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813)
[백과사전] 불선의 4분류-상응불선(相應不善) 불선의 4분류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은 악(惡, 산스크리트어: pāpa)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법(法)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불선(不善)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상응불선(相應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등기불선(等起不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불선(四種不善) 또는 4불선(四不善)이라 한다. 상응불선(相應不善) 상응불선(相應不善)이란 본질상 무기(無記)..
[백과사전] 불선의 4분류-자성불선(自性不善) 불선의 4분류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은 악(惡, 산스크리트어: pāpa)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법(法)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불선(不善)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자성불선(自性不善) · 자성불선(自性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등기불선(等起不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불선(四種不善) 또는 4불선(四不善)이라 한다. 자성불선(自性不善) 자성불선(自性不善)은 본질상 불선(不善)인..
[백과사전] 불선의 4분류-승의불선(勝義不善) 불선의 4분류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은 악(惡, 산스크리트어: pāpa)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법(法)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불선(不善)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불선(勝義不善) · 자성불선(自性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등기불선(等起不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불선(四種不善) 또는 4불선(四不善)이라 한다. 승의불선(勝義不善) 승의불선(勝義不善)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
[백과사전] 선의 4분류-등기선(等起善) 선의 4분류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선(勝義善) · 등기선(等起善) · 등기선(等起善) · 등기선(等起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선(四種善) 또는 4선(四善)이라 한다. 등기선(等起善) 등기선(等起善)이란 자성선이나 상응선에 상응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에 의해 일으켜져서 해당 자성선 또는 상응선과 등기(等起: 함께 일어남)하는 신업(身業)과 어업(語業), 그리고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자성선이나 상응선과 상응할 때와 이 상응의 결과 해당 자성선이나 상응선이 일어날[現行] 때 일종의 원리들 또는 법칙들로서 ..
[백과사전] 선의 4분류-상응선(相應善) 선의 4분류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선(勝義善) · 상응선(相應善) · 상응선(相應善) · 등기선(等起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선(四種善) 또는 4선(四善)이라 한다. 상응선(相應善) 상응선(相應善)이란 본질상 무기(無記)이지만 자성선과 상응함으로써 비로소 선(善)이 되는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즉,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五位七十五法)과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五位百法)의 법체계에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그리고 자성선의 마음작용들을 제외한 마음작용(심소법)들은 참(慚) · 괴(愧) · 무탐(無貪) · ..
[백과사전] 선의 4분류-자성선(自性善) 선의 4분류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선(勝義善) · 자성선(自性善) · 상응선(相應善) · 등기선(等起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선(四種善) 또는 4선(四善)이라 한다. 자성선(自性善) 자성선(自性善)은 본질상 선(善)인 것을 말하는데, 참(慚)과 괴(愧) 그리고 선근(善根)이 자성선에 해당한다. 선근(善根)은 온갖 선을 내는 근본이란 뜻으로,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무치(無癡)의 3가지 선을 말한다. 이들을 3선근(三善根)이라고도 하므로, 선근은 3선근과 같은 말이다. 따라서, 자성선은 참(慚) · 괴(愧) ·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백과사전] 선의 4분류-승의선(勝義善) 선의 4분류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승의선(勝義善) · 자성선(自性善) · 상응선(相應善) · 등기선(等起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선(四種善) 또는 4선(四善)이라 한다. 승의선(勝義善) 승의선(勝義善)의 문자 그대로의 뜻 또는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궁극적 의미에서의 선(善), 가장 뛰어난 선(善), 최고의 선(善), 가장 훌륭하며 진실한 선(善), 또는, 우주 만유의 평등하고 무차별한 절대적 진리의 선(善)'으로, 불교에서는 무위(無爲)의 선(善), 즉 진해탈(眞解脫: 진실의 해탈), 즉 열반(涅槃)을 말한다. 열반은 최고로 안온(安隱)하며 모든 괴..
[백과사전] 3성(三性) 3성(三性) 불교에서 3성(三性)은 선(善)과 불선(不善)의 기준에 따라, 즉 도덕 · 윤리 · 업(카르마)의 관점에서 일체법을 분류했을 때의 세 갈래인 선(善, 산스크리트어: kuśala, 유익함) ·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 해로움) · 무기(無記, 산스크리트어: avyākrta, 유익하지도 해롭지도 않음)를 가리킨다. 부파불교에서는 결과를 기준으로 보아서 편안하고 즐거운 과보[樂報]를 받을만한 법(法, 특히 마음작용) 즉 자리(自利)의 법을 선(善)이라고 한다. 대승불교에서는 현재 · 미래에 걸쳐 자기와 남을 순익(順益)하는 법(法, 특히 마음작용) 즉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법을 말한다. 순익(順益)에서 순(順)은 '편안하게 하다, 안락하게 하다, 도리(道理)에 따르게 하다'의 뜻..
[백과사전] 화신(化身) 화신(化身) 화신(化身, 영어: incarnation)은 종교 · 신화 · 전설 등에서 초월적인 존재가 인간 · 천신 등의 몸으로 탄생하거나 출현하는 것을 말한다. "화신(化身)"의 문자 그대로 "몸으로 되다, 몸으로 변하다, 몸을 가지다"이며 사전적으로는 어떤 추상적인 특질 또는 성격이 구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된 것을 뜻한다. 화신에 대한 교의는 여러 종교들에서 찾을 수 있다. 기독교의 성육신(成肉身), 불교의 화신(化身), 힌두교의 아바타라(아바타) 등의 교의가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한편 윤회를 믿는 불교 · 자이나교 · 피타고라스주의 · 헤르메스주의 · 힌두교 등의 종교나 철학에서 윤회의 주체(흔히 영혼 · 영 · 영가라고 한다)가 세상으로 재탄생하는 것을 흔히 "이 세상에 화신하다(incarna..
[백과사전] 법신(法身) 법신(法身) 법신(法身)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카야(धर्म काय, Dharmakāya)의 번역어로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진리의 몸(truth body) 또는 실재의 몸(reality body)이다. 불신관(佛身觀)의 대표적인 견해인 삼신설(三身說)에 따르면 부처는 법신(法身) · 보신(報身) · 응신(應身) 또는 화신(化身)의 3가지 몸을 가지고 있는데, 법신은 진리(법) 그 자체에 해당한다. 초기불교 시대에는 부처라 하면 35세에 도를 깨닫고 80세에 입적(入寂)한 생신(生身)의 고타마 붓다 한 사람을 의미하였다. 그리고 고타마 붓다는 범인(凡人)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32상(相)에다 80종호(種好)의 특수한 모습을 갖춘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성하게 되자 대승의 여러 경전(經典)에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