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통의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과사전] 감산덕청 감산덕청 (1546∼1622) 금릉의 전초(全椒:安徽省)에서 태어났다. 감산은 호로서 감산대사라고 존칭된다. 11세에 출가의 뜻을 품고 불교의 경론과 유교의 전적을 가까이 하였다. 19세때 출가하여 변융(辯融)·소암(笑嚴)·운곡(雲谷) 기타 많은 스승을 찾아가 가르침을 받고 선풍(禪風)을 진흥함은 물론 여산에 초암(草庵)을 짓고 염불을 닦았다. 그의 사상은 선과 화엄과의 융합에 핵심을 두고 있으며 이로써 제종조화를 꾀하려 하였다. 그의 저작으로는 ··· 등 특정한 종파에 구애받지 않는 폭넓은 점이 있다. 또한 ·· 등을 저술했는데 이들은 모두 불교사상으로서 유교와 노장사상의 전적(典籍)을 해석한 것으로 3교조화사상이 나타나 있다. (이라고도 한다)은 3교를 논한 것으로서 유명하며 3교 이동(異同)의 비교..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