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참(無慚) (5)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참(無慚): 스승을 공경하지 않고 죄과를 반성하지 않는 마음작용 무참(無慚) 무참(無慚)은 참(慚)의 반대인데, 계(戒) · 정(定) · 혜(慧)의 3학(三學)의 공덕이 있는 사람, 즉 스승을 공경하지 않는 마음작용, 또는 죄과를 범한 경우에도 그것을 관찰 · 반성하지 않고 스스로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마음작용이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참(無慚) #참(慚)의 반대 #계(戒) · 정(定) · 혜(慧) #스승을 공경하지 않는 마음작용 #죄과를 범한 경우에도 그것을 관찰 · 반성하지 않고 스스로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마음작용 무참과 무괴: 부끄러워하지 않음과 싫어하지 않음의 공통된 마음작용들 무참과 무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다음은 무참(無慚)과 무괴(無愧)의 공통된 마음작용들이다. 불치(不羞): 부끄러워하지 않음 부등치(不等羞): 그 모두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음 불각별치(不各別羞): 각각 따로따로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음 불염(不厭): 싫어하지 않음 부등염(不等厭): 그 모두에 대해 싫어하지 않음 불각별염(不各別厭): 각각 따로따로에 대해 싫어하지 않음 불훼(不毀): 무너뜨리지 않음 부등훼(不等毀): 그 모두에 대해 무너뜨리지 않음 불각별훼(不各別毀): 각각 따로따로에 대해 무너뜨리지 않음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참과 무괴 #아비달마품류족론 #무참(無慚) #무괴(無愧) #설일체유부의 논서 무경(無敬): 공덕과 스승에 대한 공경이 없는 마음 상태 무경(無敬) 무경(無敬)은 온갖 공덕(功德)과 유덕자(有德者: 즉 스승)에 대해 공경함이 없는 것으로, 《구사론》에 따르면, 무숭(無崇) · 무소수속(無所隨屬)과 함께 무참(無慚)의 마음작용의 본질적 성질을 이룬다. #불교 #백과사전 #사전 #무경(無敬) #공경함이 없는 것 #무숭(無崇) #무소수속(無所隨屬) #무참(無慚) #공덕(功德)과 유덕자(有德者: 즉 스승)에 대해 공경함이 없는 것 [백과사전] 10전(十纏) 10전(十纏) 10전(十纏)은 다음의 10가지 수번뇌(隨煩惱)를 말한다. 무참(無慚) 무괴(無愧) 질(嫉) 간(慳) 회(悔) 면(眠) 도거(掉舉) 혼침(惛沈) 분(忿) 부(覆) #불교 #백과사전 #사전 #10전(十纏) #10가지 수번뇌(隨煩惱) #무참(無慚) #무괴(無愧) #질(嫉) #간(慳) #회(悔) #면(眠) #도거(掉舉) #혼침(惛沈) #분(忿) #부(覆) [백과사전] 불선의 4분류-자성불선(自性不善) 불선의 4분류 불선(不善, 산스크리트어: akuśala)은 악(惡, 산스크리트어: pāpa)이라고도 하며,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 또는 '평화롭지 않음[不安隱]'을 본질적 성질로 하여 현세나 내세를 좋지 않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어둠의 성질의 법(法)을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모든 불선(不善)을 그것이 생겨나는 원인에 따라 분류할 경우 자성불선(自性不善) · 자성불선(自性不善) · 상응불선(相應不善) · 등기불선(等起不善)의 네 갈래로 나뉜다. 이 네 가지 갈래를 4종불선(四種不善) 또는 4불선(四不善)이라 한다. 자성불선(自性不善) 자성불선(自性不善)은 본질상 불선(不善)인..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