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1236)
[백과사전] 보리달마 보리달마 菩提達磨 중국선종(中國禪宗)의 창시조. 생사 연대 불명. 남인도 또는 파사국(波斯國)에서 태어났다. 520년경 전후에 북위(北魏)의 도읍 뤄양(洛陽)에 갔다가 그 후 숭산 소림사(小林寺)에서 좌선수행(坐禪修行)에 정진하고 그 선법(禪法)을 혜가(慧可) 등에게 전수하였다. 달마의 전기에는 분명치 않은 점이 많다. 당송(唐宋) 시대 선종의 발전과 더불어 그의 전기가 추가, 보완되어 선종의 1대조로서의 달마상(達磨像)이 역사적 사실과는 별도로 확립되게 되었다. 양무제(梁武帝)와의 문답에 관한 이야기, 혜가가 눈 속에서 팔을 자르고 법을 전수받았다는 이야기, 서역(西域)에서 서쪽으로 돌아가는 달마를 만나보았다는 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그는 사권릉가경(四卷楞伽經)을 중시하고 2입(二入:理入과 行入..
[백과사전] 선종의 발달 선종의 발달 禪宗-發達 선(禪)은 선나(禪那:jhana)의 약칭으로서 정려(靜慮)라고 번역되며 마음을 가라앉히고 집중하는 종교적 실천이다. 인도에서 기원된 것이나 중국에 전해져서 새로운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유력한 종파의 하나가 되었다. 선종이라고 하는 호칭은 당대에 들어와서 생겨난 것이며, 그 이전에는 여러 가지 명칭을 가졌었다고 한다. 선종의 처음 조사(祖師)라고 하는 보리달마는 2입 4행설에 입각한 좌선을 권장하였다. 선종은 그 후에 2조(二祖) 혜가(慧可), 3조(三祖) 승찬(僧璨), 4조(四祖) 도신(道信), 5조(五祖) 홍인(弘忍)에 전해져서 도신과 홍인의 시대에는 종회에 참가하는 자가 500명에 이르렀다. 당의 초기에는 신수(神秀)의 북종(北宗)과 혜능(慧能)의 남종(南宗)이 대립하여 분열되었..
[백과사전] 삼계교 삼계교 三階敎 수대(隋代)에 신행(信行, 540∼594)이 새로 일으킨 불교의 일파. 수대로부터 송대에 걸치는 약 400년간 유행한 혁신적·이단적인 종교이며 삼계종·삼계불법·보법종(普法宗)이라고도 한다. 신행은 젊어서 출가하여 불교가 극히 융성하였던 북제(北齊)의 도읍인 업에서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577년에 북주(北周)의 무제(武帝)가 북제에 침공해 들어와 흑심한 폐불을 단행하는 것을 목격하게 되었다. 신행도 다분히 도시를 빠져나가 산중에 몸을 숨길 것인가 혹은 환속할 것인가를 강요당하였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 고통에 찬 심각한 체험을 통하여 그는 현실사회와 그 속에서의 생활을 직시함으로써 아무리 몸부림쳐도 죄악으로부터 멀리 떨어져나갈 수 없는 무지한 자기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면으로 보아서..
[백과사전] 말법사상의 불교 말법사상의 불교 末法思想-佛敎 말법사상이라 함은 6세기경부터 중국에서 성행된 사상으로 불교의 시대관·역사관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정법(正法)·상법(像法)·말법(末法)의 3시사상(三時思想)에 따르면 정법시(正法時)는 정법이 엄존하여 교(敎)·행(行)·증(證) 모두가 빠짐 없이 갖추어져 있으나 상법시(像法時)에 들어오면 증(證)이 없어지고 교와 행만이 있게 되며 다시 말법시(末法時)에 이르게 되면 행과 증(證)은 없어지고 오직 교의 껍데기만 남게 된다고 한다. 이 3시사상 외에 5탁악세(五濁惡世)와 법멸(法滅)사상도 말법관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상말(正像末) 3시(三時)의 연한에 관하여는 경전에 기술이 각각 다르나 정법(正法) 500년, 상법(像法) 1000년, 말법은 1만년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
[백과사전] 지의 지의 (538∼597) 수나라 시대의 불교승. 천태종의 개조(開祖).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자대사(知者大師)의 존칭으로 불리어진다. 형주(荊州)의 화용(華容:湖南省華容縣) 사람. 한때 관직에 오르기도 하였으나 전란으로 인하여 양친과 친족을 잃었다. 18세에 출가하여 율장(律藏)과 비담(毘曇)·성실(成實)·선법(禪法) 등을 배워 익혔다. 그후 남악대사(南岳大師) 혜사(慧思)의 문중에 들어가 지관법문(止觀法門)·삼론계(三論界)의 교리와 선관(禪觀) 달마선(達磨禪) 등 소위 북방계의 교리를 이어받고 법화삼매(法華三昧)에 의하여 대오(大悟)하였다. 30세에 금릉(金陵)에 나아가 8년간 법화경 등의 강론에 힘썼다. 576년 명리(名利)를 떠나 천태산에 들어가 여기에서 약 10년간 수도 생활을 하였다. 천태교리의..
[백과사전] 길장 길장 吉藏(549∼623) 수나라 시대의 불교 인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 그의 선조는 파르티아(安息國) 사람이다. 금릉(金陵:江蘇省南京市)에서 태어나 출가한 아버지를 따라다니다 진체삼장(眞諦三藏)을 만나 길장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12세 때에 흥황사(興皇寺)에서 법랑(法朗)의 강의를 듣고 이듬해에 출가하였다. 처음에는 회계(會稽)의 가상사(嘉象寺)에서 삼론(三論)을 연구하였으므로 가상대사라고 받들어 일컫는다. 597년(開皇 17)에는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와 문통(文通)을 하였다. 뒤에 수양제(隋煬帝)의 칙명에 따라 양주(楊州)의 혜일사(慧日寺)에 들어갔다가 다시 장안의 일엄사(日嚴寺)로 옮겨 법화경을 연구하였다. 당의 무덕(武德) 초에 10대덕(十大德)의 한 사람으로 뽑혔으나, 얼마 후..
[백과사전] 수·당의 불교 수·당의 불교 隋·唐-佛敎 수·당시대는 중국불교가 새로운 전개를 보이게 된 시대였다. 남북의 분열을 통일한 수(隋), 그 뒤를 이은 당(唐)은 세계사적으로도 공전(空前)의 번영을 이룩하였는데 이러한 통일국가 시대가 새로운 불교를 요청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특정의 경론에 입각한 새로운 종파가 형성되고 중국인 자신에 의한 불교의 체계화·조직화가 진행되었다. 수·당 이전에도 비담종(毘曇宗)·섭론종(攝論宗)·성실종(成實宗)·지론종(地論宗)·열반종(涅槃宗) 등의 종(宗)으로 일컬어지는 것이 존재하였으나 이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학파(學派)라고 불러야 할 것으로 뒤의 종파와는 다른 것이었다. 학파로부터 종파로의 발전을 촉진한 계기가 된 것은 사원경제의 독립과 교판(敎判)의 확립이다. 삼론종(三論宗)은 아직도 학파적 ..
[백과사전] 북위의 석불 북위의 석불 北魏-石佛 북위시대에 건조된 대규모의 석굴불상.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운강석불(雲崗石佛)과 용문석불(龍門石佛)이 있다. 전자는 산시성 다퉁현(大同縣)의 서쪽 20km 지점에 있으며 사문통(沙門統) 담요(曇曜)가 문성제(文成帝)에 상주하여 454년에 건국 이래의 5제(五帝)에 대한 추선(追善)과 참회멸죄(懺悔滅罪)를 기원하여 5굴(五窟)을 열게 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더욱 큰 것으로 15굴이 만들어져서 이들은 조각사상 운강기(雲崗期)를 형성하게 된다. 둔황석굴(敦煌石窟)의 계통을 이어 받으면서 타쿠바쓰족의 웅혼(雄渾)한 솜씨가 넘쳐 흐른다. 후자의 것은 뤄양천도(洛陽遷都)와 더불어 그 교외에 있는 이수하반(伊水河畔)의 용문산(龍門山)에서 파서 만든 것. 운강의 것과 마찬가지로 선제(先帝)의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