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대백과사전/불교의 사상

[백과사전] 반야와 6바라밀

728x90

반야와 6바라밀

초기 불교에서도 제행무상 · 일체개고 · 제법무아를 반야에 의해서 안다고 주장하지만, 반야는 대승불교에서 특히 중요시되었다. 반야는 대승불교에서는 보살이 수행하는 보시(布施) · 지계(持戒) · 인욕(忍辱) · 정진(精進) · 선정(禪定) · 지혜(智慧)의 6바라밀(六派羅蜜) 중 반야바라밀(산스크리트어: प्रज्ञापारमिता prajñāpāramitā) 또는 지혜바라밀로 설법되고 있으며, 나머지 다섯 바라밀을 성립시키는 근거로 여겨져 중요시되고 있다. 역으로, 선정 바라밀은 반야바라밀이 발현되게 하는 직접적인 수단 또는 원인이다.

또한 반야는 "모든 부처(諸佛)의 어머니(즉, 성불의 원인)"라 불리며, 이러한 교의는 많은 《반야경》을 비롯한 대승경전이나 논서에서 널리 강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승불교의 논서인 《대지도론(大智度論)》에서는 육안(肉眼) · 천안(天眼) · 혜안(慧眼) · 법안(法眼) · 불안(佛眼)의 오안(五眼)을 얻고자 한다면 반야 바라밀을 닦아야 한다는 불교 경전의 진술을 인용해 이를 해설하고 있다.

《인왕경》에서 고타마 붓다는 반야 바라밀을 닦는 것이란 복인(伏忍) · 신인(信忍) · 순인(順忍) · 무생인(無生忍) · 적멸인(寂滅忍)의 5인(五忍)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5인은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등각 · 묘각의 52위의 보살 수행계위에서 최초의 10신을 제외한 나머지 상위의 42위 즉 42현성(四十二賢聖)을 인(忍) 즉 지혜의 측면에서 다음의 5가지 그룹으로 재분류한 것이다. 따라서, 《인왕경》에 따르면 반야 바라밀이란 현성(賢聖), 즉 10신의 계위를 벗어난 수행자, 즉 실제로 불교의 길에 들어선 수행자의 모든 대승불교적 수행과 그 수행의 과보로서 증득된 지혜 등의 모든 공덕을 통칭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살바야해(薩婆若海) 즉 일체지(一切智) 즉 불지(佛智)를 의미한다.

복인(伏忍): 10주 · 10행 · 10회향의 3현(三賢)
신인(信忍): 10지 가운데 초지 · 제2지 · 제3지
순인(順忍): 10지 가운데 제4지 · 제5지 · 제6지
무생인(無生忍): 10지 가운데 제7지 · 제8지 · 제9지
적멸인(寂滅忍): 10지 가운데 제10지와 등각 · 묘각

#불교 #배과사전 #사상 #불교 사상 #반야와 6바라밀 #복인 #신인 #순인 #무생인 #적멸인 #모든 부처(諸佛)의 어머니

728x90

'불교 대백과사전 > 불교의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과사전] 바라밀  (0) 2022.11.11
[백과사전] 묵조선  (0) 2022.08.11
[백과사전] 공안선  (0) 2022.08.11
[백과사전] 선의 사상  (0) 2022.08.11
[백과사전] 정토교의 사상  (0) 20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