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불교 사전

(416)
[백과사전] 3법(三法)-3업(三業)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법(三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업(三業)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업(三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8] 신업(身業) · 어업(語業) · 의업(意業) 선업(善業) · 불선업(不善業) · 무기업(無記業) 학업(學業) · 무학업(無學業) · 비학비무학업(非學非無學業) 견소단업(見所斷業) · 수소단업(修所斷業) · 비소단업(非所斷業) 순현법수업(順現法受業) · 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 · 순후차수업(順後次受業) 순락수업(順樂受業) · 순고수업(順苦受業) · 순불고불락수업(順不苦不樂受業) #불교 #백과사전 #사전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3업(三業)
[백과사전] 3법(三法)-3언의사(三言依事)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법(三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언의사(三言依事)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언의사(三言依事)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과거언의사(過去言依事) · 미래언의사(未來言依事) · 현재언의사(現在言依事) #불교 #백과사전 #사전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3언의사(三言依事) #과거언의사(過去言依事) #미래언의사(未來言依事) #현재언의사(現在言依事)
[백과사전] 3법(三法)-3세(三世)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법(三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세(三世)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세(三世)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과거세(過去世) · 미래세(未來世) · 현재세(現在世) #불교 #백과사전 #사전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3세(三世) #과거세(過去世) #미래세(未來世) #현재세(現在世)
[백과사전] 3법(三法)-3루(三漏)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법(三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루(三漏)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루(三漏)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욕루(欲漏) · 유루(有漏) · 무명루(無明漏) #불교 #백과사전 #사전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3루(三漏) #욕루(欲漏) #유루(有漏) #무명루(無明漏)
[백과사전] 3법(三法)-3고성(三苦性)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법(三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고성(三苦性)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고성(三苦性)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고고성(苦苦性) · 괴고성(壞苦性) · 행고성(行苦性) #불교 #백과사전 #사전 #3법(三法) #3고성(三苦性) #아비달마품류족론 #고고성(苦苦性) #괴고성(壞苦性) #행고성(行苦性)
[백과사전] 3법(三法)-3계(三界) 3법(三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법(三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계(三界)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3계(三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욕계(欲界) · 에계(恚界) · 해계(害界) 출리계(出離界) · 무에계(無恚界) · 무해계(無害界)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 · 멸계(滅界) #불교 #백과사전 #사전 #3법(三法) #3계(三界) #아비달마품류족론
[백과사전] 2법(二法) 2법(二法)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과 제6권 등에 따르면, 2법(二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들 각각의 2법은 일체법(一切法)을 두 가지로 구분한 것이기 때문에, 둘을 합한 것은 곧 일체법의 다른 말이다. 유색법(有色法) · 무색법(無色法) 유견법(有見法) · 무견법(無見法) 유대법(有對法) · 무대법(無對法) 유루법(有漏法) · 무루법(無漏法) 유위법(有為法) · 무위법(無為法) 유쟁법(有諍法) · 무쟁법(無諍法) 세간법(世間法) · 출세간법(出世間法) 타계법(墮界法) · 불타계법(不墮界法) 유미착법(有味著法) · 무미착법(無味著法) 탐기의법(耽嗜依法) · 출리의법(出離依法) 심법(心法) · 비심법(非心法) 심소법(心所法) · 비심소법(非心所法) 심상응법(心相應法) · 심불상응법(心不相應..
[백과사전] 1법(一法) 1법(一法) 1법(一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들은 모두 일체법(一切法)의 다른 말이다. 소지법(所知法) 소식법(所識法) 소통달법(所通達法) 소연법(所緣法) 증상법(增上法) #불교 #백과사전 #사전 #1법(一法) #일체법(一切法) #소지법(所知法) #소식법(所識法) #소통달법(所通達法) #소연법(所緣法) #증상법(增上法)
[백과사전] 10진여(十眞如) 10진여(十眞如) 10진여(十眞如)는 52위의 보살 수행계위 가운데 10지(十地)와 관련된 유식유가행파의 교의로, 《성유식론》 제9권에 따르면, 본질적 입장에서 보면 진여성(眞如性) 즉 진여의 자성[性]은 무차별(無差別: 차별이 없음, 차별이 불가능함)이므로 나눌 수 없는 것이나, 10지의 각각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뛰어난 덕[勝德]을 기준하여 진여를 분위차별함으로써 다음의 10가지 진여로 가립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10지의 각각의 지(地)에 들어갈 때 10중장(十重障) 가운데 해당되는 번뇌[障]가 끊어지며, 수행자는 각각의 지(地)에서 해당되는 진여성(眞如性)을 재차 증오(證悟)하게 된다. 변행진여(遍行眞如) - 초지(初地)에서 재차 증오하는 진여 최승진여(最勝眞如..
[백과사전] 불승 10지(佛乘十地) 불승 10지(佛乘十地) 10지(十地)는 부처 또는 여래의 10가지 덕인 불 10지(佛十地)를 말한다. 불승 10지(佛乘十地)라고도 한다. 심심난지광명지덕지(甚深難知廣明智德地) 또는 최승심심난식비부라광명지작지(最勝甚深難識毘富羅光明智作地) 청정신분위엄불사의명덕지(清淨身分威嚴不思議明德地) 또는 무구신위장엄불사의광명작지(無垢身威莊嚴不思議光明作地) 선명월당실상해장지(善明月幢寶相海藏地) 또는 묘광명월당보치해장지(妙光明月幢寶幟海藏地) 정묘금광공덕신통지덕지(精妙金光功德神通智德地) 또는 정묘금광공덕신통지작지(淨妙金光功德神通智作地) 화륜위장명덕지(火輪威藏明德地) 또는 광명미장위장조작지(光明味場威藏照作地) 허공내청정무구염광개상지(虛空內清淨無垢焰光開相地) 또는 공중승정무구지거개부작지(空中勝淨無垢持炬開敷作地) 광승법계장명계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