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36)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과사전] 10중장(十重障) 10중장(十重障) 10중장(十重障) 또는 10장(十障)은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52위의 보살 수행계위에서 10지(十地)의 각 지(地)에 들어갈 때에 끊는 다음의 10가지 번뇌[障]를 말한다. 견도 · 수도 · 무학도의 3도 가운데, 맨 처음의 장(障)은 견도에서 끊는 번뇌이고 나머지 9가지는 수도(修道)에서 끊는 번뇌들이다. 이생성장(異生性障) - 초지(初地)에 들어갈 때에 끊음 사행장(邪行障) - 제2지에 들어갈 때에 끊음 암둔장(闇鈍障) - 제3지에 들어갈 때에 끊음 미세번뇌현행장(微細煩惱現行障) - 제4지에 들어갈 때에 끊음 어하승반열반장(於下乘般涅槃障) - 제5지에 들어갈 때에 끊음 추상현행장(麤相現行障) - 제6지에 들어갈 때에 끊음 세상현행장(細相現行障) - 제7지에 들어갈 때에 끊음 무상중작가.. [백과사전] 10전(十纏) 10전(十纏) 10전(十纏)은 다음의 10가지 수번뇌(隨煩惱)를 말한다. 무참(無慚) 무괴(無愧) 질(嫉) 간(慳) 회(悔) 면(眠) 도거(掉舉) 혼침(惛沈) 분(忿) 부(覆) #불교 #백과사전 #사전 #10전(十纏) #10가지 수번뇌(隨煩惱) #무참(無慚) #무괴(無愧) #질(嫉) #간(慳) #회(悔) #면(眠) #도거(掉舉) #혼침(惛沈) #분(忿) #부(覆) [백과사전] 11론(十一論) 11론(十一論) 11론(十一論) 또는 소의 11론(所依十一論)은 법상종(法相宗)에서 소의 논서로 삼고 있는 다음의 11가지의 논서를 말한다.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 집량론(集量論) 섭대승론(攝大乘論) 십지경론(十地經論) 분별유가론(分別瑜伽論)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 변중변론(辯中邊論)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불교 #백과사전 #사전 #11론(十一論) #11가지의 논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 #집량론(集量論) #섭대승론(攝大乘論) #십지경론(十地經論) #분별유가론(分別瑜伽論)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 #변중변론(辯中邊論)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백과사전] 11공(十一空) 11공(十一空) 11공(十一空)은 《북본열반경》 제17권과 《대승의장》 제4권 등에서 설하는 갖가지 사견(邪見)을 깨뜨리는 다음의 11가지의 공(空)을 말한다. 공(空)은 궁극적으로 살펴보면 실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으로, 집착을 깨뜨리는 또 다른 실체로서의 '없음' 또는 '비어있음'이 아니라, 집착을 깨뜨리는 방편 또는 도구로서의 '없음' 또는 '비어있음'이다. 《대승의장》 제20권에 따르면 11공은 보살명(菩薩明) · 제불명(諸佛明) · 무명명(無明明)의 3명(三明) 가운데 무명명에 해당한다. 내공(內空) 외공(外空) 내외공(內外空) 유위공(有爲空) 무위공(無爲空) 무시공(無始空) 성공(性空) 무소유공(無所有空) 제일의공(第一義空) 공공(空空) 대공(大空) #불교 #백과사전 #사전 #11공.. [백과사전] 10인(十因) 10인(十因) 10인(十因, 산스크리트어: daśa hetavah)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인과설에서 4연(四緣)을 더 세분하여 다음의 10가지 종류의 원인[因]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즉 직접적 · 간접적 원인에 대한 다음의 10가지 분류를 말한다. 수설인(隨說因) 산스크리트어: anuvyavahāra-hetu 관대인(觀待因) 견인인(牽引因) 생기인(生起因) 산스크리트어: abhinirvṛtti-hetu 섭수인(攝受因) 인발인(引發因) 정이인(定異因) 동사인(同事因) 산스크리트어: saha-kāri-hetu 상위인(相違因) 산스크리트어: virodha-hetu 불상위인(不相違因) 산스크리트어: avirodha-hetu #불교 #백과사전 #사전 #10인(十因) #직접적 · 간접적 원인 #수설인(隨說因.. [백과사전] 12심(十二心) 12심(十二心) 12심(十二心)은 '마음과 마음작용' 즉 '심법과 심소법'이 항상 상응하여 작용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마음과 마음작용이 함께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심(心) 즉 마음이라 할 때, 그것에 다음 목록과 같은 12가지의 구분 또는 상(相)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12유형의 마음을 말한다. 12심은 《구사론》 제7권 등에 나오는 유형 구분이다. 욕계(欲界)의 선심(善心), 즉 욕계의 선한 마음 욕계(欲界)의 불선심(不善心), 즉 욕계의 악한 마음 욕계(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즉 욕계의 유부무기의 마음 욕계(欲界)의 무부무기심(無覆無記心), 즉 욕계의 무부무기의 마음 색계(色界)의 선심(善心), 즉 색계의 선한 마음 색계(色界)의 유부무기심(有覆無記心), 즉 색계의 유부무기의 마음 색계.. [백과사전] 12수면(十二隨眠) 12수면(十二隨眠) 12수면(十二隨眠)은 다음의 12가지 근본번뇌를 말한다. 욕탐수면(欲貪隨眠) 진에수면(瞋恚隨眠) 색탐수면(色貪隨眠) 무색탐수면(無色貪隨眠) 만수면(慢隨眠) 무명수면(無明隨眠) 유신견수면(有身見隨眠) 변집견수면(邊執見隨眠) 사견수면(邪見隨眠) 견취수면(見取隨眠) 계금취수면(戒禁取隨眠) 의수면(疑隨眠) #불교 #백과사전 #사전 #12수면(十二隨眠) #근본번뇌 #욕탐수면(欲貪隨眠) #진에수면(瞋恚隨眠) #색탐수면(色貪隨眠) #무색탐수면(無色貪隨眠) #만수면(慢隨眠) #무명수면(無明隨眠) #유신견수면(有身見隨眠) #변집견수면(邊執見隨眠) #사견수면(邪見隨眠) #견취수면(見取隨眠) #계금취수면(戒禁取隨眠) #의수면(疑隨眠) [백과사전] 10악(十惡) 10악(十惡) 10악(十惡)은 몸[身] · 말[語] · 뜻[意, 마음]으로 짓는 다음의 10가지 종류의 악업(惡業)들을 말한다. 10악을 다른 말로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이라고도 한다. 신삼(身三)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婬) 구사(口四) 망어(妄語) 양설(兩舌) 악구(惡口) 기어(綺語) 의삼(意三) 탐욕(貪欲) 진에(瞋恚) 사견(邪見) #불교 #백과사전 #사전 #10악(十惡) #몸[身] · 말[語] · 뜻[意. 마음]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 #신삼(身三) #구사(口四) #의삼(意三)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