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頂經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과사전] 금강정경 金剛頂經 금강정경 정확하게는 (諸經 中 최고이며, 一切如來의 진실을 수록한 大乘의 現證으로 불리는 實踐規範의 王經)이라 하며, 보다 약간 늦게 670∼690년경 동남 인도에서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처음 당대(唐大) 불공(不空)이 번역한 3권본은 18부(18회)로 된 금강정부(金剛頂部)의 경전 중에서 초회(初會)에 속하는 경전의 처음 부분의 번역이다. 일반적으로 이라고 하면 이를 가리키며 이에 의거하여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大日如來의 깨달음의 경지를 나타낸 九會로 된 圖像)가 성립되었다. 그러나 후에 송대(宋代)의 시호(施護)가 초회의 완역 30권을 내었다. 티베트어 역본도 이 초회의 완역본으로 한역본보다는 더 큰 것이었다고 한다. 내용은 금강계대만다라대의궤품(金剛界大曼茶羅大儀軌品) 제1·제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