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주요 사찰 정보/직지사

[백과사전] 직지사의 역사

728x90

직지사(直指寺)

신라 눌지왕 2년(418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한다. 아도화상이 선산 도리사에서 손가락으로 황악산을 가리키며 저 산에도 좋은 절터가 있다고 해서 ‘직지’라는 사명이 붙게 되었다는 설과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능여대사(能如大師)가 절을 중건할 때 자를 쓰지 않고 직접 자기 손으로 측량하여 지었기 때문에 직지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전한다. 임진왜란 때에 소실된 것을 조선 15대 광해군 때인 1610년(광해군 2년)에 재건하였다.

직지사를 품고 있는 황악산(黃岳山)은 청, 황, 적, 백, 흑의 5색 중에서 중앙을 상징하는 색이다. 우리나라를 놓고 볼 때 직지사는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어 황악산이라 부르고 그 안에 터를 잡은 직지사는 예로부터 동국제일가람으로 불려 왔다. 황악산의 산세도 정상인 비로봉(毘盧峰)에서 경상도와 전라도, 충청도가 한눈에 들어오는 삼남의 중심이다.

신라시대에 2차에 걸친 중수가 있었다. 첫째는 선덕여왕 14년(645년)에 자장율사가 했다는 이야기와 두 번째는 경순왕 4년(930년) 천묵대사(天默大師)가 중수했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자장율사의 중수는 이야기로만 전해지지만 천묵대사의 두 번째 중수는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실려 있는 직지사 대장당기비(大藏堂記碑)의 내용 가운데 직지사에 대장당을 짓고 금자대장경을 모셨다는 기록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제2대 정종 임금의 태봉을 사두혈의 명당으로 소문났던 절의 북봉(北峰)에 모시면서 태실을 수호하는 수직사찰이 되기도 했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의 제8교구본사로 경북 북서부 김천, 구미, 상주, 문경, 예천 지역 백두대간 골골이 숨겨진 보석 같은 54개의 말사들을 관장하고 있다.

정신적으로 힘들 때 보는 불교 명언.jpg

dailyfeed.kr

728x90