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244)
[백과사전] 힌두교의 윤회 힌두교의 윤회 힌두교의 교리에 의하면 해탈에 도달하지 못한 자들은 우주 안에서 끊임없이 낳고 죽기를 반복하며 윤회한다. 인간이라 하더라도 다음 생애에는 짐승으로 태어나기도 하며 신으로 태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수없이 많은 윤회의 과정에서 사람은 한 인생을 살면서 쌓은 카르마에 의해 다음 생애가 결정된다. 다르마에 따른 삶을 살다 죽으면 다음 생애에는 보다 존귀한 카스트 출신으로 태어나지만 다르마에 어긋나는 삶을 살면 다음 생애에는 더 비천한 카스트 출신으로 태어나게 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힌두교 #윤회 #해탈에 도달하지 못한 자들은 우주 안에서 끊임없이 낳고 죽기를 반복하며 윤회한다. #카르마 #카스트 #다르마
[백과사전] 윤회 또는 삼사라(輪廻) 윤회 또는 삼사라(輪廻) 윤회 또는 삼사라(輪廻, 산스크리트어: संसार 삼사라, reincarnation, rebirth, cyclicality of life or existence)는 다르마 계통 종교들의 주요 교리로서,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내용의 교리이다. 이 세상에서 겪는 삶의 경험이 자신의 발전에 더 이상 필요치 않는 상태 또는 경지에 도달할 때 비로소 이 세상으로의 윤회가 끝난다. 윤회, 즉, 삶과 죽음의 인생사는 어둠을 극복하여 깨달음 또는 구원에 이르는 여정이다. 힌두교 · 자이나교 · 불교 · 시크교 등 주로 인도계 종교에서 윤회를 믿으며 중요한 교의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다. 서양의 ..
[백과사전] 교시(巧施) 교시(巧施) 교시(巧施)는 타인에게 보시(布施)하여 이익을 주는 것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교시(巧施) #보시(布施) #타인에게 보시(布施)하여 이익을 주는 것
[백과사전] 교법(敎法) 교법(敎法) 교법(敎法)은 불 · 법 · 승의 3보 가운데 법보(法寶)를 4가지로 나눈 교법(教法) · 이법(理法) · 행법(行法) · 과법(果法)의 4법(四法) 가운데 하나로, 부처의 가르침을 말하는데, 특히 말이나 글로서 표현된 가르침을 말한다. 불교에서 교법이라고 하면 주로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뜻하는데, 대승불교에서는 3세제불(三世諸佛) 즉 과거 · 현재 · 미래의 모든 부처의 가르침 즉 모든 깨달은 자들의 가르침을 교법이라 한다. 또는 교법(敎法)은 한 종파의 교의를 언어와 문자로써 표현한 언명 · 설명 또는 해설을 말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교법(敎法) #말이나 글로서 표현된 가르침을 말한다.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뜻 #3세제불(三世諸佛) #과거 · 현재 · 미래의 모든 부처의 ..
[불교저널] 불교저널 사이트 불교저널 불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홈페이지 : 바로가기 #불교 #불교평론 #불교 기사 #불교 문화 #불교 오피니언 #불교 기획 #불교 연재
[불교평론] 불교평론 사이트 불교평론 불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문화/논단/해외불교/세미나중계/기획시리즈/서평/칼럼 등 불교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바로가기 #불교 #불교평론 #불교 기사 #불교 문화 #불교 논단 #해외불교 #불교 세미나중계 #불교 기획시리즈 #불교 서평 #불교 칼럼
[백과사전] 교(憍) 교(憍) 교(憍, 산스크리트어: mada)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자신의 소유물[法]에 집착하여 오만 방자해지게 함으로써 자신을 되돌아보지 않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교(憍) #자신의 소유물[法]에 집착하여 오만 방자해지게 함으로써 자신을 되돌아보지 않게 하는 마음작용 #심왕 #심법
[백과사전] 괴겁(壞劫) 괴겁(壞劫) 괴겁(壞劫, 산스크리트어: saṃvarta-kalpa)은 성(成) · 주(住) · 괴(壞) · 공(空)의 4겁(四劫) 또는 괴(壞) · 성(成) · 중(中) · 대(大)의 4겁(四劫) 가운데 하나이다. 괴겁은 1수미세계나 3천대천세계 등의 세계 또는 우주가 차차 파괴되는 기간을 말하는데, 지옥의 유정이 다시 태어나지 않는 때로부터 외적인 기세간이 모두 다할 때까지의 기간이다. 즉, 괴(壞) 즉 허물어짐에는 유정괴(有情壞: 유정이 허물어지는 것)와 외기괴(外器壞: 외적인 기세간이 허물어지는 것)의 두 가지가 있는데, 먼저 유정괴가 일어나서 특정 기세간이 텅 비고 그 다음 외기괴가 일어나서 그 기세간이 파괴되는 형태로 괴겁은 진행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괴겁(壞劫) #괴(壞) · 성(成..
[백과사전] 괴(愧) 괴(愧) 괴(愧, 뉘우침, 참회, 산스크리트어: apatrāpya, 팔리어: ottappa, 영어: decorum, shame, consideration, propriety)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선심소(善心所: 11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괴(愧)는 계(戒) · 정(定) · 혜(慧)의 공덕이 있는 자의 꾸짖음에 의지하여 자신이 범한 불선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작용, 또는 남이 범한 불선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작용이다. 즉 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 혹은 둘 다의 의미에서의 남부끄러워 하는 마음작용이다. 즉, 참..
[백과사전] 관정삼매(觀頂三昧) 관정삼매(觀頂三昧) 관정삼매(觀頂三昧, 산스크리트어: vilokita-mūrdha)는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7번째 삼매이다. 제6번째 삼매는 출제법삼매(出諸法三昧)이고 제8번째 삼매는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이다. 《대지도론》 제47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云何名觀頂三昧?住是三昧能觀諸三昧頂,是名觀頂三昧。 무엇을 관정(灌頂)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모든 삼매의 꼭대기를 보게 되나니, 이것을 관정삼매라 하느니라. — 《대지도론》 제47권. 한문본 & 한글본 #불교 #백과사전 #사전 #관정삼매(觀頂三昧)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7번째 삼매 #무엇을 관정(灌頂)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모든 삼매의 꼭대기를 보게 되나니 이것을 관정삼매라 하느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