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1236)
[백과사전] 과(果) 과(果) 1. 과(果)는 결과 또는 과보를 뜻한다. 2. 과는 수다원과 · 사다함과 · 아나함과 · 아라한과의 4과(四果)를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과(果) #과보를 뜻 #결과를 뜻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과 #4과(四果)
[백과사전] 공제(空諦) 공제(空諦) 공제(空諦)는 천태교학에서의 공제(空諦) · 가제(假諦) · 중제(中諦)의 3제(三諦) 가운데 하나로, 일체법은 실체[實]로서의 존재가 아니라 공(空)으로서의 존재라는 것을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공제(空諦) #3제(三諦) #가제(假諦) #중제(中諦) #일체법은 실체[實]로서의 존재가 아니라 공(空)으로서의 존재라는 것을 뜻한다.
[백과사전] 공용(功用) 공용(功用) 공용(功用) 또는 공용행(功用行)은 몸 · 입 · 뜻으로 짓는 3업(三業), 즉 동작 · 말 · 생각을 말한다. 공용(功用) 또는 공용행(功用行)은 의식적인 노력을 뜻한다. 유식유가행파의 수행론에 따르면, 보살이 공관(空觀)을 닦음에 있어서 초지(初地)에서 제7지(第七地)까지는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공관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제7지까지를 유공용지(有功用地) 또는 간단히 공용(功用)이라 한다. 반면, 제8지(第八地)부터는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공관(空觀)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이유로 제8지 이상을 무공용지(無功用地) 또는 간단히 무공용(無功用)이라 한다. 무공용(無功用)은 평등(平等) · 정직(正直) · 무공용주(無功用住), 또는 심평등성(心平等性) · 심정직성..
[백과사전] 공양(供養) 공양(供養) 공양(供養)은 불법승(佛法僧)의 3보(三寶)나 죽은 사람의 영(靈: 불교에서는 영가(靈駕)라고 한다) 등에 대해서 공물을 바치는 것이다. 승려들이 식사를 하는 것을 뜻하는 발우공양이나 재가신자가 사찰에서 식사를 하는 것을 가리킬 때도 공양이라고 하기도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공양(供養) #불법승(佛法僧)의 3보(三寶)나 죽은 사람의 영(靈: 불교에서는 영가(靈駕)라고 한다) 등에 대해서 공물을 바치는 것 #승려들이 식사를 하는 것을 뜻하는 발우공양 #재가신자가 사찰에서 식사를 하는 것을 가리킬 때도 공양
[백과사전] 공상(共相) 공상(共相) 공상(共相, 산스크리트어: sāmānya lakṣaṇa, 영어: common nature)은 여러 가지 법(法: 개별 존재)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특성이다. 예를 들어, 가을의 산이 빨갛고 불이 빨갛고 옷이 빨갛다고 할 때의 공통의 빨강을 가리켜 공상(共相)이라고 하고, 파랑 혹은 노랑 등과 구별되는 빨강 그 자체를 가리켜 자상(自相)이라고 한다. (반대말: 자상(自相), 자성(自性)) #불교 #백과사전 #사전 #공상(共相) #개별 존재 #여러 가지 법(法: 개별 존재)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특성 #가을의 산이 빨갛고 불이 빨갛고 옷이 빨갛다고 할 때의 공통의 빨강을 가리켜 공상(共相) #파랑 혹은 노랑 등과 구별되는 빨강 그 자체를 가리켜 자상(自相)
[백과사전] 공능(功能) 공능(功能) 1. 공능(功能, 산스크리트어: samartha, śakti, 영어: ability, power)은 어떤 법(法) 즉 존재가 지니고 있는, 어떤 결과를 일으킬 수 있는 능력(能力)을 말한다. 이 낱말은, 대개, 좋은 결과를 일으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2. 공능(功能, 산스크리트어: samartha, 영어: function, effectiveness)은 작용(作用) 또는 기능(機能)을 뜻한다. 예를 들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근(根) · 경(境) · 식(識)의 3사(三事)가 화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들 3사의 각각이 모두 마음작용을 생겨나게 하는 공능(功能) 즉 작용(作用)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이 가진 이러한 공능 즉 작용에 의거하여 3사화합(三事和合)의 상태로부터 마..
[백과사전] 공(空) 공(空) 공(空, 산스크리트어: śūnya)은 '실체가 없음', ' 실재하지 않음', '환영임'을 뜻한다. 공(空, 산스크리트어: śūnya)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 가운데 하나로, 4성제 중 고제에 대한 4가지 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비상(非常) · 고(苦) · 공(空) · 비아(非我) 가운데 공(空)을 말한다. 이것은 '5취온(五取蘊)이란 내 것[我所, 산스크리트어: mama-kāra: 我所有의 준말이 아니다[違我所見]라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을 공(空)이라고 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공(空) #실체가 없음 #실재하지 않음 #환영임 #수행[行相]을 공(空) #5취온(五取蘊)이란 내 것..
[백과사전] 고지(苦智) 고지(苦智) 고지(苦智, 산스크리트어: duhkha-jñāna)는 10지(十智)와 11지(十一智) 가운데 하나로, 4성제 가운데 고제(苦諦)를 체득[了 또는 證]함으로써 획득[得]한 무루지(無漏智)이다. 달리 말하면, 고지는 욕계 · 색계 · 무색계의 고제를 체득[了 또는 證]한 지혜이다. 즉 욕계 · 색계 · 무색계에서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가운데 고제의 4행상(四行相)인 비상(非常) · 고(苦) · 공(空) · 비아(非我)를 관찰[觀]함으로써 획득한 무루의 지혜이다. 《아비달마품류족론》의 정의에 따르면, 고지(苦智)는 5취온에 대하여 비상(非常) · 고(苦) · 공(空) · 비아(非我)라고 사유(思惟)함으로써 일으킨 무루지(無漏智)이다. 즉, 5취온에 대하여 '5취온은 일시적[非常]인 것이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