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1236)
[수행법]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수(數, ganaṇā)의 수행)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 《구사론》 제22권에는 신념처 수행에 해당하는, 호흡 관찰 수행인 지식념(持息念)이 기술되어 있다. 지식념이라는 명칭은 《구사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지식념은 숨[息]을 지녀[持]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알아차리는[念] 것, 즉, 들이쉬는 숨(들숨, 入息)과 내쉬는 숨(날숨, 出息)을 알아차리는 것을 뜻한다. 《구사론》 제22권에 나오는 지식념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수(隨, anugama)의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들이쉴 때 들숨을 따라가며 어디까지 들어왔는지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들숨이 목구멍까지 들어왔으면 '목구멍까지 들어왔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들숨이 심장까지 들어왔으면 '심장까지 들어왔다'고 ..
[수행법]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수(數, ganaṇā)의 수행) 아비달마구사론의 지식념 《구사론》 제22권에는 신념처 수행에 해당하는, 호흡 관찰 수행인 지식념(持息念)이 기술되어 있다. 지식념이라는 명칭은 《구사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다. 지식념은 숨[息]을 지녀[持]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알아차리는[念] 것, 즉, 들이쉬는 숨(들숨, 入息)과 내쉬는 숨(날숨, 出息)을 알아차리는 것을 뜻한다. 《구사론》 제22권에 나오는 지식념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수(數, ganaṇā)의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수를 세면서 알아차린다. 참고로, 수를 세는 이유는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하면서도 알아차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행에서 마음이 흩어지지 않게 하는데, 즉, 잡념[散亂]에 빠지지 않게 하는데 매우 큰 도움..
[수행법]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 * 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 그리고 그 주석서에 따르면 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몸의 행동에 대한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나아갈 때 즉 가면서 앞으로 몸을 옮겨갈 때 '나아간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물러날 때 즉 가다가 되돌아올 때 '물러난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앞을 볼 때 '앞을 본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돌아 볼 때 '돌아 본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구부릴 때 즉 관절을 구부릴 때 '구부린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펼 때 즉 관절을 펼 때 '편..
[수행법]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 * 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몸의 상태란 행주좌와, 즉, 걷고 있는 상태, 서있는 상태, 앉아 있는 상태, 누워있는 상태를 말한다. 네 가지 자세라고도 한다. 이 네 가지를 전통적인 용어로 4위의(四威儀)라고 한다.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 그리고 그 주석서에 따르면 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몸의 상태에 대한 수행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걸어가면서 '걸어간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서있으면서 '서있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앉아 있으면서 '앉아 있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태로, 누워있으면서 '누워있다'고 알아차린다. 수동적 주의집중을 유지한 상..
[수행법]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 대념처경과 염처경의 수행법 * 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 그리고 그 주석서에 따르면 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준비 숲, 나무 아래, 또는 빈 집으로 간다. 현대인의 입장에서는, 그냥 자신의 방에 간다. 가부좌를 하고 앉는다. 현대인의 입장에서는, 결가부좌가 되지 않으면, 반가부좌, 그것도 힘들면 양반 자세를 한다. 몸을 곧게 세운다. 준비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수행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다. 몸을 곧게 세운다는 것은 허리를 펴는 것을 말한다. 허리가 펴져 있는 상태가 아니면 수행의 효과도 반감되고 또한 일정 (짧은) 시간이 지나면 수행을 지속하고 싶어도 허리, 등, 또는 목이 아파서 계속할 수가 없다. 이런 것이..
[백과사전] 신념처(身念處) 신념처(身念處) 신념처(身念處)는 초기불교의 수행법인 7과 37도품 중 첫 번째 과인 4념처(四念處: 신념처 · 수념처 · 심념처 · 법념처)의 첫 번째 수행법으로, 몸[身] 즉 육체를 관찰하는 알아차림(sati, 사띠) 수행 또는 명상법을 말한다. 남방불교의 대표적인 4념처 관련 경전들인, 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에 따르면 구체적인 14가지 수행법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체적인 수행법은 다시 자신의 몸을 관찰하는 것, 다른 사람의 몸을 관찰하는 것, 자신과 다른 사람의 몸을 교대로 관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념처경〉에 나타나는 신념처의 내용, 즉, 구체적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 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 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 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 몸을 구성하는 32..
[백과사전] 사정근(四正勤) 사정근(四正勤) 사정근(四正勤, Four Right Exertions)은 불교의 37조도품의 하나이다. 네 가지 바른 부지런함이란 뜻이다. 내용 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네 가지 법을 말한다. 첫째 이미 생긴 악을 없애려고 부지런함 둘째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은 미리 방지하려고 부지런함 셋째 이미 생긴 선을 더욱 더 자라게 하려고 부지런함 넷째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은 생기도록 부지런함 #불교 #백과사전 #사전 #사정근(四正勤) #불교의 37조도품의 하나 #네 가지 바른 부지런함이란 뜻 #이미 생긴 악을 없애려고 부지런함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은 미리 방지하려고 부지런함 #이미 생긴 선을 더욱 더 자라게 하려고 부지런함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은 생기도록..
[백과사전] 37도품(三十七道品) 37도품(三十七道品) 37도품(三十七道品)은 깨달음(도, 보리, 각)에 이르는 37가지의 법을 말하는데, 초기불교의 《아함경》 또는 《니까야》 에서 고타마 붓다가 언급하거나 설명하고 있는 37가지의 도품(道品) 즉 수행법(修行法)을 가리키는 낱말로, 사실상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통칭하는 낱말이다. 도품(道品, 팔리어: bodhipakkhiyā dhammā, 산스크리트어: bodhipakṣa dharma)의 팔리어 또는 산스크리트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깨달음(bodhi, 보리)에 속하는(pakkhiyā) 법(dhammā, 法)', '깨달음의 일부를 이루는 법' 또는 '깨달음에 관계된 법'이다. 이런 문자 그대로의 뜻을 따르면서 'bodhi'를 '보리'라고 음역하여, 37도품(三十七道品)이라는 낱말 대신에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