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44)
무루유위(無漏有爲): 부동한 진리의 활동에 대한 이해 무루유위(無漏有爲) 무루유위(無漏有爲)는 본체의 입장에서 볼 때 적정하고 담연하며 부동한 무위법 즉 진리가 활동함에 있어서, 그 모습이 유루법와 잡염법의 소란스러움[擾亂]을 멀리 떠나 있는 무루일 뿐만 아니라 그 작용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말한다. 무위법 즉 진리의 이러한 작용(作用)적 측면을 가리켜 무루유위라 한다. 유위무루(有爲無漏)라고도 한다. 4성제 가운데 도제(道諦)에 해당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루유위(無漏有爲) #잡염법의 소란스러움[擾亂]을 멀리 떠나 있는 무루일 뿐만 아니라 그 작용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말한다. #유위무루(有爲無漏) #도제(道諦)
무루무위(無漏無爲): 부동한 진리의 본래 모습 무루무위(無漏無爲) 무루무위(無漏無爲)에서 무위(無爲)는 진리의 다른 말이며, 무루무위는 유루법과 잡염법을 멀리 떠나 있는 것을 가리킨다. 달리 말하면, 무위법 즉 진리 즉 '무루의 깨달음'의 본래 모습은 유루법와 잡염법의 소란스러움[擾亂]을 멀리 떠나 있는 무루일 뿐만 아니라 적정(寂靜)하고 담연(湛然)하고 부동(不動)하다. 무위법 즉 진리의 이러한 본체(本體)적 측면을 가리켜 무루무위라 한다. 무위무루(無爲無漏) · 무위법신(無爲法身) 또는 무위열반계(無爲涅槃界)라고도 한다. 4성제 가운데 멸제(滅諦)에 해당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루무위(無漏無爲) #진리의 다른 말 #유루법과 잡염법을 멀리 떠나 있는 것을 가리킨다. #무루의 깨달음 #적정(寂靜)하고 담연(湛然)하고 부동(不動)하다. #무..
무량상(無量想): 부파불교의 마음 작용 중 하나 무량상(無量想) 무량상(無量想) 또는 한량없는 생각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 상(想)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소상(小想) · 대상(大想) · 무량상(無量想)의 3상(三想)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무량상(無量想)은 무색계의 공무변처와 식무변처를 요별할 수 있는 상(想)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량상(無量想) #한량없는 생각 #아비달마품류족론 #소상(小想) · 대상(大想) · 무량상(無量想) #무색계의 공무변처와 식무변처를 요별할 수 있는 상(想)이다.
무대법(無對法): 부파불교에서의 무장애성과 관련된 개념 무대법(無對法) 무대법(無對法, 산스크리트어: apratigha, 티베트어: thogs pa med pa, 영어: unobstructed, unopposed, unhindered, non-resistance)은 줄여서 무대(無對)라고도 한다. 문자 그대로의 뜻은 '대(對)함이 없다'는 것으로, '대(對)'는 애(礙: 방해, 장애) 또는 대애(對礙: 대하여 방해함, 대하여 장애함)를 뜻한다. 따라서 무대법 또는 무대는 대애성(對礙性)이 없는 법을 뜻한다. 대애성(對礙性) 또는 줄여서 대애(對礙)는 어떤 사물이 이미 어떤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다른 사물이 그 동일 공간을 점유하지 못하도록 장애하는 성질이다. 무대법(無對)을 무장애법(無障礙法) 또는 무장애(無障礙)라고도 하고, 무대(無對)의 성질을 무장애..
무기사(無記思): 선악을 떠나 중립적인 의업을 가리키는 정신적 행위 무기사(無記思) 무기사(無記思), 무기의 사 또는 착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사는 사(思)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선사(善思) · 불선사(不善思) · 무기사(無記思)의 3사(三思) 가운데 하나이다. 무기사(無記思)는 무기의 사(思) 즉 선도 불선도 아닌 의업(意業)을 짓고 만드는[造作] 것, 즉, 공덕(功德)도 과실(過失)을 짓는 정신적 행위[意業]를 말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기사(無記思) #착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사는 사(思) #선사(善思) · 불선사(不善思) · 무기사(無記思) #선도 불선도 아닌 의업(意業)을 짓고 만드는[造作] 것 #공덕(功德)도 과실(過失)을 짓는 정신적 행위[意業]
무괴(無愧): 스승의 꾸짖음이나 죄과에 부끄럽지 않게 대하는 마음작용 무괴(無愧) 무괴(無愧)는 괴(愧)의 반대인데, 계(戒) · 정(定) · 혜(慧)의 3학(三學)의 공덕이 있는 사람, 즉 스승의 꾸짖음이나 죄과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마음작용, 또는 죄에 대해 두렵게 보지 않는 마음작용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괴(無愧) #계(戒) · 정(定) · 혜(慧) #스승의 꾸짖음이나 죄과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마음 #죄에 대해 두렵게 보지 않는 마음작용이다.
무경(無敬): 공덕과 스승에 대한 공경이 없는 마음 상태 무경(無敬) 무경(無敬)은 온갖 공덕(功德)과 유덕자(有德者: 즉 스승)에 대해 공경함이 없는 것으로, 《구사론》에 따르면, 무숭(無崇) · 무소수속(無所隨屬)과 함께 무참(無慚)의 마음작용의 본질적 성질을 이룬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경(無敬) #공경함이 없는 것 #무숭(無崇) #무소수속(無所隨屬) #무참(無慚) #공덕(功德)과 유덕자(有德者: 즉 스승)에 대해 공경함이 없는 것
묘(妙): 불교에서 온갖 근심이 없는 상태를 가리키는 수행법 묘(妙) 묘(妙, 산스크리트어: pranīta)는 3계(三界)를 벗어났기 때문에 온갖 근심이 없는 것[眾患無]을 뜻하는데, 택멸(擇滅) 즉 열반(涅槃)을 가리키는 말이다. 묘(妙, 산스크리트어: pranīta)는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25]) 가운데 하나로, 4성제 중 멸제에 대한 4가지 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멸(滅) · 정(靜) · 묘(妙) · 리(離) 가운데 묘(妙)를 말한다. 이것은 '택멸 즉 열반이란 3계(三界)를 벗어났기 때문에 온갖 근심이 없는 것[眾患無]이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을 묘(妙)라고 한다. 묘(妙)는 추(麤) · 고(苦) · 장(障) · 정(靜) · 묘(妙) · 리(離)의..
[백과사전] 템플스테이란? 템플스테이란? 과거 대한민국에서는 시민들이 소도의식에 빌어 독재의 눈을 피하거나 고시나 대입시험 등으로 산사에서 기거한 일은 자주 있어왔다. 즉, 현대 이전엔 이런 일은 없었다. 전근대 시절에 승려가 아닌 일반인이 절에 장기간 숙박하는 이유는 오로지 중이 되거나 불법을 수련하기 위해서였다. 절은 기본적으로 안거두타(安居頭陀)를 위한 곳이고 두타행은 신자들의 소관이 아니었다. 즉, 시민이 절에 휴식 및 수험을 목적으로 장기간 숙박하는 전통은 불교 교리에도 없는, 현대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진 전통이었고, 특수한 시대상황에서 만들어진 것이라 체계적으로 정립된 산사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 여유는 없었다. 외부인의 거처는 주지의 재량에 맡길 뿐이었다. 그러던 차에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템플스테..
[외부사이트]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외부 사이트 템플스테이 관련 자료를 찾다가보니 정리가 잘 되어 있는 사이트를 발견 하였습니다. ** 템플스테이에 관심 있는 분들은 홈페이지에 방문 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 바로가기 #불교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 추천 #템플스테이 사이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