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구사론

(4)
[백과사전] 7만의 사만(邪慢)이란 7만의 사만(邪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사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 영어: distorted arrogance,..
[백과사전] 7만의 아만(我慢)이란 7만의 아만(我慢)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아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영어: egotistic arrogance)은 ..
[백과사전] 7만의 만(慢)이란 7만의 만이란 7만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은 7만(七慢), 8만(八慢), 9만(九慢), 10만(十慢) 등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품류족론》, 《대비바사론》, 《구사론》, 《성유식론》 등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 과만(過慢, 산스크리트어: ati-māna) · 만과만(慢過慢, 산스크리트어: mānāti-māna) · 아만(我慢, 산스크리트어: ātma-māna) · 증상만(增上慢, 산스크리트어: adhi-māna) · 비만(卑慢, 산스크리트어: ūna-māna) · 사만(邪慢, 산스크리트어: mithyā-māna)의 7만(七慢)으로 나뉜다. 만 《품류족론》에 따르면, 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영어: arrogance)은 자기보다 못한[劣] 이에 대하여 자기가 더..
[백과사전]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다. 약칭하여 《구사론》(俱舍論)이라고도 부른다. 세친 스님과 그 맏형인 무착 스님은 중기 대승불교인 유식불교를 창시한 스님이다. 유식불교는 7세기 당나라 현장 스님이 경전을 한역해 오면서 당나라에 법상종이 유행하게 된다. 손오공으로 유명한 스님이다. 신라의 의상 대사는 당나라로 유학을 가서, 이 현장스님이 수입해 온 유식불교를 배워서 신라에 돌아온다. 아비달마는 불법연구라는 뜻이며, 구사론은 창고라는 뜻이다. 4세기 부파불교 중 최대 종파인 설일체유부의 교리를 정리한 것이다. 600편의 시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작 세친 스님은 이 교리들을 수용하지 않고 비판했다. 구사론은 이후의 대승불교 교리에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