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813)
[백과사전] 결(結) 결(結) 결(結,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bandhana)은 사(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결(結)은 번뇌가 유정을 괴로운 과보[苦果]가 생겨나는 상태에 묶어버리는[結] 작용을 한다는 뜻을 강조하는 명칭이다. 결(結)은 흔히 속박(束縛) · 결박(繫縛) · 계박(繫縛)의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2결(二結) · 3결(三結) · 4결(四結) · 5결(五結) · 9결(九結) · 10결(十結) · 98결(九十八結) · 108결(百八結) 등으로 구분한다. 이들 여러 결(結)들 가운데 특정한 것들은 성문4과(聲聞四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특정한 번뇌들이 단멸되거나 조복되면 해당되는 과(果)..
[백과사전] 견(見) 견(見) 견(見, 산스크리트어: dṛṣṭi, darśana, 팔리어: diṭṭhi, 영어: view)은 심려(審慮: 심사숙고)하고 결탁(決度: 확인 판단)하는 것, 또는 심려와 결탁을 통해 형성된 견해(見解: 일반 사전적인 뜻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의견(意見), 주장(主張)을 말한다. 즉, 견(見)의 본질적 성질은 심려(審慮: 심사숙고)와 결탁(決度: 확인 판단)이다. 음역하여 날라사낭(捺喇捨囊) 또는 달리슬치(達利瑟致)라고도 한다.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모두 견(見)이 혜(慧), 즉 반야(般若) 또는 지혜(智慧), 즉 판단작용 또는 식별력의 일종이라고 본다. 견(見)은 바른 견해나 주장인 정견(正見)과 진리에 어긋나는 잘못된 견해나 주장인 부정견(不正見) · 악견(惡見) ..
[백과사전] 5견-5부 분별 5견-5부 분별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을 견고소단 · 견집소단 · 견멸소단 · 견도소단 · 수도소단의 5부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5견은 모두 견소단의 번뇌이다. 즉 견도에서 모두 끊어진다.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견고소단 변집견(邊執見): 견고소단 사견(邪見): 견고소단 · 견집소단 · 견멸소단 · 견도소단 견취(見取): 견고소단 · 견집소단 · 견멸소단 · 견도소단 계금취(戒禁取): 견고소단 · 견도소단 #불교 #백과사전 #사전 #5견 #5부 분별 #견고소단 #견집소단 #견멸소단 #견도소단 #수도소단 ..
[백과사전] 5견-3성 분별 5견-3성 분별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을 선 · 불선 · 무기의 3성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유부무기(有覆無記) 변집견(邊執見): 유부무기(有覆無記) 사견(邪見): 불선(不善) 견취(見取): 불선(不善) 계금취(戒禁取): 불선(不善) #불교 #백과사전 #사전 #5견 #3성 분별 #선 #불선 #무기 #유부무기(有覆無記) #불선(不善)
[백과사전] 5견-계금취(戒禁取) 5견-계금취(戒禁取) 《구사론》, 《대승오온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보다 자세히는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로 나뉘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이라 한다. 또한, 단순히 견(見)이라 부르기도 한다. 계금취(戒禁取) 계금취(戒禁取, 산스크리트어: śīla-vrata-parāmarśa, 영어: adherence to observances and rituals, view of rigid attachment to the precepts)는 그릇된 계행(戒行)을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즉 그릇된 계율이나 금지 조항을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백과사전] 5견-견취(見取) 5견-견취(見取) 《구사론》, 《대승오온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보다 자세히는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로 나뉘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이라 한다. 또한, 단순히 견(見)이라 부르기도 한다. 견취(見取) 견취(見取, 산스크리트어: drstiparāmarśa, 영어: adherence to views, view of attachment to views)는 그릇된 견해를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유신견 · 변집견 · 사견 등을 일으킨 후 이를 고집하여 진실하고 뛰어난 견해라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견취견(見取見)이라고도 ..
[백과사전] 5견-사견(邪見) 5견-사견(邪見) 《구사론》, 《대승오온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보다 자세히는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로 나뉘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이라 한다. 또한, 단순히 견(見)이라 부르기도 한다. 사견(邪見) 사견(邪見, 산스크리트어: mithyā-dṛṣṭi, 팔리어: sassata-ditthi, 영어: false view, evil view)은 인과의 도리, 즉 원인과 결과의 법칙, 즉 연기법(緣起法)을 부정하는 견해이다.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인과법을 부정한다는 것은 4성제(四聖諦)를 부정하는 것과 같은데, 4성제의 집제(集諦)와 고제(苦..
[백과사전] 5견-변집견(邊執見) 5견-변집견(邊執見) 《구사론》, 《대승오온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보다 자세히는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로 나뉘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이라 한다. 또한, 단순히 견(見)이라 부르기도 한다. 변집견(邊執見) 변집견(邊執見, 산스크리트어: anta-grāha-dṛṣṭi, 팔리어: anta-ggāhikā, 영어: extreme views, extreme view)은 단(斷)과 상(常)의 두 극단[邊]에 집착하는 견해, 즉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을 말한다. 변집견은 줄여서 변견(邊見)이라고도 하며, 2가지 변견이라는 뜻에서 2변(二邊)이..
[백과사전] 5견-유신견(有身見) 5견-유신견(有身見) 《구사론》, 《대승오온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보다 자세히는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 변집견(邊執見) · 사견(邪見) · 견취(見取) · 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로 나뉘는데, 이들을 통칭하여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이라 한다. 또한, 단순히 견(見)이라 부르기도 한다. 유신견(有身見) 유신견(有身見, 산스크리트어: satkāya-drsti, 팔리어: sakkāya-ditth, 영어: view of individuality, self view, identity view)은 소의신(所依身), 즉 5온(五蘊)의 화합체를 실유(實有)라고 집착하는 견해이다. 즉, 5온의 화합체를 실재하는 나[我] 또는 나의 것[我所]이라..
[백과사전] 부정견(不正見) 부정견(不正見) 부정견(不正見)은 진리에 어긋나는 잘못된 견해라는 뜻으로 악견(惡見)과 같은 말이다. '잘못된 견해' 또는 '삿된 견해'라는 뜻의 사견(邪見)과도 같은 말이며, '망녕된 견해'라는 뜻의 망견(妄見)과도 같은 말이며, 오염된 견해 즉 번뇌에 오염된 견해 또는 번뇌에 물든 상태의 견해라는 뜻의 염오견(染汚見)과도 같은 말이다. 한편, 이들 중 사견(邪見)은 좁은 뜻으로는 부정견(不正見)을 세분할 때의 5가지 견해인 5견(五見) 중의 하나로서,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를 뜻하며, 이 좁은 뜻의 사견이 '바른 견해'라는 뜻의 8정도의 정견(正見)의 반대말이다. 즉 8정도의 정견은 인과의 도리를 바르게 아는 견해를 말한다. 《대승오온론》과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부정견 또는 악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