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대백과사전/불교 사전

[백과사전] 대지법과 대번뇌지법의 4구분별

728x90

대지법과 대번뇌지법의 4구분별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는 불신(不信) · 해태(懈怠) ·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무명(無明)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 · 도거(掉擧) · 방일(放逸)의 10가지 마음작용이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에 속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반면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치(癡, 無明) · 방일(放逸) · 해태(懈怠) · 불신(不信) · 혼침(惛沈) · 도거(掉擧)의 6가지 마음작용이 대번뇌지법에 속한 것으로 말하고 있다.

즉,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고 있는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의 5가지 마음작용이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대번뇌지법에서 빠져 있으며 또한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는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는 혼침(惛沈)의 1가지 마음작용이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대번뇌지법에 포함되어 있다.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의 5가지 마음작용이 《아비달마구사론》에서 대번뇌지법에서 제외되어 있는 듯이 보이는 것은 겉보기에만 그런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대지법과 대번뇌지법의 4구분별에 의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대지법(大地法)과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의 4구분별이란 제1구는 대지법이면서 대번뇌지법이 아닌 것, 제2구는 대번뇌지법이면서 대지법이 아닌 것, 제3구는 대지법이면서 역시 대번뇌지법인 것, 제4구는 두 가지 모두가 아닌 것을 말한다.

  • 제1구 즉 대지법이면서 대번뇌지법이 아닌 마음작용들로는 수(受) · 상(想) · 사(思) · 촉(觸) · 욕(欲) · 혜(慧) · 염(念) · 작의(作意) · 승해(勝解) · 삼마지(三摩地)의 10가지 대지법 가운데 수(受) · 상(想) · 사(思) · 촉(觸) · 욕(欲)의 5가지가 해당한다.
  • 제2구 즉 대번뇌지법이면서 대지법이 아닌 마음작용들로는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 언급하고 있는 불신(不信) · 해태(懈怠) ·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무명(無明)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 · 도거(掉擧) · 방일(放逸)의 10가지 대번뇌지법 가운데 불신 · 해태 · 무명 · 도거 · 방일의 5가지가 해당한다.
  • 제3구 즉 대지법이면서 역시 대번뇌지법인 마음작용들로는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 언급하고 있는 불신(不信) · 해태(懈怠) ·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무명(無明)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 · 도거(掉擧) · 방일(放逸)의 10가지 대번뇌지법 가운데 실념 · 심란 · 부정지 · 비리작의 · 사승해의 5가지가 해당한다.
    《아비달마구사론》의 설명에 따르면, 실념(失念)은 염오한 염(念)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지법이면서 또한 대번뇌지법이고, 이러한 이유로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 실념을 대번뇌지법으로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본질의 입장에서 볼 때 실념은 대지법의 염이기 때문에,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무치(無癡)의 본질이 혜(慧)이기 때문에 무치(無癡)을 대선지법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심란(心亂)은 염오한 등지(等持) 즉 오염된 삼마지(三摩地)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본질이 대지법에 속한 마음작용인 삼마지(三摩地)이므로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부정지(不正知)는 온갖 염오혜 즉 온갖 오염된 혜(慧)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본질이 대지법에 속한 마음작용인 혜(慧)이므로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비리작의(非理作意)는 염오한 작의(作意)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본질이 대지법에 속한 마음작용인 작의(作意)이므로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사승해(邪勝解)는 염오한 승해(勝解)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본질이 대지법에 속한 마음작용인 승해(勝解)이므로 대번뇌지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제4구 즉 대지법도 대번뇌지법도 아닌 마음작용들로는 10가지 대지법과 《아비달마품류족론》 등에서 언급하고 있는 10가지 대번뇌지법을 합한 20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법들이 해당한다. 달리 말하면, 중복을 제외하는 경우 20가지 법에서 실념 · 심란 · 부정지 · 비리작의 · 사승해의 5가지를 제외한 15가지 이외의 나머지 모든 법들이 제4구에 해당한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대지법과 대번뇌지법의 4구분별 #불신(不信) · 해태(懈怠) ·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무명(無明)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 · 도거(掉擧) · 방일(放逸) #아비달마품류족론 #치(癡, 無明) · 방일(放逸) · 해태(懈怠) · 불신(不信) · 혼침(惛沈) · 도거(掉擧) #실념(失念) · 심란(心亂) · 부정지(不正知) · 비리작의(非理作意) · 사승해(邪勝解)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