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44)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과사전] 지관(止觀) 지관(止觀) 지(止)는 범어의 샤마타, 관(觀)은 비파슈야나의 역어이다. 지는 모든 망념(妄念)을 그치게 하여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기울이는 것이며, 관은 지로써 얻은 명지(明知)에 의해 사물을 올바르게 보는 것을 말한다. 즉 선정(禪定)과 지혜에 해당되며, 양자는 마치 수레의 두 바퀴 같은 상호의존 관계에 있고 계(戒)와 아울러 불교도의 중요한 실천 항목이다. 특히 중국의 지의는 을 저술하여 지관을 상세히 분류, 고찰하고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지관(止觀) #지는 모든 망념(妄念)을 그치게 하여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기울이는 것 #관은 지로써 얻은 명지(明知)에 의해 사물을 올바르게 보는 것 #선정(禪定)과 지혜 #마하지관 [백과사전] 일념삼천(一念三千) 일념삼천(一念三千) 천태종(天台宗)의 중요한 교의. 범부(凡夫)가 실제로 갖는 미망(迷妄)의 일념 속에 우주의 모든 사상(事象)이 갖춰져 있음을 말한다. 3천이란 우주의 제상(諸相) 전부를 수(數)로 나타낸 것이며, 지옥 내지 불(佛)의 10 경계가 각각 10계(十界)를 갖추기 때문에 백계(百界)이며, 이것들이 에서 설법하는 십여(十如)를 갖추기 때문에 천여(千如)이다. 이것을 중생(衆生)·국토(國土)·오음(五陰)의 삼세간(三世間)에 배치하면 삼천세간이 된다. 일념삼천이란 실천 형식을 통하여 모든 사물의 진실한 모습, 즉 진여(眞如)를 깨달은 것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일념삼천(一念三千) #중요한 교의. 범부(凡夫)가 실제로 갖는 미망(迷妄)의 일념 속에 우주의 모든 사상(事象)이 갖춰져 있음을.. [백과사전] 행(行) 행(行) 범어 산스칼라의 역어. '만드는 것'과 '이변(異變)하는 것'의 뜻이 있다고 하며, 12연기(十二緣起)의 제2행(行)은 전자, 즉 업(業)의 뜻이고, 제행무상이라고 할 때에는 후자, 즉 모든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수행(修行)이란 뜻에서의 행은 그 원어가 다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행(行) #만드는 것 #이변(異變)하는 것 #12연기(十二緣起) [백과사전] 무명(無明) 무명(無明) 범어 아비드야의 번역어로서 명지(明知)가 없는 것, 즉 진실한 도리를 깨치지 못하고 사물에 통달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12연기(十二緣起)의 최초에 두는 것처럼 우리의 미고(迷苦)라는 존재의 근본이라 하였으며, 불평 불만의 형체로 나타나서 갈애(渴愛)와 표리의 관계를 이룬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명(無明) #명지(明知)가 없는 것 #진실한 도리를 깨치지 못하고 사물에 통달하지 않은 상태 #12연기(十二緣起) #미고(迷苦)라는 존재의 근본 #갈애(渴愛) [백과사전] 업(業) 업(業) 범어 카르마의 역어로 행위나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을 뜻한다. 이 업에는 일종의 잠재적인 힘이 따른다고 생각하여 여기에 시간적인 인과관계를 적용, 선악의 업에는 반드시 거기에 상응(相應)된 고락의 인과(이숙이라고도 한다)를 받는다는 것이 인과응보이며, 또한 이 업의 총체로서의 자기가 과거에서 미래로 전변(轉變)하는 것이 윤회 사상이다. 업의 분류에서 대표적인 것은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이란 3업이 있으나 이 밖에도 매우 상세한 분류고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업(業) #행위나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을 뜻한다. #선악의 업에는 반드시 거기에 상응(相應)된 고락의 인과 #일종의 잠재적인 힘이 따른다고 생각하여 여기에 시간적인 인과관계를 적용 #신업(身業) #.. [백과사전] 5욕(五慾) 5욕(五慾) 다섯 가지 감각기관(五根, 즉 눈·귀·코·혀·몸)의 대상(五境, 즉 色·聲·香·味·觸)에 집착하여 일으키는 다섯 가지 정욕(情慾)을 말한다. 색욕(色慾) 내지 촉욕(觸慾)을 말하지만 또한 5경(五境)도 그 자체는 욕(慾)이 아니나 사람에게 욕망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5욕 또는 5욕락(五慾樂)이라 한다. 이런 경우에 욕은 범어로 카마그나를 번역한 것이 된다. 그리고 별도로 재욕·색욕·음식욕·명예욕·수면욕의 다섯 가지 욕망을 뜻하는 경우도 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5욕(五慾) #다섯 가지 감각기관 #눈·귀·코·혀·몸 #집착하여 일으키는 다섯 가지 정욕(情慾) #5욕락(五慾樂) #재욕·색욕·음식욕·명예욕·수면욕 #다섯 가지 욕망 [백과사전] 중생(衆生) 중생(衆生) 범어 사트바의 반역어로 유정(有情)이라고도 한다. 모든 삶을 누리는 생류(生類)를 가리키며, 초목이나 흙·돌 같은 비정(非情)에 대하여 인간을 비롯한 의식감정을 지닌 생물을 말하고, 특히 미망(迷妄)의 세계에 있는 것의 뜻으로 쓰인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중생(衆生) #유정(有情) #모든 삶을 누리는 생류(生類) #초목이나 흙·돌 같은 비정(非情) #미망(迷妄)의 세계에 있는 것의 뜻 #인간을 비롯한 의식감정을 지닌 생물 [백과사전] 진제(眞諦) 진제(眞諦) 승의제(勝義諦), 또는 제1의제(第一義諦)라고도 하며 이에 대한 속제(俗諦) 또는 세속제(世俗諦)와의 양자를 합쳐 진속이제(眞俗二諦)라고 한다. 제(諦)란 진리를 뜻하나 속제가 세상의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진 도리임에 대하여 진제는 불교를 깨우친 사람들에게 알려진 4제 등의 진리를 말한다. 또한 대승불교에서는 속제가 우리의 언어나 사상의 세계에 속하는 것이며, 진제는 이를 초월한 공(空)의 진리로서, 더구나 속제에 의해서 진제를 얻을 수 있다고 역설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진제(眞諦) #승의제(勝義諦) #진속이제(眞俗二諦) #제(諦)란 진리를 뜻하나 속제가 세상의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진 도리임 #진제는 불교를 깨우친 사람들에게 알려진 4제 등의 진리를 말한다. [백과사전] 진여(眞如) 진여(眞如) '있는 그대로의 것'을 뜻하는 범어 타타타의 역어.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은 무상(無常)·무아(無我)이다. 즉 모든 사물은 연기(緣起)의 존재일 뿐이다. 원시 불교에서 진여는 이 연기의 이법(理法)이 영원한 진리를 나타내는 말이었으나, 대승불교에 이르러서는 현상세계 그 자체, 또는 모든 현상적인 차별상(差別相)을 초월한, 절대의 세계나 우주 진리의 인격화된 법신(法身)의 본질을 뜻하게 되었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진여(眞如) #있는 그대로의 것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은 무상(無常)·무아(無我) #절대의 세계나 우주 진리의 인격화된 법신(法身)의 본질을 뜻 #차별상(差別相) [백과사전] 색(色) 색(色) 범어로 루파의 역어. 넓은 뜻으로서는 물질적 존재, 즉 변화하고 파괴되고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여 다른 것과 상용(相容)되지 않는 것의 총칭이며, 좁은 뜻으로는 눈의 대상이 되는 물질의 속성, 즉 빨강이니 파랑이니 하는 '색깔'과 장단방원(長短方円) 등의 형체를 가리킨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색(色) #넓은 뜻으로서는 물질적 존재 #변화하고 파괴되고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여 다른 것과 상용(相容)되지 않는 것의 총칭 #장단방원(長短方円)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