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44)
[백과사전] 목건령의 생애 목건련(目犍連)의 생애 자라난 내력 마가다국의 왕사성 북쪽, 구리가 (코리카, 혹은 코리타) 촌의 Moggaliya라는 바라문 여성의 아이로, 아래는 구률다 (코리타) 라고 했다. 또한 「우란분재경」에서는 아버지를 길참사자 (나무편찬해), 어머니를 청제녀 (성이야에)라고 하지만, 이것은 중국에서 작성된 위경으로 되어 있다 (후술). 용모 단려로 모두의 학문에 정통하고 있었다. 어리고로부터 이웃마을 나라다의 사리불과 사이가 좋고, 어느 날, 사람들이 놀고 있는 모습을 보고, 염리의 마음을 일으켜 출가를 모두 서로 결의했다고 한다. 그들은 당초, 500명의 청년 동료들을 거느려 산쟈야 베이랏티풋타에게 입문했지만 만족하지 않고, "만약 만족하는 스승이 발견되면 모두 입문하자"라고 맹세했다. 후에 사리불이 아설..
[백과사전] 목건련 목건련(目犍連) 마우두갈야야나(산스크리트어: मौद्गल्यायन) 또는 목갈라나(팔리어: Moggallana), 목건련(目犍連)은 석가의 직속제자의 한 명. 제자중에서 신통 제일이라고 한다. 정확하게는 목건련이지만, 생략해 목련이라고 한다. 또 십대제자의 한 명으로서 필두였으므로, Mahaa (음사: 마하, 역: 대)를 붙여 마하목건련, 대목건련 등으로도 기록된다.
[백과사전] 마하가섭 마하가섭(摩訶迦葉) 마하카샤파(산스크리트어: Mahākāśyapa) 또는 마하가섭(摩訶迦葉)은 고타마 붓다의 십대제자 중 한 사람이다. 가섭 또는 대가섭(大迦葉)이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대음광(大飮光) 또는 대구씨(大龜氏)라고도 부른다. 인도의 왕사성 마하바드라의 거부였던 브라만 니그루다칼파의 아들로서 태어났다. 비팔라 나무 밑에서 탄생하였으므로 비팔라야나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집착에 사로잡히지 않는 청결한 인물로서 고타마 붓다의 신임을 받아 제자들 중에서 상위를 차지하였다.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비탄에 빠지거나 동요하는 제자들을 통솔하여 교단의 분열을 막았으며, 제1회 불전 결집을 지휘하였다. 영취산(靈鷲山)에서 고타마 붓다가 꽃을 꺾어 보였을 때 오직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이심전심으로 이해하..
[백과사전] 라훌라 라훌라 라훌라는 석가모니의 친자식이며, 또 그 제자의 1명. 석가모니의 아내인 야쇼다라 왕비가 석가모니의 출가전에 임신한 아이로, 석가모니가 출가 이전 태어났다고 여겨진다. 십대제자의 한 명으로 꼽혀 밀행 제일이라고 칭해진다. 또 아라한의 한 명이기도 하다. 출생 그의 어머니나 신변에 대해서는 제설이 있다. 「12유경」에는, 석가가 실다태자의 무렵, 제1비 구이(고피, 혹은 고파), 제2비 야소다라, 제3비 카노가 있으나 「슈다쓰나경」, 「즈이오경」에서는 구이의 아이로 한다. 「전대미문 인연경」·「열반경」·「법화경」에서는 야소다라 왕비의 아이로 한다. 통상의 상당수는 이 설을 채용하고 있다. 덧붙여 석가의 출가전에는, 그 이외에도 제1비 구이와의 사이의 아이로 우파마나, 제3비 카노와의 사이에 선성이라는..
[백과사전] 가전연 가전연(迦旃延) 가전연(迦旃延)은 고타마 싯다르타의 십대제자의 한 명이다. 논의제일로 칭해진다. 마하(Maha=위대한이라는 뜻)를 붙여 마하가전연, 혹은 대가전연 등이라고도 불린다. 석가의 십대제자의 한 명. 논의제일로 칭해진다. 마하(Maha=위대한이라는 뜻)를 붙여 마하가전연, 혹은 대가전연 등이라고도 불린다. 경력 그가 언제 불교 교단에 들어갔는가는 모르지만, 초기의 불교 전도에 중요한 기능을 했다. 덧붙여 그의 출신설 1에서는, 그 지역은 아직도 포교 권외였으므로, 불이나 사리불, 모쿠렌의 입멸후, 교단의 중심이 되어 자주 활약했다고 한다. 어릴 적보다 총명하고, 한 번 들은 내용은 잊지 않고 잘 이해했다고 말해진다. 그런데도 난해하고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어, 석가에 가르침을 청하게 되어, 이..
[백과사전] 십대제자 십대제자 불타의 제자 중에서는 특히 10대 제자가 손꼽힌다. 지혜가 제일이었던 사리불(舍利佛, Sariputra), 신통력의 목건련(Maudgalyayana), 집착이 없고 투철한 마하가섭(摩訶迦葉, Mahakasyapa). 천안력(天眼力)을 가진 아나률(阿那律, Aniruddha), 제법개공(諸法皆空)을 잘 깨우친 수보리(須菩提:Subbuti), 설법에 능한 부루나(富樓那, Purnamaitrayaniputra), 토론을 잘하는 가전연(Katyayana), 계율을 굳게 지키는 우바리(優婆離,Upali), 들은 것이 많아 잘 외우는 아난다(阿難, Ananda), 행지(行持)가 면밀한 나후라(羅候羅, Rahula)가 그들이다.
[백과사전] 석가모니의 생애 석가모니의 생애 역사적 배경 기원전 6세기경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 부근 히말라야 기슭에 카필라바스투(가비라성, 지금의 네팔 티라우라코트)을 중심으로 샤캬 공화국이 있었다. 싯다르타는 그 나라의 왕 슈도다나(Suddhodana, 정반왕)와 마야 부인(Mahamaya) 사이에서 태어났다. 샤캬 공화국은 일종의 혼합정체가 행해지고 있었다. 라자라는 수장을 교대로 선출하는 독립된 자치 공동체였지만, 정치적으로는 코살라 왕국에 예속되어 있었다. 탄생 싯다르타의 탄생을 표현한 부조. 슈도다나는 오랫동안 아들이 없었는데, 왕비가 6개 이빨을 가진 흰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서 임신했다. 마야 부인은 출산이 임박하자, 당시 풍습에 따라 친정인 데바다하(Devadaha, 구리성)로 향했는데, 음력 ..
[백과사전]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 산스크리트어: शाक्यमुनि 샤캬무니) 석가모니(釋迦牟尼, 산스크리트어: शाक्यमुनि 샤캬무니)는 불교의 교조이며 다른 호칭으로는 세존 · 석존 · 불 · 여래 등 10가지 존칭과 본명인 싯다르타 가우타마가 있으며, 서양에서는 흔히 가우타마 붓다(영어: Gautama Buddha)라고 칭한다. 샤캬족의 국가인 샤캬 공화국(현재의 네팔)에서 국왕 슈도다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인간의 삶이 생로병사가 윤회하는 고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자각하고 이를 벗어나기 위해 29세 때 출가하였다. 처음에는 다른 수행자의 수행법을 따라하거나 고행을 하였으나 이는 무의미하고 중도가 긴요함을 알았다. 부다가야의 보리수 밑에서 선정을 수행하여 35세에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고 부처(Buddha, 佛..
[백과사전] 흥천사의 역사 흥천사(興天寺) 흥천사는 조선 태조 6년(1397년) 창건되었다. 태조의 계비였던 현비 강씨가 동왕 5년(1396년) 가을 8월 무술에 사망하자 태조는 왕후 강씨의 능침을 수도 한양도성 안의 경복궁 서쪽 황화방(皇華坊)에 조성하고 강씨의 명복을 기원할 원찰로써 흥천사 건립을 발원하였다. 양촌 권근이 왕명을 받들고 지은 《정릉원당조계종본사흥천사조성기》에 따르면 공사는 1년이 조금 안 되어 마무리되었고, 불전과 승방, 대문, 행랑, 부엌, 욕실 등 모두 170칸, 하사된 전지는 1천 결이나 되었다고 한다. 태조 7년(1398년)에는 흥천사 북쪽에 3층 사리전을 창건하도록 하였다(사리전은 정종 1년(1399년)에 낙성됨). 태조는 흥천사의 공역에 거동해 인부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가 하면 흥천사가 완공되지 않았..
[백과사전] 흥왕사의 역사 흥왕사(興王寺) 고려 문종 10년(1056년)에 짓기 시작, 12년 만에 낙성된 대사찰이다. 문종 21년(1067년)에 낙성연등회(落成燃燈會)가 있었으며, 대각국사 의천이 이곳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하여 《속장경》을 간행했다. 의천이 제1대 주지이며, 제2대 주지는 숙종의 넷째 아들로서 승려가 된 징엄(澄嚴)이었다. 1363년(공민왕 12년) 음력 3월에 이 절에서 공민왕을 시해하려는 음모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홍건적이 대거 침입하자 공민왕은 잠시 복주(福州) 청주(淸州)로 피신했다가 환도하여 잠시 흥왕사에 행궁을 차리고 있었다. 그때 왕의 신임이 두터웠던 김용(金鏞)이 역심을 품고 무리들과 함께 이 절에 침범하여 시위를 죽이고 왕까지 시해하려 하였다. 공민왕은 다급히 태후 밀실로 피신하였고, 노국..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