류법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나오며, 후자의 분류법은 대승불교에서 주로 사용된다. 유부무기·무부무기 유부무기(有覆無記)는 그 자체로는 선도 악도 아닌 무기(無記)이지만 번뇌와 상응하여 함께 일어나는 무기를 말한다. 무부무기(無覆無記)는 번뇌와 상응하지 않으며 성도(聖道: 출세도, 8정도, ..
[백과사전] 무기의 2분류-승의무기·자성무기 무기의 2분류 무기(無記, 산스크리트어: avyākrta)는 선으로도 불선으로도 기표할 수 없는 법(法, 특히 몸과 마음)을 말한다. 무기(無記)는 승의무기(勝義無記)와 자성무기(自性無記)의 2가지로 분류하는 분류법이 있으며, 또한 유부무기(有覆無記)와 무부무기(無覆無記)의 2가지로 분류하는 분류법이 있다. 후자의 분류법이 더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며 전자를 포괄하는 더 자세하고 발달된 분류법이다. 전자의 분류법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나오며, 후자의 분류법은 대승불교에서 주로 사용된다. 승의무기·자성무기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무기(無記)를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무기에는 승의무기(勝義無記)와 자성무기(自性無記)의 2분류만이..
[백과사전] 불선의 4분류-등기불선(等起善) 불선의 4분류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은 악(惡, 산스크리트어: pāpa)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법(法)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불선(不善)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등기불선(等起善) · 등기불선(等起善) · 등기불선(等起善) · 등기불선(等起不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불선(四種不善) 또는 4불선(四不善)이라 한다. 등기불선(等起善) 등기불선(等起善)이란 자성불선이나 상응불선에 상응..
[백과사전] 불선의 4분류-상응불선(相應不善) 불선의 4분류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은 악(惡, 산스크리트어: pāpa)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법(法)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불선(不善)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상응불선(相應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등기불선(等起不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불선(四種不善) 또는 4불선(四不善)이라 한다. 상응불선(相應不善) 상응불선(相應不善)이란 본질상 무기(無記)..
[백과사전] 불선의 4분류-자성불선(自性不善) 불선의 4분류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은 악(惡, 산스크리트어: pāpa)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법(法)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불선(不善)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자성불선(自性不善) · 자성불선(自性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등기불선(等起不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불선(四種不善) 또는 4불선(四不善)이라 한다. 자성불선(自性不善) 자성불선(自性不善)은 본질상 불선(不善)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