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36)
[백과사전] 독(毒) 독(毒) 독(毒)는 번뇌(煩惱)의 다른 말이다. 번뇌는 중생으로 하여금 '출세간의 선한 마음[出世善心]'을 내는 것을 방해한다는 뜻에서 번뇌를 독이라 한다. 즉, 불교에서는 모든 번뇌를 통칭하여 독이라 부르기도 하고, 각각의 번뇌를 독이라 하기도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독(毒) #번뇌(煩惱)의 다른 말 #출세간의 선한 마음[出世善心] #불교에서는 모든 번뇌를 통칭하여 독이라 부르기도 한다
[백과사전] 도지(道智) 도지(道智) 도지(道智, 산스크리트어: mārga-jñāna, 팔리어: magga-ñāna)는 10지(十智)와 11지(十一智) 가운데 하나로, 4성제 가운데 도제(道諦)를 체득[了 또는 證]함으로써 획득[得]한 무루지(無漏智)이다. 달리 말하면, 도지는 욕계 · 색계 · 무색계의 도제를 체득[了 또는 證]한 지혜이다. 즉 욕계 · 색계 · 무색계에서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가운데 도제의 4행상(四行相)인 도(道) · 여(如) · 행(行) · 출(出)를 관찰[觀]함으로써 획득한 무루의 지혜이다. 《아비달마품류족론》의 정의에 따르면, 도지(道智)는 성도(聖道: 8정도 · 37도품 등의 도제)에 대하여 도(道) · 여(如) · 행(行) · 출(出)이라고 사유(思惟)함으로써 일으킨 무루지(無漏智)이다. ..
[백과사전] 도거(掉擧) 도거(掉擧) 도거(掉擧, 들뜬 마음, 산스크리트어: auddhatya)는 마음을 이리저리 날뛰게 하여 안정(安靜)되지 못하게 하며, 산란시켜 딴 데로 달아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도거(掉擧) #들뜬 마음 #마음을 이리저리 날뛰게 하여 안정(安靜)되지 못하게 하며. 산란시켜 딴 데로 달아나게 하는 마음작용
[백과사전] 도(道) 도(道) 도(道, 산스크리트어: mārga, 팔리어: magga)는 '진리에 들어가는 길'을 뜻한다. 4성제의 도제 즉 성도(聖道)를 가리키는 말이다. 도(道, 산스크리트어: mārga, 팔리어: magga)는 4성제의 도제(道諦), 즉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뜻한다. 도(道, 산스크리트어: mārga)는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 가운데 하나로, 4성제 중 도제에 대한 4가지 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도(道) · 여(如) · 행(行) · 출(出) 가운데 도(道)를 말한다. 이것은 '도제 즉 성도(聖道)에 대하여, 성도는 진리로 통하는 길 즉 진리에 들어가는 길[通行義]이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
[백과사전] 덕(德) 덕(德) 덕(德)은 정도(正道: 바른 길)를 실천함에 의해 얻게 된 이익(利益) · 행복(幸福) · 공덕(功德) · 복덕(福德) · 도덕(道德) 등을 말한다. 여기서 도덕(道德)에서의 덕(德)은 정도(正道: 바른 길)를 성취하여 잃어버리지 않는 것을 뜻하고, 도(道)는 성취한 덕, 즉 정도(正道: 바른 길)를 통해 득한 이익 또는 공덕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을 뜻한다. 덕(德)은 불 · 법 · 승 3보(三寶)를 말한다. 엄밀히는 이들이 지닌 청정한 공덕을 뜻한다. 덕(德)은 공덕(功德)의 줄임말로, 계(戒) · 정(定) · 혜(慧)의 3학을 말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덕(德) #정도(正道: 바른 길) #이익(利益) · 행복(幸福) · 공덕(功德) · 복덕(福德) · 도덕(道德) #도덕(道..
[백과사전] 대치(對治) 대치(對治) 대치(對治, 산스크리트어: pratipaksa)는 '다스린다'는 뜻으로, 선법(善法)으로 유루 번뇌를 끊는 것을 말한다. 대치(對治)하는 방법 또는 수단을 대치법(對治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다음 목록에서 전자의 선법(善法)은 후자의 불선법(不善法) 또는 번뇌(煩惱)를 대치(對治)한다. 정진(精進) 또는 근(勤)은 해태(懈怠)를 대치한다. 참(慚)은 무참(無慚)을 대치한다. 괴(愧)는 무괴(無慚)를 대치한다. 무탐(無貪)은 탐(貪)을 대치한다. 무진(無瞋)은 진(瞋, 瞋恚)을 대치한다. 무치(無癡)는 치(癡)를 대치한다. 경안(輕安) 또는 안(安)은 혼침(惛沈)을 대치한다. 불방일(不放逸)은 방일(放逸)을 대치한다. 행사(行捨) 또는 사(捨)는 도거(掉擧)를 대치한다. #불교 #백과사전..
[백과사전] 대지법과 대번뇌지법의 4구분별 대지법과 대번뇌지법의 4구분별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는 불신(不信) · 해태(懈怠) ·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무명(無明)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 · 도거(掉擧) · 방일(放逸)의 10가지 마음작용이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에 속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반면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치(癡, 無明) · 방일(放逸) · 해태(懈怠) · 불신(不信) · 혼침(惛沈) · 도거(掉擧)의 6가지 마음작용이 대번뇌지법에 속한 것으로 말하고 있다. 즉,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고 있는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의 5가지 마음작용이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대번뇌지법에서 빠져 있으며 또한..
[백과사전] 대지법(大地法) 대지법(大地法) 대지법(大地法, 산스크리트어: mahā-bhūmika dharmā, 팔리어: sabbacittasādhāraṇa cetasikas, 영어: universal mental factors)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位]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 ·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 ·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 ·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다. 대지법(大地法)은 일체(一切)의 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두루 함께[大]' 일어나며, 따라서 일체(一切)의 마음에서 '항상[大]' 발견되는 마음작용(심소법)을 말한다. 설일체유부에..
[백과사전] 대자재천(大自在天) 대자재천(大自在天) 대자재천(大自在天, 산스크리트어: Maheśvara, Mahāśvara, 팔리어: Mahissara)은 힌두교의 신 시바(산스크리트어: शिव Śiva, 영어: Shiva)의 전통적인 불교식 명칭이다. 마혜수라(摩醯首羅) ·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 · 마혜습벌라(摩醯濕伐羅) 또는 막혜이습벌라(莫醯伊濕伐羅)라고도 음역하며, 대자재(大自在) · 자재천(自在天) · 자재천주(自在天王) 또는 천주(天主)라고도 의역한다. 또는 상갈라(商羯羅, 산스크리트어: Śaṅkara) 혹은 이사나(伊舍那, 산스크리트어: Īśāna)라고도 하는데, 이 두 명칭은 시바의 다른 이름을 음역한 것이다. 예를 들어, 구마라습(344~413)이 한역한 용수(150?~250?)의 《대지도론》(402~406년)의 제2권..
[백과사전] 대수번뇌심소(대隨煩惱心所) 대수번뇌심소(대隨煩惱心所) 대수번뇌심소(대隨煩惱心所: 8가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를 이루는 세 그룹 가운데 하나이다. '대'수번뇌(大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모든 염오심(染污心) 즉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수번뇌(隨煩惱: 하나 혹은 다수의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그 근본번뇌와 함께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라는 것을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대수번뇌심소(대隨煩惱心所)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대'수번뇌(大隨煩惱) #염오심(染污心) #수번뇌(隨煩惱: 하나 혹은 다수의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그 근본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