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36)
[백과사전] 뇌(惱) 뇌(惱) 뇌(惱, 괴롭힘, 산스크리트어: pradāśa)는 마음으로 하여금 다른 이에 대해 패려궂는 행위를 하게 하고 다른 이를 슬프게 만드는 행위를 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마음으로 하여금 과거의 진(瞋: 증오하고 성냄)의 대상을 돌이켜 생각하게 하여 진노(瞋怒: 성내고 노여워함)하게 하고 괴롭힘[惱]을 행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뇌(惱)는 변괴(變壞: 변하여 허물어짐) 또는 뇌괴(惱壞: 허물어짐에 괴로워하게 되는 것)의 뜻이 있는데, 이러한 뜻에서 뇌(惱)는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뇌(惱) #뇌(惱. 괴롭힘. 산스크리트어: pradāśa) #진(瞋: 증오하고 성냄) #진노(瞋怒: 성내고 노여워함) #괴롭힘[惱]을 행하게 하는 마음작용 #변괴(變壞: 변하여 허물어짐..
[백과사전] 내외(內外) 내외(內外) 내외(內外)는 내적인 것[內]과 외적인 것[外]을 말한다.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은 아집(我執, ahaṃkāra)의 의지처가 되기 때문에 나[我]라고 가설할 수 있다. 이러한 뜻에 따라, 12처(十二處)의 법체계에서는 중 내적인 것은 나[我]의 소의(所依)가 되는 가까운 것인 안처(眼處) · 이처(耳處) · 비처(鼻處) · 설처(舌處) · 신처(身處) · 의처(意處)의 6가지 처(處)를 말하며, 이 6가지 처를 6내처(六內處)라 한다. 외적인 것은 나[我]의 소연(所緣)이 되는 먼 것인 색처(色處) · 성처(聲處) · 향처(香處) · 미처(味處) · 촉처(觸處) · 법처(法處)의 6가지 처(處)를 말하며, 이 6가지 처를 6외처(六外處)라 한다. 6근(..
[백과사전] 내(內) 내(內) 내(內)는 내적인 것 또는 내적인 법이라는 뜻으로, 5온 각각이 가지는 과거(過去) · 미래(未來) · 현재(現在) · 내(內) · 외(外) · 추(麤) · 세(細) · 열(劣) · 승(勝) · 원(遠) · 근(近)의 총 11가지의 품류차별 또는 품류, 즉 11품류 가운데 '내'를 말한다. 자신 즉 자기의 소의신의 색 · 수 · 상 · 행 또는 식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색의 경우에는 5근을 뜻하고, 수 · 상 · 행의 경우에는 의근과 마음작용을 뜻하고, 식의 경우에는 의근과 마음을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내(內) #내적인 것 또는 내적인 법이라는 뜻 #과거(過去) · 미래(未來) · 현재(現在) · 내(內) · 외(外) · 추(麤) · 세(細) · 열(劣) · 승(勝) · 원(遠) ..
[백과사전] 난심(亂心) 난심(亂心) 난심(亂心)은 행위할 때의 마음과는 다른 마음을 말한다. 예를 들어, 행위할 때의 마음이 선심(善心)이면 그 이외의 불선심(不善心)과 무기심(無記心)을 말하며, 행위할 때의 마음이 불선심이면 그 이외의 선심과 무기심을 말한다. 난심에 대해 불난심(不亂心:)은 행위할 때의 마음과 다르지 않은 마음을 말한다. 난심(亂心)은 미혹되어 본성을 잃어버린 마음을 말한다. 무심(無心)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는데, 그 중에서는 여기서의 난심과 같은 뜻도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난심(亂心) #행위할 때의 마음과는 다른 마음을 말한다. #불난심(不亂心:)은 행위할 때의 마음과 다르지 않은 마음을 말한다. #무심(無心)
[백과사전] 낙욕(樂欲) 낙욕(樂欲) 낙욕(樂欲)은 원구욕망(願求欲望) 즉 원하고[願] 구하고[求] 하고자 하고[欲] 바라는[望] 것을 말한다. 한자어 낙욕(樂欲)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즐거이 하고자 함 또는 즐거이 바람이고, 요욕(樂欲)이라고 읽을 경우 그 뜻은 바라고 하고자 함이다. 엄밀히 말하면, 낙욕이 아니라 요욕이 원구욕망의 뜻에 더 일치한다. 실제로 낙욕은 욕요(欲樂)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 욕락(欲樂: 즐거움을 바람)이라고 하면 뜻이 달라진다. 낙욕(樂欲)은 범부가 5욕(五欲)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 즉, 5욕의 즐거움을 바라고 구하는 것, 즉 탐(貪)을 말한다. 욕락(欲樂: 즐거움을 바람)과 동의어이다. 《대보적경(大寶積經)》등에 따르면, 낙욕 즉 욕락 즉 탐은 일체(一切)의 번뇌의 근본이 된다. #불교 #백과사..
[백과사전] 유식(唯識) 유식(唯識) 오직 생각의 문제라는 것. '모든 것은 생각하기 나름이다.' 일체유심조를 말한다.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려 있다. 우리가 정보를 받아들일 때 눈, 코, 귀, 입, 피부 등을 통해 시각, 촉각, 후각, 청각, 미각 등을 느끼고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왜곡 될 수 있다는 것이 '유식'의 핵심이다. 예를 들면, 길가던 나그네가 순간 뱀을 보고 깜짝 놀라고 무서웠는데, 다시 보니 노끈이었다는 얘기가 있다. 무서운 감정은 '잘못된 정보'가 들어왔기 때문이며, 마찬가지로 부정적 감정들의 대부분은 왜곡되고 확대-재생산되어 우리들을 괴롭힌다. 이러한 '왜곡된 정보'가 괴로움의 원인이되며, 왜곡된 정보로 인해 무서운 감정이 들었다는 것을 '아는 것'이,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해결책이다. 이렇..
[백과사전] 명색(名色) 명색(名色) '명색'은 팔리어로 nāma-rūpa. '정신과 형체'. 즉, 형체에 대한 정신적인 작용을 말한다. 한자로는 '형체에 이름짓다'는 뜻. 물질에 뜻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 '물체에 주의를 기울이다', '물체에 관심을 가지다' 정도로 해석된다. 숫타니파타 4장 투쟁과 논쟁의 경에서 원시적인 연기와 사성제를 설명하는데 이 때 괴로움(부정적 감정)의 가장 근본원인이 바로 명색(名色) 이다. 즉, 어떤 물질에 우리가 의미(또는 이름)를 부여하면 그 때부터 그것에 대한 '감정'이 생긴다는 것. 행복에 의미를 부여하면 행복해지고, 불행에 의미를 부여하면 불행해진다. 우리가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괴로울 때, 스스로가 '불행'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불..
[백과사전] 목탁소리1/2/3 목탁소리1/2/3 목탁1 목탁2 목탁3 출처 : 공유마당 저작권 위원회/염불소리1/김용배(저작권자) #불교 #백과사전 #사전 #목탁소리 #김용배 #목탁 #목탁1 #목탁2 #목탁3
[백과사전] 염불소리1 염불소리1 염불소리1 출처 : 공유마당 저작권 위원회/염불소리1/김용배(저작권자) #불교 #백과사전 #사전 #염불소리 #김용배 #불교 염불
[백과사전] 낙사(落謝) 낙사(落謝) 낙사(落謝, 산스크리트어: abhyatīta, 티베트어: zhigs par gyur pa, 영어: falling into the past)는 현재의 법(法)이 그 작용을 그치고 과거로 사라지는 것이다. 일체(一切)의 유위법은 매 찰나마다 과거로 낙사한다. 이것을 찰나멸(剎那滅)이라고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낙사(落謝) #현재의 법(法)이 그 작용을 그치고 과거로 사라지는 것 #일체(一切)의 유위법은 매 찰나마다 과거로 낙사한다 #찰나멸(剎那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