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대백과사전/불교의 분파

[백과사전] 상좌부불교

728x90

상좌부불교

上座部佛敎
불멸 후 100년의 근본분열로 교단은 두 부파로 나뉘었는데 그 중 보수파인 상좌의 사람들에 의한 일파가 상좌부이다. 이 상좌부는 불멸 후 300년 초에 본상좌부(本上座部)와 설일체유부(說一體有部)로 나뉘고 본상좌부는 히말라야 지방으로 옮겨 설산부(雪山部)라고 불리었으며, 캐시미르 지방을 본거(本據)로 하여 세력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그 후의 분파에 의한 8부의 성립은 모두 설일체유부의 것으로 된 것이며, 따라서 유부는 상좌부계(上座部系) 중에서도 여러 부파 중 최대의 것이 되었고, 후에 일어난 대승불교의 비판·논란(論難)은 거의 모두 이 유부에게 돌려지는 상태였다. 그래서 상좌부불교라고 하면 당연히 설일체유부가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다.
원래 본상좌부(本上座部:雪山部)와 유부는 입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본상좌부에서는 경과 율을 중시한 데 대하여 유부에서는 논(論)을 중시하였다.
논은 교법에 대한 연구로서의 아비달마이며, 유부가 전거(典據)로 삼은 것은 기원전 2세기 카티야야니푸트라(Katyayanputra:迦多衍尼子)가 저술한 <발지론(發智論)>이었다. 그후 6종의 논이 만들어져 합하여 '6족발지(六足發智)'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행하여졌으며, 기원 2세기 쿠샨 왕조의 카니시카왕의 보호 아래 연구 성과에 대한 집대성(集大成)이 이루어져서,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 200권의 대저(大著)로 발전하여 유부의 교의가 완성되었다. 비바사(毘婆沙)란 분석 또는 주석이라는 뜻으로, <발지론>을 축어적(逐語的)으로 해석하면서 다른 여러 부파의 교설을 백과전서(百科全書)처럼 인용하고 이를 유부의 입장에서 비판한 것이다.
그러나 이 <대비바사론>이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이의 강요서(綱要書)가 만들어지고, 특히 4세기에 세친(世親)이 저술한 <구사론(俱舍論)>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중시되었다. 또한 세친은 유부(有部)에서 최후로 분파하여 경전만을 의지(依支)하는 경량부(經量部)에 속하며, 유부의 교리는 비판적으로 해설되었다.
이처럼 유부로 대표되는 상좌부불교는 교리적인 연구면에서 크게 진전하여 학문불교적인 색채가 농후했으며, 불교의 가장 정통적(正統的)인 사상을 이어받는 부파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 불교의 분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과사전] 대승불교  (0) 2022.08.19
[백과사전] 대중부불교  (0) 2022.08.19
[백과사전] 소승20부  (0) 2022.08.19
[백과사전] 밀교  (0) 2022.08.19
[백과사전] 현교  (0) 20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