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1236)
[백과사전] 환속(還俗) 환속(還俗) 환속(還俗)은 승려가 됐던 사람이 다시 속인으로 돌아오는 것을 가리킨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환속(還俗) #승려가 됐던 사람이 다시 속인으로 돌아오는 것 #다시 속인으로 돌아오는 것을 가리킨다.
[백과사전] 화(火) 화(火) 화(火)는 번뇌의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로, 번뇌가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이 쌓아올린 선근(善根)의 자량[薪]을 불태워 사라지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화(火) #번뇌 #유정으로 하여금 자신이 쌓아올린 선근(善根)의 자량[薪]을 불태워 사라지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선근(善根) #자량[薪]
[백과사전] 혼침(惛沈) 혼침(惛沈) 혼침(惛沈, 가라앉은 마음, 산스크리트어: styāna, 팔리어: thīna)은 몸과 마음을 무겁게 하고 침울하게 하고 무기력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혼침(惛沈) #가라앉은 마음 #몸과 마음을 무겁게 하고 침울하게 하고 무기력하게 하는 마음작용
[백과사전] 호향(好香) 호향(好香) 호향(好香)은 좋은 냄새를 말한다. 1. 호향(好香: 좋은 냄새) · 오향(惡香: 나쁜 냄새)이 다시 각기 등향(等香: 몸에 이로운 냄새) · 부등향(不等香: 몸에 해로운 냄새)으로 나뉘어서 이루어지는 4향(四香)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한 요소이다. 2. 호향(好香: 좋은 냄새) · 오향(惡香: 나쁜 냄새) · 평등향(平等香: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의 3향(三香)의 하나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호향(好香) #호향(好香: 좋은 냄새) #오향(惡香: 나쁜 냄새) #등향(等香: 몸에 이로운 냄새) #부등향(不等香: 몸에 해로운 냄새) #평등향(平等香: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냄새) #4향(四香) #3향(三香)
[백과사전] 혜(慧)의 8가지 다른 이름 혜(慧)의 8가지 다른 이름 혜의 8가지 다른 이름은 혜(慧) 즉 반야(般若) 즉 지혜(智慧, 知慧)의 8가지 이름인 지(智) · 견(見) · 명(明) · 각(覺) · 해(解) · 혜(慧) · 광(光) · 관(觀)을 말한다. 《품류족론》과 《구사론》에 따르면, 세속지(世俗智) · 법지(法智) · 유지(類智) · 고지(苦智) · 집지(集智) · 멸지(滅智) · 도지(道智) · 타심지(他心智) · 진지(盡智) · 무생지(無生智)의 10지(十智) 가운데 진지와 무생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진지(盡智, 산스크리트어: ksaya-jñāna): "나는 이미 괴로움을 알았다[我已知苦]. 나는 이미 괴로움의 원인을 끊었다[我已斷集].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을 증득하였다[我已證滅]. 나는 이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
[백과사전] 혜(慧) 혜(慧)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혜(慧, 산스크리트어: prajñā, 팔리어: paññā)는 판단 또는 판단작용으로, 5위75법의 중 심소법(心所法)의 대지법(大地法: 마음이 일어날 때면 언제나 항상 함께 일어나는 마음 작용들)에 속한다. (참고: 반야(般若)) 《구사론》에 따르면, 혜(慧, prajñā, paññā)는 곧 택법(擇法, dharma-pravicaya, dhamma-vicaya)을 말한다. 즉 모든 법(法)을 살펴서 참된 것[眞]과 거짓된 것[僞], 선한 것[善]과 악한 것[不善]을 판별하여, 참된 것과 선한 것을 취하고 거짓된 것과 악한 것을 버리는 것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인(忍, kṣānti)과 지(智, jñāna)와 견(見, dṛṣṭi)은 모두 혜(慧, pra..
[백과사전] 형색(形色) 형색(形色) 형색(形色, 산스크리트어: samsthāna-rūpa)은 현색(顯色)과 함께 색경(色境: 눈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의 두 가지 구분 중의 하나이다.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껴서 인식하는 물질을 말한다. 장(長) · 단(短) · 방(方) · 원(圓) · 고(高) · 하(下) · 정(正) · 부정(不正: 평평하지 않음)의 8가지가 있다. 또는 형색(形色, 산스크리트어: rūpāvacara)은 형체색상(形體色相)의 줄임말로, 사람의 안색과 용모를 뜻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형색(形色) #현색(顯色) #색경(色境: 눈으로 볼 수 있는 대상)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껴서 인식하는 물질
[백과사전] 현행식(現行識) 현행식(現行識) 현행식(現行識, 산스크리트어: pravṛtti-vijñāna)은 현재 시점에서 나타나 활동하고 있는 마음, 즉 식(識)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일체법이 과거 · 현재 · 미래의 3세에 걸쳐 항상 존재한다고 보았는데, 일체법에는 심법(心法) 즉 마음 또는 식(識)이 포함된다.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현행식(現行識)이란 미래에 존재하는 법이 인연이 갖추어짐에 따라 현재의 법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심법(心法: 마음, 식, 즉 6식)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현행식이란 인연화합에 의해 미래의 식(심법, 마음)이 현재에 나타나 있는 것을 말한다. 반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는 아뢰야식(阿賴耶識)에 일체법의 종자가 함장되어 있고 인연이 갖추어지면 그 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