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36)
[백과사전] 법륜(法輪) 법륜(法輪) 법륜(法輪, 산스크리트어: धर्मचक्र 다르마차크라)은 불교의 교의를 뜻하며, 특히 고타마 붓다가 설법한 사성제 · 팔정도를 뜻하기도 한다. 윤(輪)이란 고대 인도의 투척 무기인 차크람을 의미한다. 대중이 승려로부터 설법을 듣고, 불교 교의를 믿음으로써 번뇌를 제거하고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과정 중 파사(破邪: 삿된 것을 깨뜨림)의 면을 특히 강조해 전륜성왕의 7종 보구 중 하나인 차크람에 빗되어 표현한 것이다. 여기에서 불교의 교의(법륜 · 法輪)를 타인에게 전하는 일(전 · 轉 · 굴리다)을 전법륜(轉法輪)이라고 말하게 되었다. 특히 고타마 붓다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사르나트(녹야원)로 가서 전에 같이 고행 수행을 하였던 다섯 비구에게 첫 설법한 일을 초전법륜(初轉法輪: 처음으로 법의..
[백과사전] 7만의 사만(邪慢)이란 7만의 사만(邪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사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 영어: distorted arrogance,..
[백과사전] 7만의 비만(卑慢)이란 7만의 비만(卑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비만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영어: modest arrogance, arrogance of think..
[백과사전] 7만의 증상만(增上慢)이란 7만의 증상만(增上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증상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영어: false arrogance, ..
[백과사전] 7만의 아만(我慢)이란 7만의 아만(我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아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영어: egotistic arrogance)은 ..
[백과사전] 7만의 만과만(慢過慢)이란 7만의 만과만(慢過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만과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영어: outrageous arro..
[백과사전] 7만의 과만(過慢)이란 7만의 과만(過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과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영어: exaggerated arrogance)은..
[백과사전] 7만의 만(慢)이란 7만의 만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영어: arrogance)은 자기보다 못한[劣] 이에 대하여 자기가 더..
[백과사전] 만(慢) 낱말들의 뜻 만(慢) 낱말들의 뜻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논서들에 따르면, 만(慢)은 다음의 일반적인 낱말들의 뜻을 가지며, 아래 목록의 설명들은 일반 사전상의 정의들이다. 낱말들은 대체로 번뇌의 강도가 약한 것에서 심한 것으로 배열되어 있다. 우월감(優越感): 남보다 낫다고 여기는 생각이나 느낌 자부(自負): 스스로 자기의 가치나 능력을 믿음, 자기 자신 또는 자기와 관련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스스로 그 가치나 능력을 믿고 마음을 당당히 가짐, 만(慢)과 관련하여서는 스스로에 대한 확신이 아닌 남과 비교하는 부정적인 면을 말하는데, 자기가 남보다 낫다는 일시적인 생각이나 느낌에서 나아가 자기가 남보다 낫거나 최소한 동등하다고 믿는 것을 말함 남에 대해 자신을 높임 잘난 체함 자만(自慢): 자신이나 자신과 관련 있는 ..
[백과사전] 만(慢) 만(慢) 만(慢, 거만, 자만, 오만, 고거심, 산스크리트어: māna, 팔리어: māna, 영어: pride, arrogance, conceit)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6가지 근본번뇌(根本煩惱), 즉 6수면(六隨眠)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교학에서 6가지 근본번뇌(根本煩惱) 가운데 하나이다. '만(慢)이라는 근본번뇌' 또는 '현행하는 만(慢)의 잠재적 · 근본적 종자'라는 뜻에서 만수면(慢隨眠)이라고 한다. 초기불교 · 부파불교 · 대승불교의 9결(九結) 가운데 만결(慢結)에 해당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