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36)
[백과사전] 서민불교 서민불교 庶民佛敎 서민들에 의하여 신봉된 불교. 대중적인 불교라고 할 수 있다. 당대(唐代) 이후의 서민 사이에는 미타신앙(彌陀信仰)의 정토교(淨土敎)가 가장 널리 신봉되었었는데 이것과 병행하여 미륵(彌勒)의 정토에 왕생(往生)하고자 하는 미륵신앙도 왕성하였다. 또한 법화경의 독송과 서사(書寫)의 공덕은 여러 가지 재난으로부터 몸을 보호해 준다고 믿어져서 특히 법화경 중의 관음경(觀音經)에 의한 관음신앙이 보급되었고,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천수관음(千手觀音)·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 등이 각각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오대산(五臺山)의 문수신앙(文殊信仰)도 빠뜨릴 수 없는 것이다. 불사리(佛舍利)에 대한 신앙도 성행하여 사리탑이 곳곳에 세워졌다. 지장보살(地藏菩薩)의 신앙과 밀교의 전래에 의한..
[백과사전] 거사불교 거사불교 居士佛敎 오대(五代)와 송(宋)으로부터 근대에 걸쳐 거사를 중심으로 행하여진 불교를 말한다. 거사라 함은 원래 관계에 나가려는 뜻을 버리고 불교의 문에 들어온 사대부(士大夫)를 말한 것인데 이 시기에는 상당한 사회적 지위에 있으면서 불교의 경전과 교리에 관하여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자기의 재산을 나누어 교단의 보호와 육성에 힘쓰는 독지가를 가리켰다. 오대로부터 송으로 넘어와서는 염불결사(念佛結社)가 이곳 저곳에 생기고 지식인들간에 열렬한 신자들이 생겨났다. 또 선종이 성행되면서 송학(宋學)에 큰 영향을 미쳐 많은 유가(儒家)가 불교와 관련을 맺게 되어 양억(楊億)·소식(蘇軾)·양걸(楊傑)·왕안석(王安石) 등은 불교의 독실한 신자이기도 하였다. 명대말(明代末)로부터 청대초(淸代初)에는 유불도(儒佛道..
[백과사전] 송학과 선 송학과 선 宋學-禪 송대에 와서 훈고학으로부터 탈피하여 성(性)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성리학이 나오게 되었는데 이를 송학(宋學)이라 한다. 이 송학자들 중에는 학문과 실천방법으로서 참선을 하는 일도 있어서 주렴계(周濂溪)는 귀종사(歸宗寺)의 불인(佛印), 동림사(東林寺)의 상총(常總)으로부터 불교 학문을 배웠고, 장횡거(張橫渠)도 상총에게 배웠으며, 정명도(程明道)는 노석(老釋)을 공부하기를 수십년 동안 하였다 하고, 정이천(程伊川)도 선을 배웠다 한다. 특히 주자(朱子)는 어릴 때부터 대혜종고(1163년 寂)의 을 애독하고 당의 선승(禪僧) 위산영우의 사상을 사랑하였다. 그러면 어찌하여 선이 당시 명유(名儒)의 마음을 사로잡게 되었던가? 선은 간단명료한 교리에 의거하여 직절(直截)한 수도방법으로 지심..
[백과사전] 염불선 염불선 念佛禪 교선일치(敎禪一致) 사상은 당의 중기 이후 특히 송대(960∼1280)에 들어와 점차 두드러지게 되었다. 오대(五代, 907∼960)와 송초(宋初)에는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교선일치설이 한층 이름이 높았고 천태·화엄·정토의 학도로서 선을 연구하고 선가(禪家)에서 교학(敎學)을 공부하는 자도 출현하였다. 그 중에서도 염불선이 가장 성하였으며 정토종(淨土宗)은 후세에 들어와 특별한 하나의 종파라기보다는 각 종파의 사람이 염불신앙을 갖게 됨으로써 성행하였다. 송대의 정토교도로서 유명한 사람이 선·천태 출신 중에 많고 특히 천태계통의 정토교가 성행하였다. 선종에서는 염선일치(念禪一致)를 주창하고 100권, 을 지은 영명연수(永明延壽)를 비롯하여 종이·종본(宗本)·법수(法秀)·의회(..
[백과사전] 천태선 천태선 天台禪 소위 선종(禪宗)이 발생하기 수세기 전에 천태(天台) 지자대사(智者大師, 538∼597)는 모든 불교를 선(禪)이라는 한 글자로 통일하고 모든 수행(修行)을 좌선(坐禪)으로 요약하였다. 이 일문(一門)을 선종이라 부르고 그 영향은 후세의 선 집단을 통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다. 천태대사(天台大師)의 (통칭 小止觀이라 함)은 좌선에 관한 책으로는 사상 처음 완성된 것으로서 이 책을 모범으로 하여 뒤에 중국·일본의 좌선의(坐禪儀)에 관한 여러 종류가 생겨났다. 천태대사는 좌선을 만행(萬行)의 귀취(歸趣), 지관을 좌선의 내용이라 하여 이를 설파한 것이 이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으로서 선(禪)이라는 한 자에 불교를 내포시키고 있다. 이들 저서에 실린 사상은 좌선이 불교의 수도에 있어서 가장..
[백과사전] 교선일치 교선일치 敎禪一致 교종(敎宗), 즉 말과 글을 통하여 가르침을 펴는 종파와 선종(禪宗), 즉 말과 글에 의하지 않고 불타의 마음을 전하고자 하는 종파가 서로 일치한다는 주장. 전자는 천태종(天台宗)·화엄종(華嚴宗) 등이고 후자는 소위 선종(禪宗)을 말한다. 교선일치의 주장은 당(唐) 중기의 화엄종 제4대조인 징관(澄觀)의 사상으로부터 싹이 터서 제5대조 종밀(宗密)에 의하여 명료한 형태로 나타났다. 종밀은 처음 선을 공부하고 후에 징관의 가르침을 받아 화엄교학(華嚴敎學)에 정통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화엄과 선을 융합·일치시키고자 교선일치론을 주장하였다. 이 교선일치의 사상은 송대(宋代)에 이르러 차차 뚜렷해져서 선과 교종의 융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오대(五代)와 송초(宋初)의 영명연수(永明延壽)의 교선..
[백과사전] 법림 법림 法琳(572∼640) 수당(隋唐)시대의 불교승. 영천군(潁川郡:河南省)에서 출생하여 어려서 출가하였다. 박학하여 특히 삼론(三論)에 정통하였는데 도술을 배워 도사로 전향하였다. 다시 불교에 귀의한 뒤로는 장안의 안제법사(安濟法寺)에 자리잡고 강설을 폈다. 621년(武德 4)에 부혁(傅奕)이 사원승니사태(寺院僧尼沙汰) 11조를 상주(上奏)하였을 때 즉시 상소를 올려 잘못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중향(李仲鄕)이 , 유진희(劉進喜)가 을 지어 불교를 비난하였을 때에 그는 8권을 지어 맹렬한 반론을 전개하였다. 태종은 칙명으로 종남산(終南山)의 대화궁(大和宮)을 용전사(龍田寺)로 바꾸고 그를 이 절의 주지로 삼았다. 파라파라가밀다라(波羅頗迦羅密多羅)의 역장(譯場)에서 필수철문(筆受綴文)에 종사하여 보성다라니..
[백과사전] 3교담론 3교담론 三敎談論 당나라 중기부터 성행하게 된 궁중에 있어서의 유교·불교·도교의 대표자들에 의한 토론회. 황제의 탄생일을 축하하고 기념하기 위하여 3교의 대표자적인 학자들을 궁중에 초대하여 토론을 벌이는 행사가 매년 개최되었다. 3교의 담론은 당의 초기 고조(高祖)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며 고조는 624년(武德 7)에 박사(博士) 서광(徐曠)에게 을, 사문(沙門) 혜승(慧乘)에게는 을, 도사 유진희(劉進喜)에게는 를 각각 강의하게 하였다. 또 태종(太宗)은 639년(貞觀 13)에 제주(祭酒) 공영달(孔潁達), 사문(沙門) 혜정(慧淨), 도사(道士) 채황(蔡晃)의 3인에게 홍문전(弘文殿)에서 3교에 대한 담론을 하게 하였다. 그후 대종(代宗)·덕종(德宗)·경종(敬宗)·문종(文宗)·무종(武宗)·선종(宣宗)..
[백과사전] 불공 불공 不空(705∼774)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 밀교경전의 역경자. 원명은 아모가바즈라(Amoghavajra)이고 번역해서 불공금강(不空金剛)이라고 하며 보통 불공이라 약칭한다. 밀교창법의 제6대조. 실론(일설에는 북인도)에서 태어나 720년(開元 8)에 스승인 금강지(金剛智)를 따라 남해를 경유하여 뤄양(洛陽)에 왔다. 이후 약 30년간 금강지에게서 밀교를 배우고 산스크리트와 중국어의 재능을 살려 스승의 역경사업을 도왔다. 금강지가 죽은 뒤 그의 유지를 받들어 함광(含光) 등과 함께 실론·인도에 건너갔다. 우선 실론의 보현아사리에게서 비법을 배우고 뒤이어 인도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많은 범본(梵本)과 밀교경전을 얻어가지고 746년(天寶 5)에 장안에 돌아왔다. 그후 현종(玄宗)·숙종(肅宗)·대종(代宗)..
[백과사전] 금강지 금강지 金剛智(671∼741)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 밀교경전의 역경자. 원명은 바즈라 보디(跋日羅菩提:Vajra의 제5대조. 중부 인도의 마라야국(摩羅耶國)에서 태어나 10세 때에 나란다사(寺)에 출가하였다. 성명(聲明)·인명(因明)을 배우고 다시 대소승(大小乘)의 율(律)·중관(中觀)·유가유식(瑜伽唯識) 등을 공부하였다. 31세때 남인도에 가서 용지(龍智)에게서 밀교를 배워 금강정경(金剛頂經) 등의 밀교경전에 정통하게 되었다. 38세때 중부인도에 돌아와 불적(佛蹟)을 참배하고 다시 남인도 및 실론을 순례하였다. 716년경에 중국에의 포교를 뜻하여 남해를 건너 719년(開元 7) 광주에 도착, 이듬해 뤄양과 장안에 들어갔다. 현종(玄宗)의 칙령에 따라 대자은사(大慈恩寺)에 거주하였고 뒤에는 대천복사(大..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